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3 21:35:45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교사가 되기 위한 조건에 관한 질문이자 의견을 듣고 싶네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13 21:39
수정 아이콘
타 직업들도 비슷하다고 느끼는데요
다만 교육의 중요성 때문에 다른 직업군들보단 더 별로네요
16/03/13 21:42
수정 아이콘
실제 그런 선생님들 많습니다.
수업 때 혼자 칠판과 수업하시죠..
16/03/13 21:44
수정 아이콘
이기주의자 맞죠. 근데 현실에 엄청 많이 존재하더군요.
16/03/13 21:45
수정 아이콘
별 생각이 없을거 같긴합니다만
안정적이고 적당히 돈을 벌 수 있으며 연금도 타먹을 수 있는 타 직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적성에 안맞는 교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선 의문이네요.
16/03/13 21:45
수정 아이콘
안정적인 직장이라 선택하는게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최소한의 책임감은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6/03/13 21:47
수정 아이콘
저런 사람이 같이 일하면 불만은 제일 많아요 ㅡㅡ
책임감도 없고, 열심히도 안하고, 궁시렁만 대고...
같이 지내기 진짜 짜증나는 부류죠
해원맥
16/03/13 22:17
수정 아이콘
일겅
R.Oswalt
16/03/13 21:47
수정 아이콘
제시해주신 부분이 좀 과격한 느낌이 있어서 조금 다르긴 하지만, 저도 교직에 대해 회의를 느껴서 임용고시 한 번만 보고 현재 공무원 준비하고 있습니다.
처음 사범대 택해서 들어갔을 땐 국어교과서에 나오는 섬진강 시인 김용택 선생님이나, 제 은사님들처럼 인간적으로 즐거움을 쌓는 교사를 꿈꿨습니다만, 교생 나가고 현직 종사하는 선배들, 각종 매체에서 나오는 현실들이 제가 그리던 것들과는 많이 다르게 보이더군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는 학생과 학부모들과 상대하는 부담감 등... 제가 그러한 현실을 극복하고 그 분들처럼 교직에 종사하면서 좋은 교육자로 일할 수 있겠느냐 자문해보면 딱히 자신이 없었습니다.

졸업 하자마자 붙어서 지금 교직에 나간 초보교사 동기녀석들도 그렇고, 선배님들이나 은사님들 생각해보면 말씀해주신 것과 같은 사고를 가진 사람은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허나, 관련 전공을 수료했거나 하고 있는 학생들, 그리고 현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이 그런 사람을 보고 느끼는 감정은 글쓴 분께서 적어주신 것과 큰 차이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소야테
16/03/13 21:47
수정 아이콘
현직교사에게 물어봤습니다.
"동료로서 싫다, 다 티가 난다. 본인으로서도 큰 불행이다. 책임감 없는 교사 고용은 국가로서도 손해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교사의 역량과 자질을 제일 잘 안다. 그런 교사는 학교에서 꺼져주는 게 모두에게 행복한 길이다."
냥냥이
16/03/13 21:48
수정 아이콘
직접 아이들을 가르치지는 않지만, 관련 업계(?)에서 일하는 입장에서 보면
임용된다면 "정말 인생이 지루하겠구나"

학교라는 데가 일의 종료라는 개념없이, 아이들만 바뀌는 채로 20년, 30년을 해나가야 하는 곳이라는 것을 이해한다면,
이미 경력 10년도 안된, 그래도 소신과 열정을 가진 선생님들이 학교공익들이 소집해제할 때 부러워 하는 것을 그분은 아셔야 할 것입니다.
단순히 방학이 있다, 안정적이다. 적당히 돈을 벌수 있다라고 생각한다면 글쎄요. 그 '지루함'을 견뎌낼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선생이라는 직업은 '지식을 전수'하는 게 아니라 '아이들(학생이라는 인간)에 대한 관심'을 파는 직업입니다.
16/03/13 21:48
수정 아이콘
어차피 교사를 전문 직업인으로 생각하니 수업만 잘하고 기본 업무만 잘하면 별다른 기대는 없습니다.
아이들을 정말 사랑하고 스승인 분들도 계시지만 어느 순간부터 기대를 내려놓게 되더라고요.
회색사과
16/03/13 21:49
수정 아이콘
감정을 느끼는 주체.. 가 주어져 있지 않네요!
