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10/05 20:54:48
Name Paloalto
Subject 경제학에서 미시와 거시로 경제원론 응용문제 커버할수있나요?




미시와 거시로 경제학공부를 하고있는데요;

맨큐원론 2번 정도봤고

이영환저 미시와 정운찬저 거시 보고있는데요


미거시는 너무 세분화해서 가르치는 것 같아서

원론적 개념의 응용문제와 적합한지 의구심이 드네요;;


미시 거시 수업 열심히 들어 어느정도 이해한다면

맨큐 원론 응용문제나 이준구 원론 응용문제정도는 커버가가능한가요?

아니면 원론을 봐야하는 건가요 ㅠ 답변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10/05 21:07
수정 아이콘
원론책들이 미시+거시 기초들을 모아놓은 책입니다. 제대로 공부하신다면 당연히 풀 수 있습니다.
따로 보실필요 없습니다. 단 어느정도 수준까지를 원하시는지 모르겠는데 단순히 원론문제를
풀 정도의 수준만 원하신다면(어떤 시험을 준비하시는지 몰라서) 미+거시를 제대로 공부
하는데 드는 시간 대비 효율이 원론만 보는것보다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과일깍을려고 회치는 걸 배운다고 해야 할까요?^^)
p.s 정운찬 거시 같은 경우 최신판은 모르겠는데 구판같은 경우 원론에서 배웠다고 가정하고
고전학파 대부분을 소개하지 않고 있습니다.(현 거시흐름에서 그부분이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요)
Paloalto
10/10/05 21:13
수정 아이콘
경제학전반에 대한 문제인데
출제 범위는 원론이라고 되어있으나 그 원론의 커리큘럼이 경제학원론I (미시) 경제학원론II (거시)로 진행되고있어서
한마디로; 미거시범위가 들어가지만 어느정도 기초정도일듯하거든요; 감이 잘 안잡혀요 흑..
황종휴 경제학 기초강의듣고있는데 이것도 너무 오바하는것같기도하구요...
Paloalto
10/10/05 21:23
수정 아이콘
편입 준비하고있습니다 ^^;;;
고대를 목표로해서 전공이 완전 중요하진않는데; 그래도 1차합격후면 거의 100%전공의시험으로 나눠져서
전공에 좀 많이 투자하고있구요;
좀 잘된다싶으면 연대와 시립대 (온리 전공시험)까지 지원도 할생각이라서요;;
어떻게하는게나을까요?; 경제학이어려워서 강의없이는;; 좀힘든것같아서요...ㅠ
Paloalto
10/10/05 21:51
수정 아이콘
연대 고대는 주관식 서술형시험이라 7급강의가 아닌 행시강의선택했구요; 시립대는 객관식인데
사실, 연대는 예비2순환까진들어야한다길래-_-; (사실; 편입영어는 잘하는데 토익이 안나와요 ㅜㅜ)
그래서 별 생각안하고 고대만 보고있는데
작년까진 그다지어렵게나오진않았는데 점점 전공의비중이 높아진다고 하고 ;
전 비전공자인데 1차합격한 전공자와 전공시험에서 겨룰려면;; 좀 많이알아야될것 같아서요;
문제 보시면 어느정도인지 파악해주실수있나요;;ㅠ
Paloalto
10/10/05 21:55
수정 아이콘
작년 연대 기출입니다;;

1. 코카콜라와 Dr pepper(둘다 MC는 $0.30)내쉬 균형을 찾으시오.
2. 물(W) 10갤런과 음식(F) 10단위
U(A)=F(제곱)*W U(B)=min
F,W

초기 부존점은 A=(2,5), B(8,5). 경쟁 균형점을 찾고, 가격비율을 찾을것
3. 통화량 증가에 따른 명목 이자율, 인플레이션율, 실질 이자율,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산출물 gap을 설명하시오.
4. 1차 동차함수 솔로우 모형
a. 인구 증가율 효과
b. 기술진보효과
c. 균제상태에서의 1인당 자본효과


이건 작년 고대 기출과 면접이에요..

