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02 11:58
"직접"연결한 채로 공유기 설정을 진행해야하나요?
거주인 2방에서 했을때 컴퓨터가 KT기기와 연결되어있고, 그 KT기기가 공유기랑 연결되어있어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안되더군요. "직접" 연결해야하는지는 미처 생각을 못해봤네요
16/03/02 12:05
공유기 사용을 위해서는 벽 - KT 기기 - 공유기 - 컴퓨터 순서로 연결되야 하지 않을까요?
여담인데 KT 기기가 공유기 기능도 하는 거라면 다른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16/03/02 15:28
길게 쓰려다 엉켜서 간단한 경우만 써봅니다.
연결 상태를 볼 때 KT기기가 유선 공유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기기가 모뎀 역할도 하고 있는게 아니라면(그러니까 밖에서 들어오는 회선이 광 케이블 같은게 아니라면) KT기기를 그냥 빼고 그 자리에 iptime 공유기를 넣으세요. KT기기가 필수인 경우, 192.168.0.1에서 응답이 없다는게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안잡히네요. KT기기의 주소가 저게 아닌 건 확실한데(cmd에서 ipconfig를 해서 나오는 gateway 주소는 KT기기일겁니다), iptime 유무선 공유기는 보통 저 주소를 쓰는데 KT기기는 다른 주소를 쓰니 충돌나서 접근할 수 없는 것도 아니니까요. 그런데도 응답이 없는게 (1,2번방 연결 모두 iptime과 무관해서 확인이 불가능한 만큼) (1) iptime으로 회선 연결이 안되고 있는 것인지, (2) iptime 기기가 작동이 안되고 있는 것인지, (3) 그냥 주소를 바꿔놨는지 알 수가 없네요. (3)번이면 리셋이 편할꺼고, (2)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구요...
16/03/02 17:00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기가컴펙트 쓰는데 IPTIME공유기로 대체해도 상관없나요?
저의 지인말로는 제 공유기가 기가속도(?) 지원안하는거여서 공유기 거쳐 쓰면 손해볼거라고 해서...
16/03/02 18:22
아 그 경우도 있죠... 음... 기가 인터넷은 생각을 못했네요(위에서 쓰다 만 필수인 경우를 광 케이블로 상정했는데 왜 기가 인터넷을 따로 찾아볼 생각을 안했을까...).
http://blog.mystor.net/archives/994 http://smartblog.olleh.com/4775 등으로 볼 때 KT기기는 모뎀이고 사설 ip 할당 없이 랜을 여러 개 물리면 공인 ip를 각각 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KT기기를 뺄 수 없겠네요. 공유기 - PC └무선 공유기 인 경우 PC가 무선 공유기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무선 공유기가 공유기에 요구한 ip 주소를 치면 PC에서 접속할 수 있어야 정상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공유기가 아닌 KT기기가 공인IP를 PC와 무선 공유기에 각각 할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PC에서 192.168.0.1 등의 사설 IP로는 무선 공유기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설정에 따라 외부IP, 그러니까 공인IP를 통해 접속해도 무선 공유기의 설정에 들어갈 수 있지만 확실하지 않으므로... 위에서 다른 분들이 얘기한 것처럼(이렇게 쓰고 보니 위에서 제대로들 답변하셨고, 다른 문제일 수도 있겠네요라고 한 부분만 제가 헛발질로 적어왔었네요(...)) 직접 PC를 물려서 설정을 하는게 빠릅니다. 다만 현재 공유기 설정을 필요로 하는 이유가 wifi가 아예 안되는 것인지 아니면 설정을 바꿔야 할 다른 필요가 있는 것인지가 궁금하구요. 후자라면 직접 물려서 설정을 하면 되고 http://ccami.tistory.com/58 여기에서 ddns 설정은 필요 없고(iptime ddns가 지금 되는지 알아볼 생각도 없고(...)) 외부 접속 포트 열기를 해두면 이후 공유기쪽으로 할당되는 공인ip 주소를 확인하고 그 주소:포트 로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설정에 들어갈 수 있게 됩니다. wifi가 아예 안되는 경우가 좀 골이 아프겠네요. 제가 추측하기에 기존에 쓰시던 공유기 같은데, 그렇다면 공인ip를 받아서 wifi 신호를 쏘도록 설정이 되어 있었을 것인데, 허브로 상황이 바뀐 것도 아니고 단지 회사가 바뀐 것만으로 wifi가 죽었다는 얘기가 되니까요. 그래도 해결책은 일단은 똑같이 직접 물려서 어떻게 된 건지 알아보는 수 밖에 없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