그냥 제 기준으로 생각하자면...
뭘 어쨌건간에 할 일만 제대로 하면 별 문제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애들을 좋아하고, 실력도 있는 선생님들이 일을 더 잘하고, 멋진 선생님이 되시는 확률이 높겠죠]
어둠의노사모
16/03/13 21:53
수정 아이콘
뭐 개인이 저런 생각을 한다고 뭐라 할 수는 없죠. 저걸 해결하는 하는 건 시스템이니까요. 어느 직업군이나 저런 유형의 사람은 많고.
그리고 교사는 이미 스승의 직위는 예전부터 내려놓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걸 해 줄 수도 없고 요구해서도 안되죠.
그리고 학창시절 돌아보면 저런 마인드 아닌 교사 찾기가 솔직히 더 어렵지 않나요? 젊은 선생님 몇몇이나 안그렇지...
싸이유니
16/03/13 21:54
수정 아이콘
이기적이라 생각되어지지만 제주변 교사를 하고있는 친구들의 반정도는 교사를 그냥 취업과 미래보장의 수단으로 이야기하는지라 크게나빠보이지는 않아보입니다
나의규칙
16/03/13 21:57
수정 아이콘
"나는 애들 꼴도보기 싫고 관심도 없으며 내 교과의 수업에 별로 신경 안 쓴다. 하지만 안정적이고 방학이 있으며 적당히 돈을 벌 수 있는데다 연금도 타 먹을 수 있으니 교사가 되겠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본인을 위해서라도 교직에 안 들어오는 것이 낫습니다. 꼴도 보기 싫은 애들 어떻게든 계속해서 봐야 하는데 그것만으로도 고통입니다.

이런 교사를 다른 교사들이 몰라 볼 일도 없고.. 학교 내에서 고립되기 일수고, 학부모와의 관계도 최악이 되기 일수인데.. 버틸 수 있을까요? 그렇게 버티는 많은 분들을 보긴 했지만 그게 뭐 좋은지는 모르겠습니다.
Nasty breaking B
16/03/13 22:07
수정 아이콘
일단 임용부터 통과해야...
그 이전엔 하등 신경 안 쓰이네요.
Break Away
16/03/13 22:29
수정 아이콘
전 괜찮은데요;; 이미 대한민국은 비지니스의 사회로 접어들었다고 생각합니다.
16/03/13 22:49
수정 아이콘
결국 본인이 괴로워서 관두지 않을까요? 그쪽도 적성에 안맞으면 스트레스가 심하다고 하네요.
16/03/13 22:51
수정 아이콘
애들을 사랑까진 안해도 꼴도 보기 힘들면 선생하기 힘들고, 수업도 똑바로 할 생각이 없으면 선생 하면 안되죠. 선생으로도 동료로서도 최악입니다.
대머리
16/03/13 23:16
수정 아이콘
본인 안위에 관심이 얼마나 있건 그건 아무 상관없죠. 요구되는 최소한의 직업윤리만 지키면, 그러니까 교사로서의 요구되는 역할만 정상적으로 하면 됩니다. 근데 애들 꼴보기 싫고 수업도 제대로 안 하겠다는 건 그거 전혀 못 지키는 거고, 욕 먹어야할 일이죠.
Rorschach
16/03/13 23:23
수정 아이콘
애들 꼴보기 싫은거야 실제로 애들한테 피해만 안주고 할 일 잘 하면 별로 상관없는데 본인 교과 수업엔 신경써야죠.
공개무시금지
16/03/14 00:26
수정 아이콘
본인 교과 수업도 관심이 없는데 임고 붙을리가요......
학교밥 먹고 사는 사람으로 저런 케이스 의외로 잘 보입니다만 뭐 애들 입장에선 저런 사람은 없는게 최선이죠.
다크템플러
16/03/14 00:42
수정 아이콘
나는 환자들 꼴도보기 싫고 관심도 없으며 내 환자의 수술에 별로 신경 안 쓴다. 하지만 안정적이고 적당히 돈을 벌 수 있으니 의사가 되겠다.
나는 고객들 꼴도보기 싫고 관심도 없으며 내 고객의 재판에 별로 신경 안 쓴다. 하지만 (중략) 변호사가 되겠다.
