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12 00:22:41
Name 이사무
Subject [질문] 약으로 당뇨 수치가 조절이 안되는 사람은 어찌하나요?
가까운 사람이 당뇨이고 (2형)  약을 복용 중인데
당 조절이 거의 안 됩니다.

병원에 다른 이유로 입원을 하거나 수술을 해야해서 당조절을 하는 걸 보면
한끼에 밥을 한숟갈 or 두숟갈을 먹고 반찬  반주먹 정도 먹어야 겨우 정상 혈당이 나와요.

근래 좀 일반인 기준보다 좀 더 먹는다 싶더니 (맛있는 녀셕들 처럼은 아니고요)
병원 가보니 혈당이 600이 넘었다고 하더라구요;;;


병원에서 약을 바꿔보기도 했다는데 별 효과가 없는 듯 하고
예전엔 당뇨환자들 인슐린 주사(배에 맞는 거) 도 처방 받았다가 안 한 듯 하던데....

담당의사 분 말로는  저렇게 초소량으로 식사를 해서 당을 조절하면 오히려
결과적으로 나중에 몸이 더 망가진다고 하셨다더라구요.
그런데 약으로 조절은 안되구요.  극단적으로 적게 먹어야만  약 복용 후 일반적인 수치가 나오고
소식 정도 해도 높은 수치,  좀 먹는다 싶으면  저런 말도 안되는 수치가 나오더라구요.

이렇게 보통 복용약으로 당뇨가 조절이 안되는 환자들은
다음엔 어떤 처방이나 치료를 받게 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러블세가족
18/06/12 00:25
수정 아이콘
2형이더라도 인슐린 분비량이 거의 없으면 인슐린 주사 치료를 해야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비만은 아니신가요? 운동도 병행해야 합니다.
이사무
18/06/12 00:32
수정 아이콘
비만이라고 하기엔 일반 기준에선 그닥 비만은 아닙니다. 183 정도에 84~5키로 정도거든요
운동은 자주하는 편입니다. 매일 1시간~ 1시간 반정도 산책을 하고, 근력운동도 한다더라구요
러블세가족
18/06/12 00:4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운동도 열심히 하시는데 2형 당뇨로 진단을 받으신건가요..? 당연히 의사의 말을 신뢰해야겠지만, 그래도 다른 병원도 가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이건 제 개인적인 경험인데 저도 18년 전에 당뇨로 진단 받았습니다. 원래 다니던 병원 말고 다른곳에서 요스틱을 찍었더니 요당이 검출 되었습니다. 아니길 바라는 마음에 원래 다니던 동네 병원으로 갔더니 거기서 안심하라고 자기가 치료해주겠다고 하면서 당뇨약을 2주치를 지어주더라구요. 어머니께서 뭔가 대처가 늦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셔서 대학병원으로 갔더니.. 저는 인슐린 주사 치료가 필요한 1형 당뇨였습니다. 그냥 당뇨약만 먹었으면 아마 몸 상태가 더욱 나빠졌겠지요. 그 후로 병원은 늘 여러곳을 가봐야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때와 지금은 의료서비스 양질의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겠지만 혹시 모르니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면 다른 병원도 가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이사무
18/06/12 00:49
수정 아이콘
제가 물어봤는데 2형이라고 하더라구요. 아버지/ 어머니 가족력이 있고요.
그런데 1형은 보통 선천적이고 (2형도 유전성향이 있다지만) 어릴 적에 발병하는 경우로 아는데
이분 경우는 20 후반부터 약을 먹었다고 하더라구요.

말씀처럼 병원은 다른 데 가보자고 말하고 있는데, 동네에 대학병원이 하나 뿐이고 다른 곳을 가려면
휴가를 내고 가야하고 일회성이 아니라 여러번 가야하는 거면 부담을 느껴서 거절하더라구요

말씀 감사드립니다.
러블세가족
18/06/12 01:18
수정 아이콘
저도 어릴때라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진단을 위해 입원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일단 다른 이유가 아니고,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상황이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할거라 생각해서입니다. 약을 복용하고 있는데 혈당이 600이 넘는다면 현재 상태가 문제가 있는거죠.. 적절한 치료로 건강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키무도도
18/06/12 00: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절대적으로 저혈당식단으로 가셔야 할것 같은데요.

설탕이나 물엿은 일체 금지하고 대체설탕으로 나온 GI지수 낮은 알룰로스나, 타가토스같은걸로 갈아타시고...
http://www.cj.co.kr/cj-kr/brands/sweetree/menus/472/html
https://namu.wiki/w/%ED%83%80%EA%B0%80%ED%86%A0%EC%8A%A4 (타가토스 나무위키)
타가토스 블렌드와 알룰로스, 알룰로스 물엿써봤습니다만, 사카린과 달리 설탕과 맛이 상당히 비슷합니다.

