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05/01/16 03:05:05
Name SEIJI
Subject [유머] [펌] 어떤 사람이 문화 관광부에 쓴글
2005년 1월 16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저작권법에 대해 고찰해 보자.
  
왜냐하면 이 법이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따라 그간 네티즌들이 누려왔던 '문화적 행복 추구권'이 일순간에 박탈당할 수 있는 위기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저작권에 대해 고찰해 보자.

'저작권'이란 '저작자의 권리'이다.

저작자란 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말하며, 여기서 저작물이란 문학ㆍ학술 또는 예술의 범위에 속하는 창작물을 말한다.

이러한 저작권이 국민의 권리로서 인정된 것은 아직 300년도 채 되지 않는다.

서적에 대한 권리로서 저작권을 인정해주던 것이 오늘날에 이르른 것이다.

헌법 제22조 제2항은 저작자의 권리는 법률로써 보호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이 있다.

개정 저작권법에서 문제가 된 '실연자'나 '음반제작자'는 '창작자가 아니다'라는 점이다.

예컨대 어떤 음악을 주영훈이 작곡했다면 저작권자는 바로 작곡자인 주영훈이 된다.

베토벤의 음악을 빌헬름 켐프가 연주했다고 해서 그 곡이 빌헬름 켐프의 곡이라고 하기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주영훈이 작곡한 '페스티발'을 아무도 주영훈의 곡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를 부른 엄정화의 노래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엄정화 같은 가수나 연주자의 권리를 인정하기 위해 '실연자'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그러나 실연자는 창작자가 아니므로 저작권자가 아니다.

그래서 법적 용어로는 '저작인접권자'라는 용어를 쓴다.

그러나 창작자가 아닌 실연자에게 창작자만큼의 권리를 인정해줄 수 없다.

창작을 하지 않은 만큼 그 권리는 혹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제한된 범위에서만 인정되어야 한다.

음반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실연자는 오랜 노력을 통해 실연을 하게 되지만, 음반 제작자는 자본과 기계, 조직만 있으면 된다.

창작과는 전혀 거리가 먼 존재이다.  

그러나 음반이 팔려야 작곡가나 가수 등의 생계가 해결되므로 음반 제작자에게도 일정한 권리를 인정해 줄 필요가 있다.

예컨대 CD를 만들었는데, 불법복제 CD가 염가에 팔린다면 곤란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간 음반 제작자에게는 복제권과 배포권이란 배타적 권리가 인정되어 왔다.

이 이외의 권리는 음반 제작자에게 인정해줘야 할 이유가 없다.

지금까지는 창작자의 권리인 저작권과 저작권에 수반한 저작 인접권이란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국민의 권리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헌법 제10조에 규정된 '행복 추구권'이다.

그리고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서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만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헌법의 수권이 없는 한 어떠한 제한도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행해질 수 없다.

그런데 저작 인접권자의 권리는 헌법에 규정된 바 없다.

오직 저작권자의 권리만이 규정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저작 인접권자의 권리라는 것은 자신들의 생계를 위한 권리일 뿐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따라서 저작 인접권자의 권리는 국민을 대상으로는 행사될 수 없고, 동업자에 대해서만 행사될 수 있는 제한된 권리일 뿐이다.

그런데 개정 저작권법에서는 어이없게도 일반국민을 상대로 저작 인접권자의 권리를 인정해준 것이다.

이 법을 만든 문화관광부 관계자들이나 그 법안을 통과시킨 국회의원들이나 다들 제정신이 아닌 것이다.

어떻게 국민의 권리에 대한 ABC도 모르고 법을 만들 수 있는가?

'전송'이란 또 무엇인가?

'일반공중이 개별적으로 선택한 시간과 장소에서 수신하거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작물을 무선 또는 유선통신의 방법에 의하여 송신하거나 이용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저작권법 제2조 제9-2호)고 규정하고 있다.

쉽게 말하자면 이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메일에 음악 파일을 첨부하거나 메신저나 P2P로 음악 파일을 주고 받거나 심지어 자체 네트워크로 주고받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범하면서도 불명확한 개념이다.

'전송권'이란 바로 이렇게 할 수 있는 권리를 배타적으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즉, 음악 파일 등의 전송은 저작권자만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말이 되는가?

헌법 제17조는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헌법 제18조는 '통신의 비밀과 자유'를 국민의 권리로서 규정하고 있다.

