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8/07 15:01:11
Name 박보영♡
Subject 인문책과 자연책?


학교에서 생활 기록부에 기록하기 위해 인문책 2권과 자연책 2권을 읽고 간략하게 서술해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인문책은 마시멜로 이야기와 같은 것들도 포함되는 것인가요? (경제?)

인문책이란 국사,경제 등등을 다 포괄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자연책은 과학 서적 읽으면... 되려나... 모르겠네요.

알려주세요!

p.s 고등학생이 읽을만한 책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8/07 15:06
수정 아이콘
경제학 책들도 인문책에 포함됩니다. 그냥 자연책, 문학책을 제외한 모든 책들은 인문책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뭐, 굳이 이런 것들을 나누는 것이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문화인류학 책들은 절대 구별이 안되죠..)
09/08/07 15:18
수정 아이콘
최근 봤던 책 중 추천해 드릴만한 책으로는, 인문책으로는 '굶주리는 세계', '집으로 가는 길', 자연책으로는 '쿨잇', '이머전스' 정도면 고등학생분이라도 충분히 읽을 만 하면서 교과서에서 쉽사리 배울 수 없는 내용들이 실려 있다고 봅니다.
09/08/07 15:20
수정 아이콘
좀 애매하긴 하네요.^^;;;
넓은 범주에서 보면 경제경영 서적도 인문책에 해당하긴 하겠지만, 고등학생이라면 사실 <마시멜로 이야기> 같은 경제경영서를 생각하고 인문책을 읽으라고 하지 않았을 것 같거든요.^^;;
인문책 두 권과 자연책 두 권이라고 하면 인문사회 서적 두 권, 자연과학 서적 두 권, 이렇게 들리네요.
제가 학교 선생님이라도 학생기록부에 기록할 책이면 저런 범주를 넣지 가벼운 경제경영서를 읽어오라고 할 것 같지 않거든요.^^;;

고등학생이라면 일단 서울대나 아니면 여타 도서관, 도서읽기 모임 같은 데서 발표한 고등학생이 읽어야 할 ~선을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범우사나 서해문집에서 나오는 중고등 상대로 하는 사상신서가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자연과학 쪽은 저도 잘 모르겠어요.
그쪽은 원래부터 쥐약 코스...ㅠ_ㅠ
09/08/07 16:46
수정 아이콘
자연과학 서적은...
천재들의 수학노트 / 박부성 ,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 정재승 추천드려요.
교양 수준으로 써있는 책이라서 무지 쉽고 볼만합니다.

이기적 유전자 / 리차드 도킨슨 , 부분과 전체 / 하이덴 베르그
이것들도 많이 추천되긴 하는건데 그다지 말랑말랑한 책은 아니구요. 하지만 볼 가치는 있는 책들이죠
사랑받고있어
09/08/07 21:30
수정 아이콘
이기적 유전자 생각보다 졸려요... 같은 사람이 쓴 '만들어진 신'도 과학적(?)으로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내용인데 제목은 자극적이나 생각보다 지겨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1347 만약 어떤 대회에서 있을수있는 경우에 대해 질문입니다. [1] Revere1498 09/08/07 1498
61346 야구관련질문입니다! [7] 로즈마리2092 09/08/07 2092
61345 영화 10억 질문입니다.(약간의 스포) [4] GoThree2204 09/08/07 2204
61344 여행지 질문(가족여행입니다) [1] croissant1754 09/08/07 1754
61343 결승전 본경기 몇시부터 시작하나요? [4] 아레스1927 09/08/07 1927
61342 원피스 553화질문..(스포) [40] 옥희2675 09/08/07 2675
61341 스티븐 시걸 영화 추천받습니다. [9] 무제3897 09/08/07 3897
61339 노트북이 관한 여러가지 질문.... [2] dkgkgkgk1671 09/08/07 1671
61338 인문책과 자연책? [5] 박보영♡2619 09/08/07 2619
61337 얼라이마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하세요? [49] J2N3368 09/08/07 3368
61336 오늘 결승전 생방송 컴퓨터로 볼수 있는곳 알려주세요~ [3] 멜로1910 09/08/07 1910
61335 팔씨름 잘하는 사람의 특징은 뭘까요? [16] Genius11010 09/08/07 11010
61334 디시인사이드 툴바설치가 계속뜨는데...; [1] 인하대학교2333 09/08/07 2333
61333 led tv 살려는데요.. 아레스1496 09/08/07 1496
61332 갓 만렙찍은 비법인데요~ [7] Xavi1869 09/08/07 1869
61331 노트북 관해서 질문드려요~ [1] buddha1635 09/08/07 1635
61330 서울 하루짜리 여행 코스 추천해주세요. '혼자'갑니다. [9] Noam Chomsky2344 09/08/07 2344
61329 아랫글을 보고..턱걸이하는 요령좀.. [18] ROKZeaLoT3039 09/08/07 3039
61328 인턴의 임금체불에 관한 질문입니다. [2] 노.안1725 09/08/07 1725
61327 파폭에서 사이트 통째로 다운받는거 어떻게 하나요??? 정시레1710 09/08/07 1710
61326 팔굽혀펴기를 하는법 혹은 요령이 있나요? [27] 로즈마리5871 09/08/07 5871
61325 예전에 자게에 올라왔던 '디비고' 기억하시나요?(스팸관련) [1] Rainism2432 09/08/07 2432
61324 아버지 선물 용 지갑에 관하여 질문입니다. [9] 모리2094 09/08/07 20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