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21 03:46:10
Name sungsik
File #1 강화도.jpg (195.5 KB), Download : 49
Subject [일반] [역사] 강화도 점령을 몽골은 실패하고 후금은 성공한 이유


역사를 보다보면 당연히 그것은 진실이려니..하고 생각하다가도 막상 다시 생각하면 대체 왜?? 하는 부분이 생깁니다.

개인적으로 그 부분중 하나가 강화도라 생각합니다.
예전에 자주가던 역사 사이트에서도 강화도가 대체 왜 천혜의 요새인가요?
하는 식의 질문을 본 적이 있었습니다.

역사적으로 강화도는 그 강력한 몽골을 막아냈던 요새이자
고려이후부터 왜적이 쳐들어오면 왕이 피난 가야할 1순위 중 하나로 꼽히던 장소인지라
우린 막연히 강화도는 천혜의 요새이다.. 하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현대에 강화도를 가보면 대체 왜 천혜의 요새인지 도통 이해가 가지 않을 때가 많죠.


육지와의 거리는 기껏해야 김포에서 500미터에서 1킬로 남짓이라 수군이 뭘 전쟁을 하고 말고할 장소 자체가 없습니다.
500미터면 한강의 폭보다도 훨씬 좁은 정도로 그냥 배로 바다를 건너야할 정도의 거리일 뿐이죠.
게다가 그걸 건너고 나면 먼저 들어오는 건 평야에 가까운 땅입니다.

그 때문에 현대에 강화도를 가보면 막연히 천혜의 요새로 알고 있던 강화도의 방어력은 한없이 부족해 보입니다.



그런데 현대의 강화도의 모습은 조선 시대에 그 모습을 갖추어 나갑니다.
고려시대 때의 강화도는 현대와 모습이 많이 다른데 윗 그림에서 노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고려 때의 강화도의 모습입니다.
현대처럼 해안선이 단조롭지 않았고 내륙의 상당수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군대를 이동시키려면 최소한의 땅이 필요한데 당시의 해안선 자체가 상당히 복잡했고 그나마도 대부분 언덕지형으로 되어 있는데다
고도 5미터 미만의 땅은 조수간만의 차로 바다에 잠겼다가 빠져나와 모두 갯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육지와 연결된 수로가 겨울엔 얼긴 하지만 살얼음식으로 얼어서 그 위로 이동은 불가능하고,
배로 이동하려니 해안선은 너무 복잡하고 상륙할 지역의 상당수는 산지나 갯벌로 이루어져 있는데다가,
그 이외엔 성을 지어 방어 병력이 지키고 있으니 몽골군이 접했을 강화도란 바다 위에서 성을 공략하는 느낌이었을 겁니다.


그런데 이런 지형이 13세기 이후부터 간척사업을 통해 조금씩 육지화되기 시작합니다.
강화도 천도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강화도로 들어왔고 일순간 많은 이가 들어와 살아야 했기에 간척사업은 어쩌면 필연적인 일이었습니다.
특히나 조선시대에는 강화도는 풀이 좋아 목장사업을 하기 좋고 땅이 비옥하여 돈많은 사람들이 노리는 땅으로 유명했고,
조정에서도 주도적으로 간척사업을 진행했죠.

태종 때부터 성종 때까지 강화도 간척사업은 꾸준히 이루어졌고 비옥한 강화도의 농지와 목장으로 인한 세수는 늘었지만
그에대한 반대급부로 강화도의 방어력은 점점 더 약해져만 갔습니다.
그 약해진 방어력만큼 강화도에 대한 방비를 철저히 했었다면 다행이었지만 아쉽게도 그런 움직임은 부족했지요.

그리고 병자년에 호란이 터지고 물론 김경징의 무능이 한몫하긴 했지만 강화도는 몽골 때처럼 외적을 막아내기에 한 없이 부족한 섬이 되어있었습니다.