흰쌀밥이나 밀가루는 먹지말고, 대부분 통곡물이나 현미밥... 고구마같은걸로.. 이마저도 꼭꼭씹어 드셔야.....
http://nown2210.tistory.com/1 GI지수 확인하시고 식단 선별하심이...
이사무
18/06/12 01:11
수정 아이콘
식단은 거의 엄청 조절하고 있는데... 신부전이 근래 오는 중이라 잡곡은 오히려 안돼서 식단이 더 힘들긴 한 거 같아요
이밤이저물기전에
18/06/12 00:59
수정 아이콘
키토제닉 다이어트 알아보심이....
탄수화물을 아예 식단에서 배제 하셔야겠는데요
이사무
18/06/12 01:11
수정 아이콘
예 검색해보고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8/06/12 12:29
수정 아이콘
당뇨병 환자한테 그런건 좀..
이밤이저물기전에
18/06/12 12:41
수정 아이콘
18/06/12 01:34
수정 아이콘
인터넷 훈수 보지 말고, 담당의사쌤이 시키는대로만 잘 지키는걸 추천합니다
펩시콜라
18/06/12 01:46
수정 아이콘
2222 인터넷 훈수 보지마세요. 진짜 정 의사가 의심스러워서 못믿겠으면 다른 의사를 찾아가보구요.
이사무
18/06/12 01:53
수정 아이콘
의사선생님을 무시하는 게 아니라....시키는 데로 10년 넘게 약을 복용하는데 당이 안잡혀서요
그렇다고 곡기를 끊는 수준으로 하는 건 의사도 말리고 있고, 그렇게 안 하면 당이 안잡히는 딜레마라서;;
18/06/12 02: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죄송한 말씀이지만 당 조절 안되는 사람중에서 시키는대로 잘 지키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글쓴이님도 지인의 말만 듣고 완벽하게 모든걸 지키고 있다 생각하시겠지만
아주 높은 확률로 본인이 잘 지키는 것만 얘기하고 안지키는것들은 말하지 않았을 확률이 더 높아 보입니다...

하나만 추가하면 혹시 "건강보조식품" "당뇨에 좋다는거" 드시고 계신건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ㅡㅡ;;;
이사무
18/06/12 09:20
수정 아이콘
그런 건 절대 먹고 있지 않습니다;; 보조식품이나 대체의학 음식을 극혐하는 사람이라서요
18/06/12 01:50
수정 아이콘
지인 얘기를 일부분 들은거로는 제대로 알수가 없네요
여기서 이런 정보로 조언 들어서 얘기 해주는 건 오히려 해가 될 거 같습니다.
이사무
18/06/12 01:54
수정 아이콘
병원은 주기적으로 가고 있고, 운동도 매일 꾸준히 하고 있는데 점점 악화가 돼서 우선 조언을 구해보려구요
18/06/12 02:54
수정 아이콘
글로만 봐서는 타입2라도 췌장 기능이 망가져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일단 입원시켜서 검사 싹 다시 하고 관리 및 교육 할 거 같습니다.
망막 신장 혈관 질환 등 당뇨 합병증도 관리 해야 할 거 같네요.
희원토끼
18/06/12 01:51
수정 아이콘
당뇨는 의사말...당뇨오래된 사람들 흔히 본인이 당뇨에대해선 의사보다 잘 안다고 생각하더라고요;;
이사무
18/06/12 01:54
수정 아이콘
딱히 의학지식은 없는 사람이고 (지인) 그래서 뭐 건강에 대해 아는 척하는 타입은 아니에요;;
너무 몰라서 그냥 시키는 데로 잘 하는 타입이고요
희원토끼
18/06/12 10:18
수정 아이콘
그러시면 그냥 의사말 열심히 들으시는게 좋아요. 주변 당뇨환자 말 듣기시작함 안되요~
18/06/12 04:28
수정 아이콘
외삼촌이 오래전에 당뇨를 앓았었는데, 그때 콩가루를 거의 주식처럼 먹었다고 들었습니다. 콩가루를 뭍혀 먹는건 기본이요, 밥먹을때도 밥보다 콩가루를 더 부어서 비벼먹고, 반찬도 콩가루에 묻혀먹고 등의 콩가루와 먹는 여러방법(...)을 들려주셧습니다. 그때 들은 말 중에는 "밥먹기 싫을때는 콩가루를 몇 줌 쥐어먹고 말았다" 라고 할 정도 였습니다. 당시 지인에게서 "당뇨엔 콩가루를 먹어야한다" 같은 이야기를 듣고 그렇게 드셧다고 합니다.

