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12 11:16:29
Name 지앞영소녀시대
Subject [질문] 초보운전이라 해도 교통흐름을 따라가야 하나요??
저번에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있었는데

비+안개가 좀 있고 게다가 제가 초보운전이라서

가장 오른쪽 차선에서 다른 차들보다 20km 정도

느리게 운행했습니다 그런데 백미러를 보니까

계속 차들이 저를 추월해서 갔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그렇구나 했는데 이게 계속 그러니까

저 때문에 끼여들다가 사고가 더 나겠다는 생각이

덜컥 들어서 그때부터 겁이 났습니다

제가 그 상황에서 다른 차들과 비슷한 속도로

갔어야 했나요?? 그런데 그 차들 속도대로 가니까

무조건 규정속도 위반이었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야기상자
18/06/12 11:18
수정 아이콘
케바케지만
규정속도 지키는 선까지는 달려서 어느 정도 흐름을 맞춰주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느리게 간다면 최소한 추월차로로는 달리지 않으시면 될거구요
18/06/12 11:19
수정 아이콘
고속도로에서 80이면 그래도 용인범위 안에 있는 것 같네요.
18/06/12 11:19
수정 아이콘
남들보다 너무 빠르게 가도 위험하지만
남들보다 너무 느리게 가도 위험합니다
아첨형 인간
18/06/12 11: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추월차선이 아니라면 최저속도 이상으로만 달리시면 됩니다.
저도 2차선에서 시속 80~90정도로 달리구요. 추월시에만 잠깐 1차선타고 다시 2차선으로 갑니다.
2차선에서 느리게 간다고 뭐라고 하는경우는 경험해 본적이 없는듯 하네요.

아쉽고 급한건 추월하는 차량이지, 추월당하는 차가 아니니까요.

단 국도에서는 속도를 맞춰주시는게 좋겠죠.
Dementia
18/06/12 11:22
수정 아이콘
제한속도 몇인 도로에서 몇으로 가셨는지 모르겠지만, 제가 운전 처음 하는 사람들한테 항상 하는 얘기가, 내가 겁이 난다고 느리게 가면 나도, 다른 사람들도 오히려 더 위험해질수 있다는 겁니다. 어느정도 도로 흐름을 맞춰주면서 절대속도보다 상대속도 개념으로 생각하시는게 맞습니다.
서낙도
18/06/12 11:26
수정 아이콘
제생각도 교통 흐름 따르는게 좋을 것 같네요.다만 운전실력에 맞춰야지 무리하면 안되고요.
무민지애
18/06/12 11:32
수정 아이콘
운전은 일단 무조건 자기가 안전해야 되요. 교통의 흐름이고 뭐고 다른사람 배려는 내가 안전하게 제어가 가능한 상태에서 하는 겁니다.
자신 없으시면 천천히 가시면 됩니다. 다른 차들이 알아서 추월해 가고 배려해 줄겁니다. 뒤에 초보운전이라고 표시하셨죠?
18/06/12 11:38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고속도로는 최저속도 50 / 최고속도100입니다. 악천후에는 20%를 감하게 되어 있으니 최저 40/최고80으로 보시면 되고요. 40 넘게 달리시면 괜찮습니다. 추월차선 차지하신 것만 아니면요. 그런데 가장 오른쪽 차선으로 가셨다니 문제없죠 뭐.