경제학과
1. 한정된 예산을 활용하여 쌀과 옷만 소비하는 OOO씨가 있다. 그의 예산을 I, 쌀의 가격을 Pr, 옷의 가격을 Pc라 할 때 가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이경우 OOO씨의 예산성과 무차별 곡선, 최적화점을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2) 옷에 10%의 세금이 붙었을 때의 예상선과 변화된 무차별곡선을 구하고 이 때 소득효과와 대체효과를 설명하시오
3) (b의 조건과 상관없이) 무차별곡선이 정상적인 선호체계 하에서 성립될 경우 무차별 곡선은 볼록성을 가지며 "평균이 극단보다 선호된다" 고 하는데 이를 쌀과 옷만을 사는 위사람의 예를들어 설명하시오.

2. 한 경제 내에 고대통신이라는 화사가 있고 사람들은 고대통신이 생산하는 전화서비스만을 소비한다고 한다. 이 때 수요함수는 P=28-0.0008Q 이고, 고대통신이 제공하는 전화 서비스의 한계비용의 함수는 MC=0.0012Q이다.
1)이경우 생산량과 가격을 구하시오.
2)사회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수준에서 전화서비스가 생산될 경우의 생산량과 가격을 구하시오.
3) (가)의 경우 발생되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를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4) (다)의 경우 자주손실이 발생하는가?
5) 고대통신이 제1급가격차별을 실시할 경우 총생산량을 구하시오.
6) (마)의 경우 발생되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면접)
1. 학교의 입장에서 당신을 선발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보시오.
2. 경제학이 현실을 정확히 예측한다고 생각하는가?
3. 경제학의 기본전제는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인데, 현재 이에 대해 이의가 일고 있다.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4. 향후 경제학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어느정도 수준이고 고대는 이거보다 어느정도상향과 폭넓게 알아야된다고했을시 어느정도일지 판단부탁드려요..;
Paloalto
10/10/05 22:16
수정 아이콘
고대에 거의 올인이라 고대난이도를 놓고봤을때는
미거시 수업은 시간사치인가요?;;
그리고 주관식 서술형 시험에서의 경제학 모범답안 형식을 알고싶습니다;
번거롭게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10/10/05 22:18
수정 아이콘
서술형 답안의 정석은 직관적 설명+수식풀이+그래프 세가지가 모두 있는 것입니다.
계산형 문제같은 경우(위의 예에서 미시문제) 수식으로 답 구해주시고 그래프 그리고 약간의 직관적 설명
(예를 들어 반응곡선 1,2가 만나는 점에서 균형이다 등등, 그래프와 수식의 해석이라고 해야되나 - 책에 나와
있는 설명부분이죠 - 적어주시면 됩니다.미시 교수님들 같은 경우는 계산위주로 답안 작성하시는 걸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위의 예에서 거시문제 같은 경우는 그래프에 따른 변화를 잘 표시해주시고 이에 대한 설명을 보충, 그리고
문제에서 주어지는 변수가 미치는 영향의 흐름위주로 설명하시면 됩니다.)
연대 경우- 미시 수식풀이 50% 그래프 30% 설명 20%
거시 그래프 65% 설명 35% 제가 작성한다면 대략 이정도 비중으로 작성
고대만 본다고 했을 때 난이도가 어느정도까지 올라갈지 모르겠지만 저 문제들은 원론 수준에서
충분히 커버 가능합니다.
그리고 문제를 많이 풀어보시는게 좋습니다. 경제학 문제(특히 미시의 경우는) 어느정도
형태도 일정하고 푸는 로테이션 또한 거의 비슷하니까요.(고등학교 수학공부랑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10/10/05 22:32
수정 아이콘
미거시 시간사치인가 -> 이 질문에 대답하기 참 어려운게
확실히 미 거시를 공부하신다면 원론의 내용들이 훨씬 쉬워집니다.(당연한게 원론을 세분화 심화시켜놓은거니까요)
미거시를 안하신다면 -> 확언할 순 없지만 연대 수준의 문제는 풀기 힘드실 겁니다.
단 고대 수준의 난이도는 응용문제를 얼마나 잘 준비하시느냐에 따라 충분히 커버가능합니다.
미거시를 한다면 -> 연대 시험도 한번 준비해 볼 수 있습니다.
고대 문제를 푸는데 한결 수월해 지실 겁니다.
경제학은 제가 생각하기에 투자한만큼 나오고 노력한 만큼 실력이 느는 것 같습니다.
제시해 주신 고대 문제가 딱 원론 난이도 수준의 문제이긴한데 그렇다고
중요한 편입시험을 준비하시는데에 "시간아까워요 하지마세요" 하기에는 조금 애매한 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이런 답변을 원하셨을 수도 있지만요)
주저리 주저리 떠들기만 하고 별 도움도 되드리지 못한 거 같아 죄송합니다.
Paloalto
10/10/05 22:49
수정 아이콘
아니에요; 너무 감사합니다..;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어느정도 감이 잡힐것 같네요;
송구스럽지만 마지막으로 질문 하나만 더 드려도 될까요?;
사실 3개월여 남지않은 시간인데
이제 미시 4강정도-_-; 하고있는데; 연대는 포기하고있거든요;;
사실 거긴 금융공기업 준비하다가 치는 학벌바꿔볼까하는 사람들의 시험에 가까워서요-_-;;
영어에 자신도 있고 그리고 영어공부에 시간을 경제학공부로 하루 3시간이상 더 할애하기가 불가능해서그런데
고대를 목표로 한다면 지금 이 경제학 강의 접고 -_-; 이준구 원론 + 문제풀이책으로 가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깊게 미거시 본후에 짧게 문제풀이로 감 잡는게 나을까요?;
고대 작년 기출보다 쉬워질것 같진 않지만; 그렇다고 연대 경제학 문제 난이도 까지 올라가지 않고
저정도 수준에서 응용정도의 형식으로 나온다고 할때 이준구원론 문제풀이가 나을지;
사실 제 맨큐 2번읽은 제 수준에서도; 이번 고대 기출정도는 어느정도 감이 나올것 같기도해서요..;