그렇게 한달 정도 먹고 병원에 가니 거의 완치 되었다고 했었습니다. 당뇨병이 완치되는 병이 아닌걸로 아는데, 아마 혈당이 내려가고서 잘 유지되고 있다는 말이 아닌가 싶네요.
콩가루 한봉지 사서 밥먹을때 스까 먹어보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이사무
18/06/12 09:21
수정 아이콘
신부전이 생긴 상태라서 단백질은 제한 해서 먹어야 해서요 말씀감사합니다
일체유심조
18/06/12 08:02
수정 아이콘
http://healingschool.kr/
이것도 추천 합니다.
실제 저는 이분 책을 읽고 실행했고 지금은 고혈압 약 안 먹었습니다.
영원히하얀계곡
18/06/13 10:24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추천합니다.
간바레
18/06/12 09:02
수정 아이콘
Secret Eaters 보시면..
겉으로 아무것도 안먹는다고 하는 사람들이 뒤에서 어떻게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이사무
18/06/13 01:23
수정 아이콘
다른 댓글에도 달았지만....안 먹는다는 게 아니라, 먹는 양에 비해서 너무 오른다는 거에요;;
의사도 그렇게 적게 먹으면 안된다 라고 주의를 줬고요;;; 근데 그렇게 적게 먹지않으면 조절이 아예 안되는 상태입니다.
조금만 소식 수준으로 먹어도 당이 바로바로 급증하고요
프로피씨아
18/06/12 09:21
수정 아이콘
시키는대로 하는데 안 잡힌다고요? 거짓말이겠죠.
이사무
18/06/13 01:22
수정 아이콘
약은 꾸준히 복용, 하루 한시간 반 이상 걷기, 근력운동, 술담배 안하기 여기 까진 팩트가 맞습니다.
근래 한두달 많이 먹어서 (당뇨 환자 기준) 당 수치가 폭등한 건 맞는데....질문 요지 처럼, 제가 여쭙는 건
먹는 양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수치가 너무 오른다는 거에요. 저도 당뇨가 있어서 같은 양을 먹고 수치를 재어봐도 정말 너무 차이가 납니다;
도라귀염
18/06/12 09:46
수정 아이콘
이 정도 상태면은 솔직히 제 지인이면 좀 더 상급병원에 가서 다시 처음부터 검사받고 진단받아볼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위험해 보이거든요
이사무
18/06/13 01:18
수정 아이콘
사는 곳 위치, 직장 위치, 병원위치 때문에 다른 데 가자고 해도 엄두를 못 내더라구요;; 저도 여러번 얘길 했고 이번에도 했는데 참 답답하네요
Suomi KP/-31
18/06/12 10:18
수정 아이콘
저도 당뇨 관련해서 병원 다니지만, 검사결과는 거짓말 안 합니다.
그냥 뒤에서 몰래몰래 하지말란거 하고 있다고밖에 말 못하겠네요.(...)

아니면 상급병원을 가시는게 맞을 듯 합니다.
이사무
18/06/13 01:18
수정 아이콘
일산 백병원 을 다니고 있는데, 다른 병원을 다니기가 정황상 한 번은 몰라도 꾸준히 다니기는 어려운 상황이라서요
제일 아래 댓글에 달았지만, 수술 할 때 병원에서 2~3일 지켜봤는데, 밥 두숫가락, 채소 반찬 조금 먹어야 약 복용후 정상 당 수치가 나오더라구요; 운동은 매일 하는 편이고 , 술 담배 안하고, 간식이나 과식을 몰래 하는 걸 수도 있지만.... 먹는 양에 비해서 너무 수치가 높게 나옵니다.
18/06/12 16:10
수정 아이콘
병원 가셔서 의사와 상담하는거 추천 합니다.
이사무
18/06/13 01:16
수정 아이콘
의사분은 인슐린 주사제도 별효과가 없다는 식으로 말했다는 데, 이건 솔직히 저도 믿기 좀 어렵더라구요
조재조재
18/06/12 21:09
수정 아이콘
당뇨에 신부전까지 있으면 먹는 약으로는 조절이 안 될 것입니다.
무조건 인슐린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대개 처음에는 몇일간 입원해서 본인한테 맞는 용량을 정합니다.
아니면 당뇨 수첩 잘 적으시면서 외래에서 조절하실 수도 있구요.
신부전까지 있으시면 안구 합병증이나 신경 합병증 같은 것 동반되어 있지 않은지 종합검진 받아보시는게 좋겠네요.
이사무
18/06/13 01:15
수정 아이콘
당뇨는 거의 20여년 된 상태고, 신부전은 1년 정도 됐습니다.(신장수치는 반년정도는 정상으로 돌아왔다가 다시 안좋아졌네요)
안구는 딱히 문제는 없지만 가끔 레이저로 혈관을 지지는 치료를 받고, 신경합병증은 앓고 있습니다.