저도 솔직히 고속도로에서는 과속 많이 하는 편입니다만, 그렇다고 제한속도 지키면서 운전하는 분들 욕한다면 그거야말로 적반하장이죠.
Cazellnu
18/06/12 11:44
수정 아이콘
명문화된 규칙, 규범으로만 잘 돌아가는 세상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초보운전이시니 지금은 규칙과 규범을 잘 준수하는 것이 먼저이니까 융통성을 먼저 발휘하는것은 어렵기도 하고
자칫 위험할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먼저 규칙대로 운전하되
본문과 같은 상황을 점점 겪으면서 익숙해지시면 도로의 흐름에 맞게 그리고 또 안전하게 운전할수 있는 판단을 하고 그에따라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18/06/12 11:51
수정 아이콘
법규문제, 매너문제...등등을 떠나서
본인이 위협을 느낄 정도로 주변 흐름과 본인의 주행에 차이가 크다면
본인의 안전을 위해 주변 흐름에 따라갈 필요도 있다고 생각해요
김리프
18/06/12 11:55
수정 아이콘
규정속도라면 그냥 가시면 되고 규정속도보다 천천히 가게되면 비상등켜고 주행하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거 같습니다.
누렁쓰
18/06/12 12:09
수정 아이콘
그렇게 느리게 가는 것도 아니신 것 같은데, 괜히 감당못할 속도 내면서 가는 것보다 천천히 가는게 낫습니다. 알아서 다 피해 가요.
elesevier
18/06/12 12:11
수정 아이콘
1차선아니고 최저속도로 갔다면 뭐 크게 문제되지는 않지요. 어차피 뒷차들이야 추월하면 그만이고
18/06/12 12: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속도로면 우천시 감안해도 70은 유지해야 합니다.
50-60으로 가도 문제없고 알아서 피해 가겠지만 방해되는것도 사실이니까요.
특히 맨 고속도로 우측차선은 화물/건설기계 차선인데 여기 속도제한이 80이고 여기서 느리게가면 대형차량들이 계속 추월할텐데
이게 더 겁나요
본인 입장에서도 뒤에 대형차 붙이고 운전하는건 별로고 위험하기도 합니다. 뒤에서 오는 대형차가 졸음운전이면 바로 사망사고니까요.
주니뭐해
18/06/12 12:24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흐름에 맞게 운전을 해야하는건 맞지만 안전이 우선이긴 하고요 다만 제일 오른쪽 차선에서 운전을 한게 조금 위험해보이네요 그거만 주의하시면 될거같아요
NoGainNoPain
18/06/12 12:25
수정 아이콘
고속도로의 교통흐름에 못맞춰 주는 것 같아서 신경쓰이신다구요?
그렇다면 젤 좋은건 대형 화물차 뒤만 어느정도 간격을 띄워서 졸졸 따라가시면 됩니다.

첫번째로, 대형 화물차 자체가 느립니다. 초보운전자에게 딱 걸맞는 운전속도입니다.
두번째로, 대형 화물차보고 느리게 간다고 뭐라 그러는 운전자는 없습니다. 따라서 대형 화물차와 보조를 맞추는 초보운전 차량을 욕할 이유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인 고속도로 상황에서는 웬만해선 대형 화물차 뒤로 끼어들 차량은 없습니다. 초보운전자 입장에서는 앞에 끼어드는 차량을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추가적으로, 대형 화물차 차량은 제동거리가 깁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뒷차량이 안전합니다. 그래서 초보운전자에겐 딱입니다.
18/06/12 15:12
수정 아이콘
와.. 전 초보는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나중에 이렇게 해봐야겠네요!!
나이스후니
18/06/12 19:07
수정 아이콘
윗분 말이 맞긴한데 대형화물차로에는 다른 화물차도 많아서 조심해야합니다.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적재한 화물차나 내앞뒤모두 화물차인경우는 피하셔야 합니다
서쪽으로가자
18/06/13 14:24
수정 아이콘
대형화물차 뒤에 있으면 시야를 가려서 답답함 + 앞 쪽 교통상황 이해 어려움의 단점은 있습니다.
특히 터널 들어가면 더 심할거고, 그런 차들 중에 터널에서 등 안켜는 차들도 많으니 (그건 사실 일반 차량도 마찬가지지만) 주의하세요
18/06/12 12:27
수정 아이콘
규정속도대로 가면 전혀 아무 상관없어요.

1차선에서만 그렇게 안하시면 됩니다.
18/06/12 12: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평소에 운전이 미숙한 분이나 속도내는거에 겁내하시는분에게 1차선만 피해서 정속주행하면 된다고 이야기하는 편이고 그것만 지키면 절대 글쓴분이 욕먹을 상황은 아닌건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2차선에서도 본인이 느끼실 정도로 느리게 가면 그 뒤따라오는 트럭이나 버스들이 1차선으로 들어오거든요. 그런 상황은 본인에게도 좀 위험할 수 있으니 위에 NoGainNoPain님의 말씀처럼 화물차 하나 정해서 적당히 거리유지하면서 따라가면서 그 화물차에 속도에 맞춰 유지하시는게 안전을 위해서 더 좋으실거라 생각합니다.
토끼공듀
18/06/12 13:16
수정 아이콘
본인이 확실하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속도로 가세요.

교통흐름에 맞추는게 맞긴한데 그것이 내가 감당 못할 속도라면 내 능력대로 가는게 낫습니다.

