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6/13 17:12:28
Name sungsik
Subject [일반] [역사] 조선의 바다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 (1)
예전 연재게시판에 왜구가 쳐들어 온 이야기를 끝내고 조선 함선이 어떻게 발전했는가에 대해
글을 쓴다 해놓고 여지것 쓰지 못했네요.

이제야 그에대해 써보겠습니다.
시리즈물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평소와 다르게 재미만을 위한 글은 아닙니다. 그래도 재미있게 읽어주셨으면 하네요.


-----------------------------------------------------------------


바다는 어느 나라나 중요하지만, 한반도 국가는 특히나 중요했습니다.
세금이나 공물등을 수도로 올리기 위해서 해로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한 일이 없기 때문이었죠.
아직도 이에 대해 의심하는 사람이 많지만,
임진왜란에서 왜군이 북진에 결국 실패했던 이유는 조선 수군에 의해 해로가 막혀 보급이 불가능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시가 아닌 평시에도 해로의 사용은 신중할 수밖에 없었는데,
가장 대표적 이유가 왜구의 출몰 때문이었습니다.

태종 1년, 박돈지의 상소문에서 그 내용이 자세히 나타납니다.

"삼한 시절부터 공물과 세금을 위해 큰 물건을 실어 나를 때는 언제나 바닷길을 이용하였습니다.
그러나 고려말 왜구가 성행하자 해로 대신 육로를 이용하게 하였는데,
사람과 짐승이 물건을 지고 싣는 데 지쳐 운반하다 죽는 폐단이 계속하여 발생하였습니다..

조선 개국 이후 왜구가 줄어들어 해로를 다시 이용하게 하자 물건이 훨씬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근래 태풍으로 인해 해로 이용이 힘들어 다시 육로를 이용하게 하였으나,
이제 다시 수로를 이용하여 물건을 나르게 하옵소서."

(실록 기사를 보기 좋게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 거의 모든 실록 기사 인용은 최대한 보기 좋게 현대어로 수정할 것입니다.)


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수로의 용이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컸다.
그리고 그 수로의 이용을 방해하는 두 요소는 왜구라는 인위적 요인과 태풍이라는 자연적 요인이었다.

자연적 요인은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것이라 하더라도
인위적 요인은 할 수 있는만큼 최선을 다해 막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그것에 필요한 것이 바로 수군이었고, 수군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병선이었습니다.


자.. 이렇게 수로를 사용하여 물건을 옮기게 하였는데,
바로 조선 남쪽 바다에선 왜구가 성행하기 시작합니다.

태종 2년엔 부산포에 왜구가 쳐들어와 병사 10명이 죽고,
태종 3년 10월엔 감북포에 침입하여 병선 3척을 불태우고 병사 12명을 죽이고,
같은 달 두모포에선 왜구가 침입하여 사수 2명을 사로잡고 병선 5척을 불태웁니다.
같은 해 12월엔 전라도에 침입하여 만호 임원룡을 잡아가고 병선 4척을 불태운데다 86명의 군인이 죽고,
같은 달에 또 전함 5척을 빼앗기기까지 합니다.


고려후기 왜구가 내륙에서 성행하던 것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충분히 개판이 따로 없었죠.
물론 조선이라고 당하고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왜구를 격파하여 적선을 침몰 시키고 수십명을 죽이는 전과를 종종 올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침략당한 숫자에 비해 격파한 숫자가 현저히 적으니 왜구의 숫자는 쉬이 줄어들 줄 몰랐죠.

왜구 격퇴에 미진한 이유는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체계적이지 못한 수군 제도.

