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04 14:04
요새 경제학 논문 보면 수식이 거의 절반..
경영학에 쓰는 수학의 양과 깊이 =경제학에 쓰는 수학의 양과 깊이x100,000 정도? 학부공부면 수학적 재능이 좀 떨어져도 빡시게 하면 따라잡을 수 있긴하고요, 대학원 공부는 수학 못하면 경제학 못합니다. 근데 미리 신입생 때 수2까지는 보는 경우는 주변에 거의 없는지라;; 수1정도까지만 복습삼아 훑어주어도 훌륭한 예비 대학생입니다. 대부분 놀기에... (근데, 1학년 때 배우는 경제학에서는 수학을 별로 안씁니다. 2학년때부터 본격적으로...) 암튼, 수학도 수학이지만 영어에 더 비중을 두셔서 정말 열심히 하시고요... 매일 공부할 각오로
06/12/04 14:48
수학의 경우는 향후 대학원 진학이나 유학가실 계획이 있으시면 심도있게 공부하세요. 단지 학부 졸업후 취직하실 생각이시면 굳이 미리 예습할 필요까지는... 그때 그때 과목 수강하면서도 충분히 따라가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미리미리 하시는 것이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굉장히 독한 마음을 먹고 공부하실 경우를 제외하면요.
06/12/04 16:06
수학이라는게.. 학부생 상황에서 혼자 어떻게 독학한다고 되는게 아닙니다.
아예 대학원생 찾아가서 "랩에서 하는 통계 세미나 끼워주세요.. 뼈가 부서져도 못알아들어도 앉아있을께요" 라고 하지 않는 한.. 대학교/대학원 수학을 독학으로 터득한다는 건.. 거의 100% 구라입니다. (후... 대학원 통계학과 과목 들었을 때의 비참함이란..)
06/12/04 18:47
보고 들어가세요;; 경제학과가 문과에 있다는거 자체가 유머입니다 정말 -_-;;; 일부 미적관련해서는 공대쪽 보다 훨씬 깊게 해야한다는 푸념을 제 친구가 하더군요 흐흐;; 힘내세요!;
06/12/04 22:47
수2 미적분 꼭 하고 가세요. 저도 왜 경제학과가 문과에 있는진 모르겠지만.. 재밌는 교육제도가 문과생은 미적분 안해도 되게 만든탓에..
저희학교 같은 경우는 요즘은 공대생이 경영 경제과 수업 들으면서 미적에 약간 문과생 상대로 학점 다 따간다고 못듣게 할 정도입니다..-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