이런 경우와 비슷해보입니다. 다른게 있다면 고객들이 의사나 변호사를 선택할수있지만, 많은 학생에게는 그럴기회가 없다는정도

개인적으로 법조인이 사람의 과거를 책임지고, 의사가 사람의 현재를 책임진다면 교사는 사람의 미래를 책임진다고 봅니다.
16/03/14 09:06
수정 아이콘
개인이 그렇게 산다는데 입장 이해는 합니다만
교사가 아니더라도 그런 부류는 참 매력없고 같이 일하기 싫죠.
본인도 그렇게 하면 더 힘들텐데 어리석다는 생각도 들고요.
다리기
16/03/14 10:24
수정 아이콘
열정을 갖고 시작했지만 학생과 학부모한테 시달리다가 흑화해서 열정 잃는 경우는 흔해 빠졌죠.
5년 10년 지나고도 부임 초기의 열정을 가진 선생님이 있다면 둘 중 하나겠죠.
태생부터 선생님으로 태어났거나, 운 좋게 뭣같은 학생과 뭣같은 학부모..를 안만났거나.
재활용
16/03/14 17:07
수정 아이콘
공무원 임용에 관한 능력주의 원칙이나 마국처럼 공무원 인력감축등 직업안정성을 흔들지 않는 한 내심의 영역에 속하는 그런 문제는 현 제도상 해결이 어려울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694 [질문] 배틀넷 메일 변경 가능한가요? [4] 총사령관2186 16/03/14 2186
79693 [질문] 바둑이 주목받고 있는 이 시점에서... 예전에 바투는 어땠나요? [11] 유라3000 16/03/14 3000
79692 [질문] 테니스 라켓 좀 추천부탁드립니다. [2] 삭제됨1242 16/03/14 1242
79691 [질문] [마리텔] 이경규방송 궁금합니다. [9] 알팅이3306 16/03/14 3306
79690 [질문] 시공업체에서 블로그에 사진올리는게 문제 없나요?(극 예민) [1] Secundo2021 16/03/14 2021
79689 [질문] 양키스 스타디움 표 예매 하려고 합니다. 질문이요~! [7] 박용택1324 16/03/14 1324
79688 [질문] 10평짜리 방에 요 티비 어떤가요. [11] 삭제됨3489 16/03/14 3489
79687 [질문] 직장 근처에 보컬 ? 학원이 생겼는데요 큰 도움이 될까요? [7] 이블린2362 16/03/14 2362
79686 [질문] 토익공부 몇 가지 팁 부탁드립니다. [8] aura2388 16/03/14 2388
79685 [질문] 벅스에서 노래 다운받았던게 다 날아갔는데 원래 이런가요? [2] 구름이가는곳wwww1840 16/03/14 1840
79684 [질문] 비전공자가 공대 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15] Happiness8695 16/03/14 8695
79682 [질문] 오늘자 썸남 좀 해석해주세요. [6] 도망가지마2918 16/03/13 2918
79681 [질문] 우울하고 힘든데 힘이되는 영화, 음악등이 있을까요?? [29] 레알마드리드2572 16/03/13 2572
79680 [질문] [스타1] 알파스타크래프트가 나온다면 종족은 뭘 할까요? [21] 222933 16/03/13 2933
79679 [질문] 1국에서의 102수는 알파고가 불리하지 않은 상황이었던 걸까요? [2] yangjyess1946 16/03/13 1946
79678 [질문] 직장인 보컬(노래???) 레슨은 어디가 좋을까요? [3] 연필깍이1578 16/03/13 1578
79677 [질문] 무한도전 요즘 많이 재미없나요?? [42] 범일동5802 16/03/13 5802
79676 [질문] 이세돌 78수는 전문가도 생각하기 힘든수 인가요? [27] will10919 16/03/13 10919
79675 [질문] 교사가 되기 위한 조건에 관한 질문이자 의견을 듣고 싶네요 [26] 삭제됨2080 16/03/13 2080
79674 [질문] PC견적 내봤는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32] 아재2114 16/03/13 2114
79673 [질문] 기계식 키보드 추천바랍니다 [13] 이혜리2774 16/03/13 2774
79672 [질문] 기계공학)애로기술이 뭔가요? [2] 삭제됨1474 16/03/13 1474
79671 [질문] 교환학생 다녀올지말지 너무나 고민이되네요. [21] 콩콩지4888 16/03/13 48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