물론 전투의 승패가 한두가지의 이유로 결정나는 것은 아니지만,
똑같이 무능했던 지배층이 있었던 남한산성을 후금이 무력으로 뚫는 것은 끝내 실패하고,
강화도의 경우 점령에 성공한 것은 어쩌면 지배층의 무능보다는 섬 그 자체의 방어력의 정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받았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강화도가 천혜의 요새로 여겨졌던 까닭은 현대의 막연한 이미지처럼 역사적으로 강화도의 방어력이 증명되었었고,
수로를 통하지 않고는 들어갈 수 없는 곳인데다 최악의 경우에 북쪽으론 중국이 남쪽으론 호남으로 도망갈 수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었습니다.
광해군의 경우도 혹시 모를 난을 위해 본인이 피신할 장소를 물색할 때 나주나 안동 등이 후보지로 나왔지만
그래도 최우선으로 꼽았던 곳이 바로 이 강화도였고, 인조역시 남한산성으로 가기 전에 바로 이 강화도로 피신하려 했던 것이었죠.

이후 과거의 일을 교훈삼아 강화도의 방비를 강화하지만 그 이후 맞이했던 전투는 병인양요였고
19세기 서양의 발전된 무기 앞에서 강화도는 그저 무기력한 섬일 뿐이었습니다.

