::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16 17:39
제목이 좀 이해가 안되지만-_-; 번역을 다수 해본 경험에 의하면 영-한 인 경우에는 페이지수가 줄어들것으로 추측해봅니다
09/04/16 17:46
일단 우리말보다도 한자어의 축약기능이 상당해서 일반적인 글의 경우 영어 원문보다는 번역문이 짧아지더군요.
다만 문장 차원에서는 영문의 ;, :등 구두점 연결부분이라던지, 영문으로는 아주 짧으면서도 많은 정보를 줄 수 있는 멋진 표현인데 우리말에는 그에 대응하는 문법구조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길게 늘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대학 전공서적의 경우 영어 원서와 우리말 번역서가 거의 비슷한 포맷으로 나와있는 경우가 많으니 한번 본문부분만 비교해 보시면 참고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09/04/16 17:59
논문 작성한 경험으로 볼때
영어로 12장이면 한글로 10장... 정도 였습니다. ... 문제는 10장짜리 한글이 5장짜리 영어로 변한다는거. 이유는 작문이 안되면 문장을 빼버려서OTL
09/04/16 18:10
100페이지짜리 영문 원고를 한국어로 번역하면 일반적/평균적으로는 80-85페이지 선으로 줄어듭니다. 다만 전문용어가 있는 경우에는 그에 맞대응하는 한글 단어가 없는 경우 좀 길어지기도 합니다-_-;
기타 서구어(불어, 독어, 스페인어) 같은 경우는 인문사회서적(전 문과생이라 이공계는 몰라요)의 개념이 그 나라 단어로 자의적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으므로(특히 독어), 그걸 영어 단어에 대응시켜서 설명하면서 정의내리다가 오히려 원고 길이가 역전되거나, 본문과 비슷한 길이의 역자주가 달리면서 원고 분량이 늘어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09/04/16 18:37
전 공대생인데요
왜 공대서적은 위엣분들 말씀대로라면 번역본이 더 페이지수가 적어야 하는데 보통 보면은 번역본이 페이지가 더 많은 경우가 많더라구요
09/04/16 20:19
석사반대님// 질문자께서는 '삽화, 도표 및 글자 크기와 같은 제본의 문제들을 생각하지 않고 한국어로 번역한다'는 전제를 주셨습니다. 영문 원고를 동일한 조건에서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대개의 경우 원고 자체의 페이지는 줄어든다는 것이고, 편집으로 들어간다면 단순 페이지수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09/04/16 21:36
석사반대님//
전문 용어 때문일겁니다. 전문 용어는 해당 되는 한글 용어가 있다고 해도.. 보통 그 단어의 뜻에 해당되는 한자어를 이용하게 되어 길어지는 경우가 많고, 아예 용어가 없는 경우는 음을 그대로 한글로 읽어서 적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글로 번역시 글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또, 영어에서는 축약어로 널리 쓰이지만 한글에는 없는 용어의 경우도 번역시 글이 길어지겠죠. 예) protease 단백질 가수 분해효소, MC(CH2Cl2) 메칠렌 클로라이드.
09/04/17 21:12
보통은 페이지가 더 늘어나는데요?
글자크기 동일하게 잡고 행간도 똑같이 잡으면 영-한이 조금 짧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우리말은 영어와 달리 행간을 최소150(한글워드)에서 200을 잡아줘야 하기 때문에... 한글을 영어처럼 행간을 줄이면 가독성이 너무 떨어집니다. 번역 외에 다른 것들은 생각 안한다고 하지만 행간은 고려해야 합니다. 받침이 있는 문자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