저작권법 상의 전송 개념은 이들 두 조항에 정면으로 위배된다.  

모든 걸 포섭할 수 있으니 아무 행위나 걸면 되는 그런 불명확한 개념으로 법조문을 꾸민다면 그것을 어디 법이라고 할 수 있는?

그런 법이라면 게나 소나 아무나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송권이란 벅스뮤직 등의 음악 포털 사이트의 기업적 스트리밍에 한정해서 해석해야 할 개념이다.

사실 저작권자의 전송권은 이미 2000년 개정부터 저작권법에 포함되었다.

그것이 그간 문제가 되지 않은 것은 기본적으로 저작권자는 '창의', 즉 무언가를 만들어서 널리 이롭게 할 공명심이 마음 한구석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자신의 창작물이 널리 퍼지는 것이 반드시 나쁜 것만이 아니다.

또한 돈이야 가수나 기획사, 음반사, 방송사를 통해 벌면 되지 굳이 시비를 일으켜서까지 벌 필요는 없으니 그간 문제가 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저작자가 국민을 상대로 저작권을 따지고 드는 것은 헤프닝에 불과한 것도 한 이유였을 것이다.

그런데 이번 개정에서는 실연자, 음반 제작자 등의 저작 인접권자에게까지 이 정체 불명의 전송권을 인정했다.

아마도 벅스뮤직 등과의 싸움에서 곤란을 겪은 음반 제작자들이 문화관광부, 국회, 언론사 등에 압박을 넣어 만든 법이 분명하다.
  
따라서 그 주된 타깃은 국민이 아니라 아마도 벅스뮤직 등의 대형 음악 포털 사이트인 것이다.

그러나 다음, 엠파스, 네이버의 자신들 맘대로의 해석에 따르면 국민이 주축인 블로그나 미니홈피 운영자들에게까지 총구를 들이밀 수 있다고 한다.

영 틀린 말은 아니다.

저작권법의 문구대로 해석하자면 일반국민들도 이 법을 피해갈 수 없다.

일반국민들도 졸지에 범법자가 될 수밖에 없다.  

아마도 전국민의 범법자화가 순식간에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앞서서 말한 바와 같이 저작 인접권자의 권리는 법률상의 권리일 뿐이다.

헌법상 아무런 수권을 받은 바가 없는 음반 제작자들 사이의 권리일 뿐이다.

만일 국민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다면 '대한민국 헌법 방위시스템'이 얼마나 철저한가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아마도 국민은 헌법 소원을 제기할 것이고, 헌법 소원이 인용될 경우 차후 인구 수만큼 손해 배상 책임을 지게 될 것이다.

1인당 1만원씩 손해 배상을 해 준다 해도 2천억 원이다.

그러나 아마도 정신적 손해 배상 등을 포함한다면 1인당 5백만 원은 족히 될 것인데, 손해배상액 10조 원을 감당할 수 있는 음반 제작자가 있는가?

어디까지나 공상일 뿐이다.

대한민국 판사들이 바보는 아니니 위헌으로 판결한다고 하더라도 음반 제작자 입장도 고려할 것이니 손해 배상액 10조 원을 부담할 확률은 0.01%도 안된다.

그러나 그 이후로 음반 제작자의 운신의 폭은 현저히 줄어들고 네티즌은 자유롭게 음원을 공유할 수 있을 테니 실제 경제적 손실은 그만큼 될 것이다.

그래서 머리 좋은 음반 제작자에게 당부한다.

만일 권리를 주장하려면 업체들에게나 주장하도록 하고, 일반국민들의 음원전송은 용인하도록 하라.

괜히 시비를 걸었다가 힘들게 얻어 놓은 전송권조차 위헌 판결을 받아 날아갈 수 있다.

국민을 건드리지 마라.

그리고 네이버, 다음, 엠파스도 그들을 믿고 함부로 나서지 마라.

국민의 힘은 무섭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올빼미
05/01/16 04:50
수정 아이콘
결국 일반국민의 음원전송을 용인하라는 말인데, 그럼 법을바꾸는 의미가 없지않나요?
양정민
05/01/16 05:02
수정 아이콘
속이 후련하네요-_-
05/01/16 06:00
수정 아이콘
몇가지는 공감, 전체적인 논리의 흐름은 공감되지 않는 글이네요.

