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8/29 04:14:36
Name 스카이_워커
Subject 김치의 유효기간
본격 초보 자취생 인증 질문입니다.
용기에 밀봉한 김치는 시간이 오래 지나도 상관이 없나요?
어머니께서 너무 많이 챙겨 주셔서 먹어도 먹어도 줄지를 않네요.
몇 달 지나다보니 뭐가 맛이 이상한듯도 하고 괜찮은 듯도 하고.. 주위에 물어봐도 "먹고 안죽으면 됐어"라고 말하는 녀석들 뿐이라..;;
PGR 자취생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8/29 04:26
수정 아이콘
너무 오래 놔두면 쉬는걸 초월해서 상하기도 합니다.
김치냉장고가 쵝오지만 자취생에겐 사치이기에...
너무 많이 보내지마시라고 말씀하시고, 차차리 반절 정도를 냉동실에 나눠 얼려놓으시고 김치찌개나 볶음밥은 그걸 사용하세요
엔뚜루
09/08/29 05:24
수정 아이콘
김치찌개 + 김치 + 김치볶음밥 먹는 한끼가 진리
침묵도 목소리
09/08/29 05:36
수정 아이콘
제대로 담그면 3년은 너끈히 버티죠,이때쯤이 제일 맛좋죠.
전라도지역에선 1년이하는 묵은지라고 부르지도 않습니다.타지역 음식점 보면 이제 막 익을려고 하는걸 묵은지라 하더군요..
(물론 전라도 음식점 도 이제는 직접 김장 안하는 집이 많아지고 있습니다..정말 맛있는곳은 장도 직접 담그는데..)
다만 보통 일반 가정집에서 담글땐 묵은지 담그는 요령이 없기에 오래 안갈뿐입니다.1년 먹을 김치와 묵힐 김치는
세세하게 다루는 방법이 다릅니다.배추 숨죽이는것부터 양념 보관 등등

그리고 김치에 약간 곰팡이처럼 올라온 경우는 먹어도 되긴합니다.(곰팡인 덜어내고)
어차피 발효나 부패나 화학적으론 크게 차이가 없다고들해요 먹을수 있느냐 없느냐 차이지
직접 장 담궈보시면 된장 이든 고추장이든 항아리 위쪽표면엔 하얗게 필때도 있습니다.그래도 괜찮습니다.
(하긴 장이야 5~10년되야 맛이 좋아지니^^;)

어머님이 잘담궈 주셨다 싶으면 상관 않고 드셔도 될겁니다.(사온김치가 아니라 직접 담구셨다면
몇개월쯤은 90%이상 상관없습니다. 앞에말한 요령은 햇수차이날때 중요하니까)
그래도 찝찝하다 싶으시면 버리세요 문제 없어도 기분 찜찜 하며 먹으면 음식이 아니죠.
09/08/29 05:45
수정 아이콘
허연 곰팡이 펴서 흐물흐물한 정도의 상태가 아니면 먹어도 됩니다. 근데 몇달내로 그렇게는 안되겠죠.

좀 더 지나서 곰팡이 살짝펴도 씻어서 부침이나 찌게, 라면에 넣거나 고기구울때 구워먹든지 먹을 방법은 무궁무진 합니다..
개의눈 미도그
09/08/29 05:46
수정 아이콘
김치의 유산균은 생성은 한계가 있어서
오랜 기간 보관하다 보면 시큼털털한 김치가 됩니다. 못먹어요.
그래서 김치냉장고나 겨울철 항아리 보관 처럼 김치의 수명을 늘려줄 만한 곳에 넣어 보관을 해야되요.

유산균이 살 수 있는 환경에 한계가 오면
둥근 균(좋은 유산균)은 쇠퇴하고 그 때부터 막대균이 기하 급수로 증식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2차 한계가 오면 젖산을 먹어 치우는 효모가 생긴다고 하는데
그 때가 되면 김치가 하얗게 뜨게 되고 쉰 맛이 나게 됩니다.

밀봉한 김치..언젠가는 김치의 수명을 다해서 하얀 곰팡이 같은게 생기고 더이상 못먹는 맛이 됩니다.