강화도의 모습은 수백년에 걸쳐 그 모양이 변화하였고 변화한 만큼 섬의 방어력 역시 너무나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물론 좀 더 유능한 사람이 있었다면 조금은 다른 결과가 나왔을 수도 있었겠지만,
병자호란 때의 강화도의 함락은 사람의 능력보다는 어쩔 수 없는 시대적 결과에 더 가깝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개인적으로 듭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쪽으로가자
16/06/21 05:27
수정 아이콘
간척사업을 조선시대에도 했군요. 막연히 현대의 기술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16/06/21 09:02
수정 아이콘
약간 다른 얘기지만, 조선시대에 운하도 만든 적이 있죠.
태안반도를 자르려다가 실패하긴 했지만, 그 결과 차선책으로 만들어진 섬이 안면도라고 합니다.
조선 중기까지 안면도는 섬이 아니었던 걸로...
홍승식
16/06/21 07:28
수정 아이콘
옛날인데도 섬모양이 이렇게 바뀔 수가 있군요.
꽃샘추위
16/06/21 08:16
수정 아이콘
저는 로템의 다섯시 열한시 섬처럼 그냥 남겨놓은줄 알았는데
루리콘
16/06/21 08:26
수정 아이콘
반대로 저렇게 해안선이 바뀌어서 방어에 이점이 없는데도 왕실 사람들을 강화도로 대피시켰다는게 군사적 무능을 더 부각시키는거 같습니다 크크..
나이트해머
16/06/21 10:59
수정 아이콘
해안선이 바뀌어서 방어력이 약해지긴 했지만 없어진 건 아닙니다.
남한산성 공방전때 보여준 조선 중앙군의 전투력은 일단 합격선이었고 효종도 '장수가 문제지 병사가 문제는 아니었다'는 평을 내렸습니다. 남한산성으로 들어간 군대의 절반만 강화도로 들어갔어도 여전히 난공불략의 요지가 됩니다.
몽쇌통통
16/06/21 08:50
수정 아이콘
바다위에서 배타고 성을 공략하는 모습을 상상해봤는데 진짜 싫네요...
지니팅커벨여행
16/06/21 09:00
수정 아이콘
간척이 진행된 것은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예전의 지형이 훨씬 복잡했네요.
강화도를 공격하는 몽고제국 군사들의 짜증이 들려오는 듯합니다.
밴가드
16/06/21 09:02
수정 아이콘
이런 이유가 있을수도 있겠지만 제가 보기에는 명나라 장군 원숭환이 숭정제에게 처형당하고 그 휘하 장수들인 공유덕과 경중명이 수군과 홍이포를 가지고 청나라에 투항했던게 더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강화도 상륙작전때 이들이 지휘를 했었는데 그들의 함선 건조 노하우와 홍이포 동원이 중요한 역활을 했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정묘호란때는 강화도를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병자호란때는 성공한 것이겠죠.
무무무무무무
16/06/21 10:10
수정 아이콘
뭐 400년 가까이 지났으니 아무리 유목민족이라도 배운 게 있었겠죠....
토다기
16/06/21 10:34
수정 아이콘
옛날에도 간척사업을 할 수 있었군요. 그 땐 차량도 없고 사람이랑 소랑 말로 어마어마하게 했겠네요
틀림과 다름
16/06/21 20:50
수정 아이콘
그 간척사업(국가적 산업)을 할때 무보수로 일했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929 [일반] 오늘 신갈오거리에서 사고날 뻔 했네요. [17] sungsik7295 17/07/19 7295 2
65861 [일반] [역사] 강화도 점령을 몽골은 실패하고 후금은 성공한 이유 [12] sungsik7797 16/06/21 7797 13
62007 [일반] 이슬람 종파 구분 [52] sungsik12074 15/11/14 12074 22
60098 [일반] [펌글/역사] 영조의 사도세자묘지문 [6] sungsik7048 15/07/31 7048 2
60062 [일반] [역사] 선조의 의병장 김덕령 탄압 사건의 전말 -하- [12] sungsik5047 15/07/29 5047 7
60046 [일반] [역사] 선조의 의병장 김덕령 탄압 사건의 전말 -1- [13] sungsik6941 15/07/28 6941 6
59938 [일반] [펌글] 조선 실학자의 기독교 비판 [178] sungsik14466 15/07/22 14466 24
59727 [일반] [영화] 그래도 내 아들이다...러덜리스(Rudderless) [4] sungsik4395 15/07/11 4395 0
59707 [일반] [역사/펌글] 제갈량은 황제의 야심을 가졌었다. [50] sungsik16667 15/07/10 16667 0
58384 [일반] 대학생들의 후배들 집합은 도대체 언제쯤 사라질 것인가... [94] sungsik10608 15/05/23 10608 3
58226 [일반] [역사] 고요한 아침의 나라 [11] sungsik5129 15/05/15 5129 10
58060 [일반] 뒤차를 위한 신호는 없다. [72] sungsik7862 15/05/09 7862 14
55504 [일반] [역사] 도무지 그 원리와 구조를 알 수 없는 세종시대의 흠경각루 [25] sungsik8876 14/12/18 8876 2
55147 [일반] 유가는 대체 어디까지 내릴 것인가. [53] sungsik8896 14/11/28 8896 10
50983 [일반] 토종 돼지는 열등했다? 1903년 러시아 학자가 본 한국의 가축들 [18] sungsik7357 14/04/10 7357 3
46178 [일반] [역사/펌글] 임진왜란 때 조선왕조실록이 무사할 수 있었던 이유 [8] sungsik6081 13/08/29 6081 0
45290 [일반] 음악 전공자 입장에서 바라본 로이킴 표절 [69] sungsik10266 13/07/18 10266 0
45154 [일반] [역사/펌글] 조선의 신분제 양반 50% 구성의 신화. [6] sungsik7282 13/07/12 7282 3
44732 [일반] [펌글] NLL 분쟁 1차 2차 연평해전, 남북문제에 대하여. [29] sungsik7241 13/06/24 7241 8
44705 [일반] [역사] 조선후기 주막 네트워크, 그리고 1903년의 대한제국. [14] sungsik17821 13/06/23 17821 5
44539 [일반] [역사] 조선의 바다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 (2) [8] sungsik4195 13/06/16 4195 3
44474 [일반] [역사] 조선의 바다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 (1) [20] sungsik7381 13/06/13 7381 3
44376 [일반] [역사] 조선엔 세종이 있습니다. [30] sungsik9052 13/06/09 9052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