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19 14:28
도메인 이름을 넣으면 실제 서버의 IP주소를 알려주는 서버들이 있습니다. 도메인 이름 서버 (DNS) 라고 하지요.
이 DNS정보는 네트워크 카드마다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DNS는 보통 인터넷 사업자들이 운영한다고 보면 됩니다. 우리나라의 큰 DNS는 20개가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카드 설정항목에 들어가시면 DNS정보를 넣는 곳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메인 이름으로 브라우징을 하면 먼저 DNS에서 IP주소를 가져오고 그 다음에 IP를 가지고 서버를 찾아가게 됩니다. DNS가 가지고 있지 않은 도메인 이름으로 서핑하면 안나옵니다. (예 : theinnatfoxhollow.com - 우리나라 웬만한 DNS에는 없음)
10/04/19 18:01
자세하게 설명하려면 게이트웨이나 뭐 다른부분까지 설명해야 하지만 정말 어려워 지므로
최대한 쉽게 이해가 잘 되는 부분만 설명 하겠습니다. Blanc 님 말씀대로 IP 주소를 우리가 알기 쉬운 이름으로 사용해도 찾아갈 수 있게 하는겁니다. (IP나 도메인 주소는 전 세계에 하나밖에 없습니다.) 원래 인터넷에 주소는 IP 주소로 되어있죠. 그 서버들의 IP 주소가 따로 있습니다. naver.com 이던, google.co.kr 이던 pgr21.com 이던 말예요.. 하지만 이 IP 주소라는게, 굉장히 눈에 안익고 외우기도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NS 서버라는걸 따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DNS(domain name server) 에는 사이트이름과 IP주소가 매핑되어 있습니다. 쉽게말해 사이트 이름을 알면 IP 주소를 찾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http://naver.com 을 치면 알아서 naver 가 서비스 되는 서버의 IP 를 찾아가서 접속하게 되는거죠. 그런데 이 DNS 라는게 어딘가의 주소를 갖고 있을수도 있고 안갖고 있을수도 있습니다. Blanc 님께서 말씀하신 사이트의 주소는 안가지고 있죠. 하지만 IP소를 알아내면 접속할 수 있습니다. 다시 설명 드리자면 사이트 이름을 가지고 DNS 에서 검색을 해서 IP 주소를 찾은 다음 그 주소로 찾아 들어가는 겁니다. 이게 핵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