왜적은 어디에서 올지 짐작할 수도 없고 만약 한 포인트에 여러 왜구 수십척이 한 번에 침입하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각 포구마다 연합작전을 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빠른 통신을 이용하여 상황을 주고받고 각 포구의 군함들을 빠르게 운집하는 것이 필요했고,
함선의 적절한 배치로 최대한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두 번째는 함선의 문제입니다.
당시 조선의 주력 함선은 맹선이라하는 대형 선박이었고 그 크기가 왜선보다 크다보니 함선의 숫자는 적고 속도는 느렸습니다.
왜구의 빠른 선박 1~20척의 배가 쳐들어오면 몇몇 포구에선 그것을 격퇴할 함선의 숫자가 부족하고,
어떤 포구에선 격퇴할 숫자가 되더라도 속도에 미치지 못해 적이 도망치면 따라가질 못하게 됩니다.

특히 이 속도가 무척이나 중요했는데요.
조선함선과 조선으로 귀화한 왜인이 만든 함선을 비교하여 속력을 측정해본 결과,
물길을 따라 내려가면 3~40보 정도를 뒤지고, 물길을 거슬러 올라가면 몇 백보나 뒤질 만큼 속도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여줬습니다.

그렇기에 태종은 쾌선이라하여 작고 속도가 빠른 배를 생산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태종의 수군 제도 개편과 함선의 생산으로 인해 태종 8년이 넘어가면 왜구가 나름 잠잠해집니다.
이러다보니 조정에서 느리고 둔하기만한 대형선보다는 작지만 빠른 쾌선을 선호할 수 밖에 없게 되는 건 당연했겠지요.

여하튼 태종의 이런 노력은 왜국의 숫자를 현저하게 줄어들 게 하는 성과를 올립니다.


그러나 이런 평화도 잠시일 뿐 조선 조정을 뒤집어 놓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바로 세종 1년 5월 5일 충청도에 왜선 50여척이 침략한 사건입니다.
이정도 규모는 태종 이후 유례가 없는 규모였고,
이를 막는데 실패한 충청좌도 도만호인 김성일은 참형까지 당하게 되었죠.


이 때문에 갓 왕이 된 세종은 아예 수군을 폐지해버리자는 것을 대신들과 의논합니다.

세종은,

"각도와 각 포구에 비록 병선이 있으나, 그 수가 많지 않고 방어가 허술하니,
변을 당하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오히려 침략만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전함을 폐지하고 육지에서 단단히 방어하는 게 어떻겠는가." 라고 의견을 묻습니다.

이제 막 왕이 된 풋내기 왕이 내놓을만한 주장이었습니다.
당연히 대신들은 안 된다는 의견을 내놓지만, 세종은 수군의 운용에 회의적인 입장이었습니다.


당시 상왕으로 있었던 태종은 대신들을 불러다 좀 더 현실적인 대책을 세웁니다.
바로 대마도 정벌이었죠.
태종은 미기적거리지 않고 단숨에 정벌을 결정합니다.
충청,전라,경상 3도에서 200여척의 배를 모으고,
배를 타는 것에 익숙하면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양반부터 백정까지 모두 모아 정벌을 감행하지요.

5월 5일에 왜구가 침략했고, 5월 14일에 대마도 정벌을 결정한 후,
6월 19일 모든 준비를 마치고 거제도에서 출진했으니 얼마나 빠른 결정과 실행인지 짐작이 가시겠죠.


대마도 정벌에 대해서 좀 아시는 분들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만큼 엄청난 성과는 아니고 실책으로 인해 많은 사망자를 내기도 한 것이라는 걸 아실 겁니다.
7월 10일 대마도에서 180명이 전사하는데다 태풍에 배 7~8척이 소실됐다는 소식까지 들려왔죠.
이에 태종은 7월 말 각도의 병선을 수리하여 10월쯤 재침공하기로 계획까지 합니다.
완전히 끝장을 내겠다는 의지가 느껴지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나 9월 대마도에선 항복의 서신을 보내고 조정에선 이걸 받아들일지 아닐지 의논을 하죠.
태종은 이들의 항복이 거짓이라 느끼고 완전 섬멸을 주장한 반면,
허조는 그래도 받아들이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뉘앙스를 내세웁니다.

