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9/01 14:57
요즘 하도 장기, 장기 그러는데.
오래 묵혀놓은 것이 결코 장기 투자가 아닙니다. 버핏 할아버지가 하도 "30년 묵히기" 떡밥을 전세계로 퍼뜨려서 요즘의 주식 투자자는 자신의 자산이 어떻게 새나가는지 관심조차 없는듯합니다. 간단히 말해 주식시장에 있어서 기업의 가치는 +,-해서 사이클 곡선을 그립니다.(적어서 일정 모델에서 말이죠) 그 - 저점과 + 정점의 텀이 장기적(몇년 혹은 몇십년)인 기업들이 있습니다(보통 생존성과 항상성이 높은 기업이라 합니다) 이런 기업에 있어서 장기 투자를 하는데 삼성은 적어도 생존성인 측면에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1년뒤 만기면은 결코 장기 투자라고 할 수 없습니다. 전체적으로 삼성 우량주들은 지금 한참 평지를 달리고 있는 듯 보이나 -곡선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이것이 1년 뒤에 + 곡선을 찍을 수 있을 까요? 그건 비관적입니다. 또한 질문하신 분이 드신 펀드는 거의 직접투자와 다름이 없습니다. 펀드라기 보다 대리 투자에 가까운 상품이죠. 즉, 시장에 민감하단 뜻입니다. 한참 정점을 달리고 있다해도 이 회장이 다시 검찰이라든가 어떤 스캔들이 터지면 주가는 다시 폭락하겠죠. 일단 이 상품을 꾸준히 가져가시고 싶으시다면, 특히 주식 공부를 하고 싶으시다면 시장의 흐름과 삼성 대장주들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시는 것이 좋은 듯싶습니다. 그리고 1년뒤 직접 자문해보세요. 지금 삼성관련주의 가치는 어떠한가? 사이클의 어느 곡선에 있는가? 주변 상황은 우호적인가? 기업 내부 실적은 건실한가? 삼성 관련 주에 대해서만 열심히 공부하셔도 한국 대장주들의 흐름은 터득하시게 될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