어짜피 운전경력 늘게 되면 해결되는 문제고 아쉬운 차들이 피해갈껍니다.
18/06/12 16:04
수정 아이콘
음.. 상황에 맞춰서 그냥 본인 판단대로 하시는 것이 베스트입니다. 남들의 암묵적인 룰 꼭 지켜줄 필요 없어요. 나만 떳떳하면야
유자농원
18/06/12 16:08
수정 아이콘
우측차선에서 비상등켜고 저속주행 하시면 됩니다. 트럭들이 그렇게 해요. 그리고 운전은 법준수하면서 내갈길 잘 가는거라고 들었습니다 크크...
18/06/12 16:22
수정 아이콘
추월차선에서 그러는것만 아니면 문제없습니다
추월하는 차량들도 다 백미러보고 안전상태 확인후에 추월하는거니깐 걱정안하셔도됩니다
18/06/12 16:31
수정 아이콘
주행차선에선 그정도 속도면 문제없습니다. 애초에 추월할거면 추월차선을 이용하는거니까요.
안프로
18/06/12 21:41
수정 아이콘
비가 내리고 다른차 속도 맞추면 과속이고 1차선으로 간것도 아니고
아무런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실제로 차들이 추월만 한거지 아무런 문제도 없으셨던 것 같고
물론 평상시엔 윗분들 말처럼 어느정도 최저속도는 유지해야겠죠
강미나
18/06/12 22:56
수정 아이콘
'가장' 오른쪽 차선이라고 하시는 걸 보니 최소 3차선 이상일텐데 그럼 정말 아무 문제없습니다.
1차선이야 추월차선이고 2차선도 상관은 없지만 추월차선들이 들어왔다 나갔다하는 차선이니까 흐름 맞춰가는 게 좋다는건데
3차선부턴 법정 최저속도 위반이 아니고서야 뭐라 하는 게 이상한거죠.

다만 다른 측면에서 봤을 때 맨 오른쪽 차선은 화물전용이라 위험할 수 있으니 가장 오른쪽 차선에서 하나 안쪽 타시는 게 제일 좋습니다.
그 차선에서 크루즈 컨트롤 걸어놓고 정속주행하면 꿀이죠.
사악군
18/06/13 19:26
수정 아이콘
1차선이 아니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140 [질문] 혹시 이 경기 기억하시는 불스 아재팬 계신가요? [4] patio1869 18/06/12 1869
121139 [질문] 데오드란트 추천부탁드립니다! [3] 양념반자르반2144 18/06/12 2144
121138 [질문] 쥬라기월드 전편들을 볼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6] 리나장2987 18/06/12 2987
121137 [질문] 이거 제가 기분 나쁠만한 상황인가요? [47] 이비군5681 18/06/12 5681
121136 [질문] 초보운전이라 해도 교통흐름을 따라가야 하나요?? [30] 지앞영소녀시대5018 18/06/12 5018
121135 [질문] 맥도날드 버거들 언제부터 이렇게 작아졌나요? [26] 메론8270 18/06/12 8270
121134 [질문] 보이루라는 말이 안좋게 사용된게 어느정도 였나요? [42] 시린비5914 18/06/12 5914
121133 [질문] 여름용 남자 스킨로션 추천부탁드립니다. 얼굴 완전 뒤집어짐... [18] johann3577 18/06/12 3577
121132 [질문] 외력만 없으면 북한 체제가 유지가능할까요? [12] 차라리꽉눌러붙을2920 18/06/12 2920
121131 [질문] 약으로 당뇨 수치가 조절이 안되는 사람은 어찌하나요? [40] 이사무6594 18/06/12 6594
121130 [질문] 신혼여행 명품백 구입시 세금문제 질문입니다. [6] arq.Gstar2968 18/06/12 2968
121129 [질문] 고서나 한문책 원서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5] 2497 18/06/12 2497
121128 [질문] 흠 김대중이랑 김영삼이는 왜 전두환이를 사면해준걸까요... [20] 키토5198 18/06/11 5198
121127 [질문] LCHF 시작하고 궁금한 점 + 걱정이 생겼습니다. [17] 미기전3243 18/06/11 3243
121126 [질문] 여행지 추천 부탁요! 상해vs도쿄vs삿포로 [5] LG의심장박용택2794 18/06/11 2794
121125 [질문] 물 많이 마셔서 긍정적인 효과를 실제로 보신 분 계신가요? [17] This-Plus4333 18/06/11 4333
121124 [질문] 잘못된 선택을 한 공과(플밍) 대학원생에게 연구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뀨뀨3855 18/06/11 3855
121123 [질문] 모니터를 플스4와 PC가 공유할 수 있나요? [9] 오삼불고기6267 18/06/11 6267
121122 [질문] 고속버스에 자전거 실을 수 있나요? [12] 공격적 수요8361 18/06/11 8361
121121 [질문] 동남아 여행지 푸켓 vs 세부 [7] 아름답고큽니다7171 18/06/11 7171
121120 [질문] 닌텐도 스위치 구매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5] empty3789 18/06/11 3789
121119 [질문] 부산 힐튼 호텔 문의드립니다. [8] 제논2966 18/06/11 2966
121118 [질문] 어머니 등산화 브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삭제됨2187 18/06/11 21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