사실; 제가 짜논 커리큘럼이;; 황종휴 경제학 기본강의로 미거시 파트까지 이해한후
맨큐 응용문제 풀고 이준구 원론에 수록된 응용문제까지 풀 생각이었거든요;; (고대만 준비한다고 가정할시;)

님 말씀 들어보니;; 사과깎다 회뜨고있는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ㅜㅠ
개인적으로 경제학 공부를 너무 재밌게 하고 있고 사실 어짜피 경제학 그 학문 자체에 꿈이 있어서 가는거라
경제학 공부 자체가 아깝다는 생각은 안듭니다만;
저한테 할당된 시간과 하루 공부 시간은 24시간 이상 늘릴 수는 없는데 영어 공부는 하루 보통 10시간정도는 할애를
해야 되서;; 최적의 선택점을 잡긴 잡아야 될것 같아서요...
이도저도 안되다 다 떨어진후 고향으로 내려가면 안될것 같아서요;;
10/10/05 23:25
수정 아이콘
리플 쓰다가 다 날려먹었네요ㅠ.ㅠ

제가 고대만 준비한다고 생각했을 떄는 이준구저 경제학원론 부분 이론만 잘 정리하고 연습문제 풀어보고
다른 책 연습문제 풀어본 다음에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거나 막히는 부분(원론으로 해결안되는 것 같은 경우)
미거시 책을 부분부분 발췌해서 읽어보겠습니다.
(시험용 경제학은 개인적으로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게 좋은 거 같습니다. 미시 같은 경우 챕터별 대표적응용문제의 형태가
비슷하고 풀이법 또한 비슷하니 이 로테이션을 알아두시고 대표적문제는 풀이법까지 정리해 두시면 문제풀이 시간이 점점
줄어 드실 겁니다. 거시의 경우 문제의 변수가 어떤경로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와 이것이 모형의 그래프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그 이전에 어떤 모형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야하지만)를 아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시간활용 잘 하셔서 부디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 공부하실때 구조화 하시면 좋습니다(이미 하고 계실지 모르지만)
예를 들면 미시 소비자 - 생산자 이론(둘이 똑같죠. 쌍대성) ->상품시장
이들이 모인 시장조직론(완전경쟁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생산요소시장 -> 생산요소 시장
모두 합쳐진 일반경쟁균형 -> 후생경제학파트 완전경쟁의 장점을 나타내줌
이와 대조적인 시장실패(외부성 공공재 정보경제학)
거시는 시대별로 학파들의 대두와 이론의 발전 변천사 그들의 대표모형등을 흐름별로 정리하시면 좋구요
(대표적인 경제적 사건들과 같이, 대부분 이론들의 발전은 경제현상을 설명하기 위한것이니까요.)
10/10/05 23:44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이준구 저 경제학원론 책을 꺼내서 봤는데 고대 문제 기준 1번은 원론 책에서 모두 커버 가능하고
2번에서 다른 문제는 다 괜찮은데 5)번 제1급가격차별 독점자에 대한 설명이 없네요ㅠ.ㅠ;
생산량은 p=mc인 점 이라는 너무나도 간단한 문제인데 설명 자체가 없으니 --; 조금 난감해지네요.