저작인접권자에 대한 용어정리라던가, 전송권에 대해서는 분명 공감을 합니다만
국민 개개인의 행복추구권이 있다면, 역시 인접권자 역시 행복추구권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생존에 대한 것인 문제인데 국민개개인의 행복추구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할 경우에 분명 제한 될 수 있는 것이라고 봅니다.
(인접권자던, 저작권자던 그들도 국민입니다-_-;)

전송권에 대해서는 분명 공감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만, 단지 법에 혜택을 받는 자들의
입장에서 보자면 비영리를 목적으로 음원을 사용한다고 해도 그것을 자신들의 영리에 불
이익을 주는 쪽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번 블로그나 까페에 이용되는 음원에 대한 간
섭이 된게 아닌가 봅니다.(그만큼 파일을 얻어내기가 용이합니다.)
(어디까지나 그들의 입장에서 이고, 또 쓰는 사람들 입장은 다르겠습니다만 어느쪽이 딱히
틀리다 옳다고 몰아주기는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국민 모두를 범법자로 만들것이냐

라고 하는데, 사실 엄연히 말해서는 권리를 침해했고 범법이라는 것은 분명 피해갈 수 없습
니다. 다만 이러한 저작권법의 확립이 가져다 주는 건 범법자를 잡아내기 위해서가 아니고 범
법자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가 아닐까요?

(뭐 해석하기 나름이겠습니다만)

ps 저는 오히려 소급적용이 되는게 틀린게 아닌가 봅니다..
이제껏 올라온 음원들에 대해서까지 법이 적용되는 것 같은데, 물론 사이버세상이 고정화된게
아니라서 어제의 것이 오늘에 흘러나갈 수 있는 문제이기때문에 불소급원칙을 깼다고 보기에도
애매한 구석이 있습니다만..
Libestraum No.3
05/01/16 11:55
수정 아이콘
협박하는 것도 아니고
웃음이 먼저 나오는데요.
어딘데
05/01/16 12:16
수정 아이콘
이번 법 개정의 핵심은 지금까지 공짜로 써 오던 거 이젠 돈 내고 써라 이고
찬성하는 입장에선 이젠 더 이상 공짜는 안 된다 돈 내라 이고
반대하는 입장에선 지금까지 공짜로 잘 썼는데 왜 이제 와서 돈 내라고 하냐는 거겠죠
전 찬성하는쪽입니다
이유야 어찌됐건 댓가를 바라고 만든 상품이라면 댓가를 지불하는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상품의 품질이 맘에 안 들면 안 쓰면 그만인거구요
Debugging...
05/01/16 12:31
수정 아이콘
이 사람 뭔소리를 하는건지.
저런 논리라면 저작권도 국민의 행복추구권에 걸리는거 아닌가요.
저작권도 따지고보면 생계유지를 위한 건데 행복추구권에 대해서 정말 제대로 알고 썼는지 부터가 의심스럽네요.
마지막 5-6줄은 안쓰느니만 못했습니다. 억지부리는 듯한 느낌만 주네요.
05/01/16 12:44
수정 아이콘
아무데나 국민을 들이대면 안되죠-_-; 예시당초 어느쪽이 권리를 침해한건지 이해를 못하시나....
정지연
05/01/16 12:52
수정 아이콘
처음엔 논리정연하게 출발해서 중간쯤부터 궤변으로 바뀌는군요. 대다수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보장받기 위해 저작권자의 행복추구는 무시해도 된다는거군요. 우리나라가 전체주의 국가라도 됩니까?
05/01/16 13:01
수정 아이콘
다른부분은 좀 뭐해도


그래서 그간 음반 제작자에게는 복제권과 배포권이란 배타적 권리가 인정되어 왔다.

이 이외의 권리는 음반 제작자에게 인정해줘야 할 이유가 없다.


