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16 16:02
16만 원씩 1년이면 192만 원, 20년이면 3,840만 원이군요.
평균적으로 100만 원 정도 발생할 것 같긴 한데, 어디까지나 평균이죠(첫해의 이자가 10만 원이라면 매년 이자가 그만큼씩 더 붙어나갈 테니 마지막 해의 이자는 200만 원이 될 것입니다만, 평균은 105만 원이겠죠). 그러니 일부라도 출금하면 결국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100만 원이라는 안내는 출금을 전혀 하지 않았을 때의 이야기겠지요. 아참, 질문에 대한 답변. 보험회사에서 완전 적금식으로 상품을 운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보험료 중 일부는 보장성(자동차보험과 같은 소멸성 보험료)으로 돌려서 운용하게 됩니다. 상품안내를 보면 사망시나 부상시 아주 적은 금액이나마 받는 보험금이 책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OO보험이라는 상품명을 쓰게 됩니다.
09/04/16 18:09
복리 이자에 마력은 있죠
장기적으로 본다면 보험업체 복리 상품들이 나쁜편은 아닙니다. 최저 이율 몇% 보장하는지도 중요 하죠 보통 4.5% 이율로 복리이자로 할거 같은데... 뭐 망해도 5천만원 금액까지 보장되는 형식이 많으니.. 어려울것은 없습니다만... 해당 상품으로 해서 검색하시면 많은 정보들이 나와있습니다. 한번 보시고 선택 하세요 ^^;; 솔직히 저는 행복재테크라고 20년 납입하고 30년까지 복리이자하는 상품인데 후회 하고 있습니다만... ㅠ_ㅠ
09/04/16 21:07
근데문제는 20년후 100만원이 현재의 100만원가치가 되느냐 문제겠군요. 물가상승률 5%따져서역산하면 되겠지만
그건 능력자분께서 해주실겁니다;;
09/04/17 00:14
은별님// 이쥴레이님// L.H.k님//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가 많이 되었습니다. ^^
은별님// 네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사망관련해서 보험이 된다고 안내 들었습니다.
09/04/17 12:09
월복리인지 년복리인지 확인하시구요..
최초 제시한 복리 이자율은 향후 몇년 지나면 변동 금리로 변하는 지 확인하시구요. . 저축 개념으로 접근하신다면 보험회사의 상품은 큰 매리트가 없다고 봐야 합니다. 사업비 명목으로 빠져나가는 금액이 적지 않죠 .. 중도 해약시 원금 손실 발생 가능성도 참고하셔야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