후에 태종의 행동을 보면 병조에 명하여 2차 정벌을 구체화하며 준비하는 동시에
조말생에게 명하여 항복 권고를 구체적으로 받아올 수 있도록 준비하게 합니다.
항복을 받아들이든 재정벌을 하든 미리 준비하여 차질이 없게 하려고 한 모습이었습니다.


백성들은 재정벌로 인해 대마도로 출정하고 싶어하지 않아했고,
대마도측에서도 대마도가 경상도의 일부라는 것을 인정하고 신하의 예를 보이는데다,
문제가 됐던 해적을 처분하기 위한 준비까지 마쳤으니 조선에서 관원을 보내 처리해달라는
완전 항복을 청했기에 태종은 이를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그 후에도 재침공을 계획하기도 하고,
대마도에서 사신이 와도 글이 공손하지 못하다 하며 조공으로 올리는 예물도 받지 않는 등
대마도 길들이기에 나섭니다.

모든 왜적이 대마도에서 오는 게 아니었기에 왜구가 완전히 끊긴 건 아니었으나,
과거처럼 수십척의 배가 와 약탈을 하거나 하는 일은 한동안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비록 전투 자체에선 큰 피해가 있었으나,
정벌의 성과 자체는 굉장히 성공적이었습니다.


대규모의 왜국이 침략하지 않게 되자 조선의 병선 체계도 조금씩 변화합니다.
크기만하고 느린 대형선보다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소형선을 선호하게 되지요.
가장 대표적인 것이 비거도선이었습니다.
평시에는 고기를 잡을 때 쓰고, 전시에는 군사들의 전함이 되는 것이었죠.

하지만 이 비거도선은 병선이라기보단 고기잡이 나룻배에 가까워서
무기도 제대로 싣지 못하는 그런 배였습니다.
그래서 전투에 최적화된 검선 한 척에 비거도선 2~3척 정도를
한 소대처럼 만들어 운용케 하여, 왜적이 나타나면 일단 비거도선으로 빠르게 추격하여 붙잡은 후,
뒤따라오는 검선이 적을 섬멸하는 식의 전술을 사용합니다.

이때부터 조선의 선박 체계는 대형선이나 맹선, 검선에는 반드시 비거도선이 따라붙어
보좌하는 식의 운영이 성행하게 됩니다.

막 즉위했을 때 전함을 없애자는 소리를 한 세종도
12년엔 중국 배의 제도를 채용하여 병선을 제조할 것을 추진했고,
16년에 가서는 동자갑선, 상쾌선, 왕자갑선 등의 새로운 병선을 개발하기에 이릅니다.
또 유구국(지금의 오키나와) 출신의 선장에게 부탁하여 그 지방에서 사용하는 배를 제조하여
조선 수군에 도입하려는 등의 구체적인 조선 전함의 발전을 꾀하지요.


조선 초기 병선의 발전은 이렇게 이루어집니다.
대형선부터 소형선이 복합적으로 쓰였고 여전히 조선의 주력 선박은 대형선이었으나,
소수의 빠른 왜구를 막는데에는 조선 역시 작고 빠른 배가 용이했고,
그 때문에 새로 제작되는 배의 대부분은 소형선이 될 수 밖에 없었죠.

조정에서도 새로운 배를 만들 때마다 그 속도를 측정하여,
얼마나 빠른지 시험하는 것에 가장 촛점을 맞추었습니다.


대마도 정벌 이후로 왜구는 현저히 줄어들고
그나마 한두척의 규모로 오는 왜구도 어렵지 않게 소탕하였습니다.

나중에는 굳이 왜적을 추격하다 예상치 못한 피해를 입는 것보다
그냥 지키기만 하고 감히 접근하지 못하게만 하는 쪽으로 방어정책을 구성할 정도로
조선의 왜구로부터의 평화는 꽤나 오랫동안 이어졌습니다.
이에 조선 병선의 체계도 딱히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오랫동안 이어집니다.


아래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함선의 모습입니다.