예전에 수술 후 입원했을 때, 제가 며칠 같이 있어 본 적이 있는데, 본문에 말씀드린 거처럼 식사를 거의 안하다시피 해야 당이 잡혔습니다.
밥은 두세숫가락 정도, 반찬도 3~4번 먹고 그 외에는 아무것도 안먹어야 정상 수치가 나오더라구요.
운동은 제가 같이하는 지라, 하루 한시간 반 정도 걷고 하는 것도 팩트구요. 물론 다른 분들 말씀처럼, 숨어서 몰래 먹을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수술 땜에 입원해서 관리 할 때 보면, 다른 당뇨 환자들 보다 훨씬 적게 먹어야 겨우 당 조절이 되는 건 제가 확인했습니다;
조재조재
18/06/13 11:08
수정 아이콘
적게 먹는게 중요한 게 아니라
당뇨에 안 좋은 음식 (대개는 탄수화물이죠) 이 적은 식단으로
매 끼니 적정량을 먹는게 중요합니다.
비슷한 식단에 비슷한 칼로리를 먹으면서 일정한 인슐린을 맞아야 하는 것이지요.
다른 당뇨 환자들조다 적게 먹어야 겨우 당 조절이 되는 것은
이미 환자 본인의 인슐린 생성 능력이 거의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종합 병원이나 당뇨 전문 병원 입원하셔서
인슐린 용량 정하기 + 당뇨 식이 교육 정도가 필요하신 상태 같습니다.
이사무
18/06/14 01:01
수정 아이콘
말씀 감사합니다. 그리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141 [질문] 이번에 월드컵 한국경기때 서울시청에서 대형스크린 트나요? [1] johann2814 18/06/12 2814
121140 [질문] 혹시 이 경기 기억하시는 불스 아재팬 계신가요? [4] patio1871 18/06/12 1871
121139 [질문] 데오드란트 추천부탁드립니다! [3] 양념반자르반2146 18/06/12 2146
121138 [질문] 쥬라기월드 전편들을 볼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6] 리나장2988 18/06/12 2988
121137 [질문] 이거 제가 기분 나쁠만한 상황인가요? [47] 이비군5682 18/06/12 5682
121136 [질문] 초보운전이라 해도 교통흐름을 따라가야 하나요?? [30] 지앞영소녀시대5019 18/06/12 5019
121135 [질문] 맥도날드 버거들 언제부터 이렇게 작아졌나요? [26] 메론8271 18/06/12 8271
121134 [질문] 보이루라는 말이 안좋게 사용된게 어느정도 였나요? [42] 시린비5915 18/06/12 5915
121133 [질문] 여름용 남자 스킨로션 추천부탁드립니다. 얼굴 완전 뒤집어짐... [18] johann3577 18/06/12 3577
121132 [질문] 외력만 없으면 북한 체제가 유지가능할까요? [12] 차라리꽉눌러붙을2921 18/06/12 2921
121131 [질문] 약으로 당뇨 수치가 조절이 안되는 사람은 어찌하나요? [40] 이사무6595 18/06/12 6595
121130 [질문] 신혼여행 명품백 구입시 세금문제 질문입니다. [6] arq.Gstar2969 18/06/12 2969
121129 [질문] 고서나 한문책 원서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5] 2498 18/06/12 2498
121128 [질문] 흠 김대중이랑 김영삼이는 왜 전두환이를 사면해준걸까요... [20] 키토5198 18/06/11 5198
121127 [질문] LCHF 시작하고 궁금한 점 + 걱정이 생겼습니다. [17] 미기전3243 18/06/11 3243
121126 [질문] 여행지 추천 부탁요! 상해vs도쿄vs삿포로 [5] LG의심장박용택2794 18/06/11 2794
121125 [질문] 물 많이 마셔서 긍정적인 효과를 실제로 보신 분 계신가요? [17] This-Plus4334 18/06/11 4334
121124 [질문] 잘못된 선택을 한 공과(플밍) 대학원생에게 연구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뀨뀨3856 18/06/11 3856
121123 [질문] 모니터를 플스4와 PC가 공유할 수 있나요? [9] 오삼불고기6268 18/06/11 6268
121122 [질문] 고속버스에 자전거 실을 수 있나요? [12] 공격적 수요8361 18/06/11 8361
121121 [질문] 동남아 여행지 푸켓 vs 세부 [7] 아름답고큽니다7173 18/06/11 7173
121120 [질문] 닌텐도 스위치 구매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5] empty3790 18/06/11 3790
121119 [질문] 부산 힐튼 호텔 문의드립니다. [8] 제논2966 18/06/11 29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