-황종휴 기본강의를 다 듣고 책읽고 정리, 연습문제 풀이 하시는데 2달정도에 가능하시다면
(개인적으로 2달이면 가능하다고 생각해서요)총 3달에 2달 투자하시는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위에 말한 것처럼 이런 부분만 미거시책에서 보충하셔도 되고요

-이랬다 저랬다 하는것 같아 죄송합니다. 좀 더 일찍 책을 확인했어야 했는데 설마 1급가격차별이 없을 줄은 생각도 못해서요.
(참고로 제가 본 책은 이준구저 원론 3판입니다.)
Paloalto
10/10/05 23:35
수정 아이콘
공부시간이 얼마안남아 사실 좀 막막했는데;
남은 기간 가야할 길을 가르쳐주신것 같아서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합격하면 정한님 덕분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ㅠ
하시는 일 잘되시고 복받으실거에요. 저도 좋은 성과내도록 노력할게요;
Paloalto
10/10/05 23:53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맨큐를 봤지만 자주손실과 1급가격차별을 들어본적이 없어서;; 두려웠어요;
그럼 그대로 황종휴 기본강의로 한 45일 잡고 그이후 문제풀이로 가는게 낫겠네요 ^^;
또 이번해엔 어떻게 나올진 모르는 거라; 그래도 훑어라도 가는게 나을것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2386 프로야구 구단 롯데 자이언츠는 왜이렇게 팬이 많죠? [24] greensocks2424 10/10/05 2424
92385 길 고양이관련 도움요청합니다. [1] 자이너부1260 10/10/05 1260
92384 야구에서 투수보다 타자가 더 높은 연봉을 받는 이유 [39] 샤르미에티미5436 10/10/05 5436
92382 남자 가요 옥타브 질문입니다 [7] 개떵이다3536 10/10/05 3536
92381 슈스케에 관한 간단한 질문입니다. [4] 성시경1281 10/10/05 1281
92380 어려운 곡들을 부르는 가수들 누가 있을까요 [9] DynamicToss1786 10/10/05 1786
92379 경제학에서 미시와 거시로 경제원론 응용문제 커버할수있나요? [17] Paloalto3483 10/10/05 3483
92377 배리본즈는 1996년에 왜 MVP를 받지 못한건가요? [8] 凡人1818 10/10/05 1818
92376 헬스 초보가 질문합니다. [1] FernandoTorres1302 10/10/05 1302
92375 노스페이스 패딩 진품 여부 판단해주세요 [1] 고도칸황1592 10/10/05 1592
92374 자동차 외형 복원관련 질문드립니다 ㅠㅠ [3] Hateful1422 10/10/05 1422
92373 플래시 고수분께 질문 드립니다... MokCanDy1266 10/10/05 1266
92370 이런느낌의 영화 또 없을까요 [6] 아레스1643 10/10/05 1643
92369 서울 게스트 하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Jungdol1280 10/10/05 1280
92364 피지알의 공대생님들 아답터 규격좀 알려주세요 [5] 양파링1457 10/10/05 1457
92362 자동차 극장 질문 좀.. [4] 베일1556 10/10/05 1556
92361 공간 지각능력의 부족이 1인칭 시점의 게임할 때의 멀미와 관련이 있을까요? [6] 귀여운호랑이3339 10/10/05 3339
92360 생일선물 추천해주세요~! [1] 유안1383 10/10/05 1383
92359 야구 야수선택 질문입니다. [4] BBoShaShi1510 10/10/05 1510
92358 드라마 추노 종영할때.. [3] 홍Yellow1574 10/10/05 1574
92357 인터넷 브라우저에 표시된 그대로 따올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8] I아이유U1494 10/10/05 1494
92354 옵티머스큐 질문입니다 [4] ChRh열혈팬1557 10/10/05 1557
92353 아이폰4 질문입니다~~ [5] 이재열1534 10/10/05 15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