검선의 모습 (추정)



비거도선

사진출처 : http://blog.naver.com/mineall/7010313927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지엔
13/06/13 17:17
수정 아이콘
제 1안 이순신을 찾는다 -> 전권을 준다.
2안은 없다

... 첫플부터 뻘플이라 죄송합니다(..) 찾아보기로는 조선 초기에 수군 강화에 상당히 힘을 쏟은 것 같지만 그 이후로 중심축이 왜구보다는 북방에 맞춰졌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더 깊게 파고들진 않았지만 결국 왜란에서 이순신을 제외한 다른 수군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 이유가 저런 부분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네요.
13/06/13 17:1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순신의 엄청난 전과도 조선의 수군 인프라가 있었기에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이순신이더라도 고기잡이배와 크게 다르지 않은 비거도선으론 왜적 소탕이 가능했을 거라 보지 않습니다.
Practice
13/06/13 17:56
수정 아이콘
말하자면 딸피의 적 넷을 두고 아군은 전부 죽어버린 절망적인 상황에서, 홀로 남은 베인이 구르고 굴러서 쿼드라를 따내고 베이스를 지켜낸 것이 범인은 결코 할 수 없는 대단한 플레이이긴 하지만, 그것도 블써 팬댄 몰왕검이 있었기 때문이지 도란검 하나 들고서는 더블리프트 할아버지가 왔어도 막지 못했을 것이다 마 그런...
13/06/13 18:04
수정 아이콘
이순신의 경우는 딸피의 적이 아니죠 hp 만땅의 적이죠
Practice
13/06/13 18:14
수정 아이콘
덧붙여서 베인의 hp는 사경을 헤매고 플래시도, 클린즈도 없는 상황에서 "신에게는 아직도 몰왕검의 액티브가 남아 있사옵니다"? 허억...
13/06/13 18:23
수정 아이콘
맞다이 능력으로 보자면 파랑이즈가 더 적절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13/06/13 23:35
수정 아이콘
역시 게임사이트 크크

근데 명랑해전은.. 솔직히 너무 상식 밖의 해전이라...거시적으로 다룰 땐 오히려 안 다루게 되더군요-_-;
13/06/13 18:22
수정 아이콘
가득까지는 아니고 한 70%정도.... 재란당시에 휘하 다이묘들의 동원능력을 탈탈탈 털어서 온거라.. ;;
이후 세키가하라에서 토요토미측의 주력 다이묘의 병력동원만 봐도 알수있죠. 그래도 도쿠가와쪽 보다 많았지만...