산도 조절을 위해 잘 씻은 계란 껍데기를 넣어 주세요. 그리고 먹어 치우기 힘든 김치는 냉동실에 넣어 두었다가 김치전을 붙여 먹는건 어떨까요..
쓰고이
09/08/29 05:57
수정 아이콘
저도 자취생인데 지금 어머니께서 보내주신 김치반은 냉장실에 보관중인데 갠찮을지 의문이되네요

2~3개월 냉장실에(채소넣어두는곳) 방치해놓았는데 이 글을 보니 걱정이 앞서네요~

아직은 갠찮겠죠?? 으흐흐흐~
침묵도 목소리
09/08/29 06:36
수정 아이콘
쓰고이님// 어머님들이 마른반찬이상으로 김치를 많이 보내시는건 오래 가기때문입니다.
요즘에야 하우스니 뭐니 해서 사시사철 배추/무를 볼수있고 김치공장경우 매일 김치를 담지만 예전 생각해보시면
1년에 한번 김장 하고 매 계절 특수한 김치(채소절임)을 했지만 그게 채소를 오래 먹을수있는 방법이라
김장을 하게된거죠.
김치 그냥 쉽게 먹지만 복잡하고 그 복잡함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세상음식중 김치/한식이 최고는 아니지만 좋은이유도 넘치는 음식중 하나입니다
svc덜덜덜
09/08/29 12:27
수정 아이콘
김치냉장고라면 모를까 그냥 냉장고라면 빠른시일에 먹는게 좋아요
09/08/29 12:43
수정 아이콘
몇달 정도는 끄떡 없죠. 다만 자취생의 냉장고는 크기도 작고 자주 여닫아 온도 유지가 잘 안돼서 빨리 쉴 뿐.
집에서는 서너달 지나면 잘 익는 김치가 제 방에서는 한두달만 지나도 맛이 꺾여버리더라구요.
09/08/29 13:18
수정 아이콘
애초에 조금만 가져오시거나 보내달라고 하셔서 빨리 소비하는게 나을 수도 있겠네요.
기본적으로는 겉모습이나 먹어봐서 위화감이 들지 않을정도면 괜찮을 것 같네요.
물에 잘 씻어서 고기 구워먹을때 같이 드셔도 되구요.
김치 찌개, 볶음, 부침 정도로 신김치를 소비하시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2864 가장 포스가 넘쳤던 우승자?(대진상대까지도..) [27] Go_TheMarine2519 09/08/29 2519
62863 티스토리 초대장 드려요 (다 드렸습니다^^) [14] Who am I?2137 09/08/29 2137
62862 e스포츠 발전하기 위한 방법 [4] 언제나남규리1638 09/08/29 1638
62861 일본은 어떻게 동아리 활동이 활성화 되어 있나요? [8] 모모리5014 09/08/29 5014
62860 keep your balls on의 의미? [2] 배려2099 09/08/29 2099
62859 가수들 음원수익 질문입니다. [6] 훼닉2116 09/08/29 2116
62858 아침을 때울 먹을만한거 추천좀....부탁드려요 [8] 옥희1798 09/08/29 1798
62857 역언덕형을 최초로 도입한 맵은? [13] 탈퇴한 회원2808 09/08/29 2808
62856 포맷하는데 파티션때문에 미치겠어요ㅠㅠ [4] 뜨리커풀1675 09/08/29 1675
62855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해서 아시나요? [5] 제시카와치토1724 09/08/29 1724
62854 요즘 스타판 질문입니다. [2] 킹이바1574 09/08/29 1574
62853 문희준과 김구라가 처음 같이 나온 절친노트 1화를 찾고싶습니다 ... [3] 한듣보5735 09/08/29 5735
62852 운전면허따는 방법. [4] 사랑의바보2176 09/08/29 2176
62851 psp 중고를 사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4] 화잇밀크러버2083 09/08/29 2083
62850 가방 추천좀해주세요..! [3] 이상해씨2324 09/08/29 2324
62849 stx마스터즈 사인 질문이요 GodMetallica2019 09/08/29 2019
62848 닭가슴살 샐러드 만드는법좀 알수 있을까요. [4] 릴리러쉬1947 09/08/29 1947
62847 뿌리는 바퀴벌레약이나 모기약의 유독성 [2] 3234 09/08/29 3234
62846 중고 만화책 사려면 어디로? [6] 빵리발갰뜨2177 09/08/29 2177
62845 김치의 유효기간 [10] 스카이_워커5450 09/08/29 5450
62844 pgr 주소창에 생긴 아이콘의 의미는? [3] honnysun2225 09/08/29 2225
62843 네비게이션 구입처 질문입니다. 스터너1637 09/08/29 1637
62842 해태전성기는어느정도엿나요?? [8] 솜사탕흰둥이2134 09/08/29 21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