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04 12:30
제가 아직 2학년이라 자세히는 잘 모르겠지만...
통계쪽 좀 공부하셔야할거구요 미적분 제일 기초만 알면 2학년까지는 버티는데;; 3,4학년은 아직 잘 모르겠군요-_-;
06/12/04 12:33
학교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만은, 학교에 따라서는 경영학과 학생들에게 경영수학 혹은 교양 과정 상의 대학수학을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있을 겁니다. 후에 배우게 되는 전공과목(계량, 생산 등)에서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잠깐 봐주기로 하셨다면 미분을 위주로 하셔서 미적분 전체를 한번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미분방정식이나 편미분도 나왔던 것 같고.. 행렬, 통계 등도 나오지 싶네요. 생각만큼 그렇게 (특히 경제학에서의 수학 비중과 비교하면) 경영학에서 수학을 많이 요구하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미적에 대한 개념만 잡아주셔도, 학생이 대학 들어와서 어차피 수학 과목을 수강해야 할 테니 그때 도움이 분명 되리라 봅니다.
06/12/04 12:36
흠 전 1학년인데 아직 잘 모르겠네요.
다만 군대갔다와서 2학년때 경제학도 좀 배울까 싶은데.. 미적분 어떻게 공부하지 -_-;
06/12/04 12:37
답변추가- 제가 배웠던 경영학과용 수학 교양 과목의 요즘 목차를 한번 찾아보니.. 전 6차 세대인데 아무래도 요즘 7차 세대가 문과가 미적분을 안배우니 미적을 가르치기 위해 수학 과목을 더 늘린 것 같군요.
일단 기본적으로 미적분에 대한 개념이 없는 요즘 문과생들을 위해 함수와 수열의 극한, 미적분의 개념 및 응용, 삼각함수의 개념, 삼각함수의 미분, 역삼각함수와 복소수, 복소수의 극형식과 거듭제곱, 로그 및 지수함수의 미분, 쌍곡함수, 미분방정식, 치환적분, 부분적분, 분수함수의 적분, 극좌표, 근사다항식 등을 먼저 가르치고, 그리고 다음 학기에 행렬, 연립방정식, 좌표공간과 벡터, 선형변환, 미적분, 헤시안 행렬, 라그랑주 승수법 등을 더 가르치는 것 같습니다. 물론 학교마다 커리큘럼의 차이나 수학 비중의 차이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단순히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견으론 위에서 열거한 저 정도면 경영학에서 필요한 수학 이상으로;; 수학이 나올 만큼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배우라고 한다면 어려워 미칠 듯 하네요;)
06/12/04 13:57
전 미적분 배우고 경영학과 들어갔지만 경영학에서 정말 수학다운 수학이라곤 통계학 시간에 공식 써먹는 것 빼고는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한마디로 심층적인 통계학을 공부 할 것이 아니라면 미적분은 쓸모 없을것 같네요. 전술이나 전략 부분은 수학이 아예 필요가 없고, 회계학 부분은 그냥 사칙연산만 하면 됩니다. 기초 통계학은 고등학교에서 배운 통계공식 외에는 전혀 사용하질 않습니다.
06/12/04 13:57
별로 걱정하실 거 없습니다. 경영학에서 쓰는 수학의 양은 정말 적습니다. 분야마다 약간 차이가 있긴해도, 깊이 있는 수학은 대부분 없습니다.
06/12/04 14:36
경영학 과정 중에 수학이 쓰이는 경우를 보면
주로 경제학과 통계학 관련 과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로 경제학에서는 미분이 많이 쓰이고... 이유는 효용 극대화 또는 이윤 극대화 등과 같이 어떤 함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구하는 문제가 많기 때문이며 통계학 관련 과목에서는 적분을 많이 쓰는데 이유는 어떤 사건의 확률이라는 것이 어떤 구간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의 면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경제학 관련 과목에서도 적분할 일이 종종 있고 통계학 과목에서도 미분할 일이 종종 있습니다. 아마도 학부 수준에서는 간단한 미분 적분 정도만 하면 과정 따라가는데 별 문제는 없을 것 같구요. 이 분야쪽으로 보다 심도 있는 공부를 하실 의향이 있는 경우 한 살이라도 어릴 때 미적분 개념을 바로 잡아두시면 나중에 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