명량-노량의 결과는 이런 나비효과를 불렀습니다. 크크크크. 어차피 그네들은 붙을 운명이었지만요.
눈시BBbr
13/06/13 23:21
수정 아이콘
그건 바르지 않습니다
13/06/13 17:25
수정 아이콘
태종실록에 나오는 거북선과 이순신의 거북선이 같은 종류였을까요?
13/06/13 17:29
수정 아이콘
다른 종류였을 거라고 봅니다.
일단 크기부터가 전혀 다르고 전함의 구조도 상당히 달랐을 거라고 봐요.
다만, 그 아이디어는 태종 때의 거북선에서 채용했을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거북선 자체도 태종 때 만들어진 게 아니라 고려 때 이미 있지 않았나..하는 설도 있습니다.
Practice
13/06/13 17:52
수정 아이콘
아예 조선 수군의 역사를 처음부터 훑고 내려 오시려는 거군요! 참 많이 기대가 됩니다 흐흐
13/06/13 23:33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굉장히 정성들여 쓴 글이네요. -.-a
시라노 번스타인
13/06/13 18:37
수정 아이콘
오오오 항상 보고 리플은 잘 안남기지만 기대하겠습니다! 재밋어요!
13/06/13 23:32
수정 아이콘
리플도 달아주시면 더 열심히 쓰겠습니다 크크
자이체프
13/06/13 22:13
수정 아이콘
지금의 대양해군 논쟁처럼 조선시대에도 어떤 배를 가지고 왜구들을 막느냐는 큰 논쟁거리였죠. 작고 빠른 배를 가지고 막느냐 아니면 큰 배를 이용해서 막느냐였는데 후자가 승리해서 나온 결과물이 바로 판옥선입니다.
13/06/13 23:32
수정 아이콘
스포일러아닌 스포일러를 한 방에! 크크
글의 목적자체가 그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쓴 것이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그렇게 활약한 판옥선이 대체 어떻게 등장한 것인가를 이야기하고 싶었거든요.
자이체프
13/06/14 02:38
수정 아이콘
이런, 본의 아니게 스포일러를 누설하고 말았네요. 하지만 기나긴 논쟁과정을 조명하는 건 매우 흥미로운 일이 되리라 믿습니다.
눈시BBbr
13/06/13 23:41
수정 아이콘
크크 기대하겠습니다 @~@
Je ne sais quoi
13/06/14 07:32
수정 아이콘
기대됩니다.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929 [일반] 오늘 신갈오거리에서 사고날 뻔 했네요. [17] sungsik7304 17/07/19 7304 2
65861 [일반] [역사] 강화도 점령을 몽골은 실패하고 후금은 성공한 이유 [12] sungsik7814 16/06/21 7814 13
62007 [일반] 이슬람 종파 구분 [52] sungsik12093 15/11/14 12093 22
60098 [일반] [펌글/역사] 영조의 사도세자묘지문 [6] sungsik7053 15/07/31 7053 2
60062 [일반] [역사] 선조의 의병장 김덕령 탄압 사건의 전말 -하- [12] sungsik5056 15/07/29 5056 7
60046 [일반] [역사] 선조의 의병장 김덕령 탄압 사건의 전말 -1- [13] sungsik6947 15/07/28 6947 6
59938 [일반] [펌글] 조선 실학자의 기독교 비판 [178] sungsik14475 15/07/22 14475 24
59727 [일반] [영화] 그래도 내 아들이다...러덜리스(Rudderless) [4] sungsik4400 15/07/11 4400 0
59707 [일반] [역사/펌글] 제갈량은 황제의 야심을 가졌었다. [50] sungsik16674 15/07/10 16674 0
58384 [일반] 대학생들의 후배들 집합은 도대체 언제쯤 사라질 것인가... [94] sungsik10612 15/05/23 10612 3
58226 [일반] [역사] 고요한 아침의 나라 [11] sungsik5135 15/05/15 5135 10
58060 [일반] 뒤차를 위한 신호는 없다. [72] sungsik7873 15/05/09 7873 14
55504 [일반] [역사] 도무지 그 원리와 구조를 알 수 없는 세종시대의 흠경각루 [25] sungsik8880 14/12/18 8880 2
55147 [일반] 유가는 대체 어디까지 내릴 것인가. [53] sungsik8901 14/11/28 8901 10
50983 [일반] 토종 돼지는 열등했다? 1903년 러시아 학자가 본 한국의 가축들 [18] sungsik7359 14/04/10 7359 3
46178 [일반] [역사/펌글] 임진왜란 때 조선왕조실록이 무사할 수 있었던 이유 [8] sungsik6083 13/08/29 6083 0
45290 [일반] 음악 전공자 입장에서 바라본 로이킴 표절 [69] sungsik10268 13/07/18 10268 0
45154 [일반] [역사/펌글] 조선의 신분제 양반 50% 구성의 신화. [6] sungsik7287 13/07/12 7287 3
44732 [일반] [펌글] NLL 분쟁 1차 2차 연평해전, 남북문제에 대하여. [29] sungsik7247 13/06/24 7247 8
44705 [일반] [역사] 조선후기 주막 네트워크, 그리고 1903년의 대한제국. [14] sungsik17828 13/06/23 17828 5
44539 [일반] [역사] 조선의 바다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 (2) [8] sungsik4196 13/06/16 4196 3
44474 [일반] [역사] 조선의 바다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 (1) [20] sungsik7385 13/06/13 7385 3
44376 [일반] [역사] 조선엔 세종이 있습니다. [30] sungsik9055 13/06/09 9055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