이 부분은 공감 -_-;;; 음반사들이 왜 설치는지 모르겠군요
깊이^^함께id
05/01/16 13:22
수정 아이콘
명백한 범법에 대해서 벌칙을 강화 하는것은 범죄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수 있겠지만..
일반적인 것에까지 너무 엄격하게 법을 적용하려 한다면 범법자를 늘리고
오히려 그 범법 행위에 대해 무감각하게 만들수도 있지 않을까요?
또한 그 법이 법전에는 있으나 지켜도 그만 안지켜도 그만인 죽은 법이 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깊이^^함께id
05/01/16 13:37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 그럼 한 곡만 올려도 원칙상 법에 걸리는 걸까요?
그건 너무 가혹하지 않나요? 그리고 실제로 감시도 안 될것 같구요..
그렇다면 아예 '하루 몇곡 이상, 또는 얼마 이상의 용량을 공유, 전송하는 것은
범법이다' 라고 지정하는건 어떨까요?
공무원도 '얼마 이상은 뇌물이다'라고 적용하잖아요?
아무튼 그것도 감시하긴 어렵겠지만 추후에 근거 자료로 조사할 수 있다면
그것을 법 적용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적어 봤습니다.
05/01/16 15:12
수정 아이콘
정지연님 글쓰신분이 그런의도는 아니죠.
법을 공부해 보시면 법의 목적은(사실상은 모르겠지만) 약자 보호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다수 국민은 저작권자에 비해 약자일것이므로
약자를 보호하는 의미로 국민에게는 행복추구권이라는 폭넓은 권리를 인
정하고 저작권자에게는 좀 더 특별한 권리인 전송권이니 이런걸 인정하
는것이죠
물론 글쓴분이 약간의 억지가 있긴 하나 법률적으로 볼때는 꽤 타당한 면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05/01/16 15:16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전 변리사 수험생이고 저작권은 아니고 비슷한 법을 배우고 있습니다만..
저작권은 특허권(약20년)이나 상표권(10년)등과 달리 저작권자의 사후 50년입니다. 쉽게 얘기해서 보아가 지금 부르는 노래 보아가 죽은후 50년이 되어야 권리가 풀립니다. 제가 보기엔 좀 억지스럽게 길다고 생각되는데..아무튼 그렇게 막강한 권리인만큼 제한도 꽤 되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663 [유머] 지율스님에 대한 조갑제씨의 망언..(기사) [53] 정석보다강한9527 05/02/05 9527
10319 [유머] 음악저작권법 시행 반대 서명운동 [30] SEIJI9686 05/01/23 9686
10270 [유머] 이걸 보니 군대라는 곳이 더 신비롭게 느껴지네요 [23] 치토스11174 05/01/21 11174
10268 [유머] 프로게이머 X파일 [18] 김남기12738 05/01/21 12738
10261 [유머] 저작권에 대한 궤변....(퍼온글) [10] 최용훈9488 05/01/21 9488
10195 [유머] 연예인 99명 신상명세 온라인상 유출 물의 [19] 저녁달빛11884 05/01/18 11884
10161 [유머] 진짜 확실한 유머 [48] 한빛짱11716 05/01/17 11716
10127 [유머] [펌] 어떤 사람이 문화 관광부에 쓴글 [13] SEIJI10768 05/01/16 10768
10032 [유머] [기사] 이동국 병장의 정경호 이병 길들이기(?) [11] 낭만드랍쉽12282 05/01/11 12282
9958 [유머] 이영도 씨 작품의 인물관.......? [13] kama6220 05/01/08 6220
9946 [유머] 김상혁, 동남아인 비하 "기억 안나요!" [52] 머지4913 05/01/07 4913
9939 [유머] 교육부총리.. 사의??? [13] firstwheel2413 05/01/07 2413
9456 [유머] [단독공개] '어린신부' 문근영 슬픈 가족사 [28] 한빛짱5707 04/12/15 5707
9384 [유머] 초등학생과 국민학생의 차이점 [17] 질럿의꿈 ★4954 04/12/12 4954
9071 [유머] 선풍기 아줌마, 성형중독증으로 정신분열까지 [13] 바카스5938 04/11/25 5938
8852 [유머] [사진] 아역스타들 [16] 한빛짱7248 04/11/08 7248
8841 [유머] 어렸을때의 추억.. [투표] [8] 치토스2652 04/11/05 2652
8636 [유머] [펌] "짜장면"은 관습 헌법 [43] 탄야4411 04/10/23 4411
8573 [유머] 시인과 대략 초등학생들의, 때론 극적인 만남.. [10] DeaDBirD4752 04/10/18 4752
8531 [유머] 만인에게....아니 만명에게 평등한 법? [7] Connection Out3860 04/10/15 3860
8439 [유머] (펌) 올해의 히트상품으로 선정된 과자들. [12] 산넘어배추5981 04/10/09 5981
8421 [유머] [감동적인글] 슈퍼맨.... [26] 하이맛살4602 04/10/07 4602
8396 [유머] [색연필]콘돔 우리말 이름은? ‘고추 장갑’ ‘똘이 옷’… [18] L.i.E.S3989 04/10/05 39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