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2/23 21:40:39
Name 이성경
Subject [질문] 포켓몬스터 1세대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모 프로그램에서 포켓몬스터 내용을 보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1. 에스퍼타입 최강 캐릭터 뮤츠 va 고스트타입 최강 캐릭터 팬텀
고스트 타입이 에스퍼 타입의 상성으로 알고 있는데 게임 했었던 기억을 떠올리면 뮤츠의 사이코키네시스 한 방에 고스트 타입 포켓몬들이 죽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왜 그런지 알고 싶습니다.

2. 제 기억엔 에스퍼나 드래곤 타입의 상성이 없었던 것 같은데 맞나요?

3. 피지알 여러분들은 어떤 종류의 포켓몬을 갖고 게임을 진행하셨나요? 저는 썬더, 파이어, 프리져, 팬텀, 뮤츠, 갸라도스 였습니다.

상기 내용은 모두 포켓몬스터 옐로우버젼 기준입니다.
포알못이 포잘알 피식인 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23 21:44
수정 아이콘
1. 고스트 에스퍼 서로 2배 효과로 알고 있습니다.
2. 모든 타입은 약점이 존재하며 에스퍼-드래곤은 서로 1배네요
3. 그냥 보이는거 막 잡고 놀았던걸로 기억합니다
FastVulture
16/02/23 21:45
수정 아이콘
에스퍼 타입의 상성이 뭐더라...
드래곤 타입은 '얼음'이 약점일 거에요
NightBAya
16/02/23 21:48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포켓몬스터/타입/설명

1. 팬텀 계열은 독 속성도 가지고 있는데 에스퍼가 독에 2배 피해를 줍니다. 거기에 1세대때는 버그로 고스트가 에스퍼에 2배 피해를 주지 못하는 상태였습니다.

2.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
16/02/23 21:54
수정 아이콘
오오
FastVulture
16/02/23 21:48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 찾아보니까
고스트는 에스퍼를 때려잡는다고 되어 있었지만 아예 대미지가 안 들어갔다.(....)라고 되어있네요
난파선
16/02/23 21:56
수정 아이콘
3. 컨셉 잡아서 보통 했죠. (지우셋, 뚱땡이셋, 약한애들셋 등)
Faker Senpai
16/02/23 22:00
수정 아이콘
1.에스터타입은 격투 독타입에 강하고 상성은 벌래 고스트 타입에 약합니다. 뮤츠가 좀 데미지가 괴랄하죠.

2. 드래곤 타입은 상성은 아이스에요.

3. 1세대 처음깼을때는 사용되는 일어만 배워서 일어팩으로 깼던 기억이 나네요. 20년전쯤 이라 기억이 안나요 ㅠ.ㅠ
최근 파이어레드 깼을때는 잠만보 라이츄 라프라스(용타임 대비 냉동빔) 샤미드(냉동빔) 프리저 (역시나 얼음빔)로 깼습니다.
FastVulture
16/02/23 22:02
수정 아이콘
옐로우 버젼 기준이면 저는
피카츄 리자몽 이상해꽃 거북왕 망나뇽 + 갸라도스or윤겔라
이런 파티로 다녔던거같네요.
전립선
16/02/23 22:04
수정 아이콘
1. 정확히 말해서 1세대에는 고스트 타입이 고오스-고우스트-팬텀 밖에 없었는데 얘네는 고스트/독 복합 속성이었죠. 그리고 고스트 타입이 에스퍼 반감이 없고 독 타입이 에스퍼에 약점을 찔리는 바람에 에스퍼 타입 공격에 2배 데미지를 받았습니다.
2. 에스퍼는 원래 고스트, 벌레에 2배 데미지를 받아야 했는데 고스트는 버그, 벌레 속성은 공격기가 제대로 된 기술이 없어서 사실상 무상성이었고 드래곤은 얼음, 드래곤 속성에 2배 데미지였는데 게임 상에서 드래곤 속성 기술은 고정뎀인 드래곤 레이지 외에는 배우기가 많이 힘들어서 얼음 속성의 냉동빔으로 사천왕 많이 잡았었죠.
Sgt. Hammer
16/02/23 22:06
수정 아이콘
1세대는 켄타로스랑 프리저가 깡패...
파괴광선 최고치로 뽑으면서 원킬 내면 바로 또 움직이는 켄타로스.
마음의 눈-절대영도 확정 킬 콤보 가진 프리저...
FastVulture
16/02/23 22:10
수정 아이콘
절대영도는 4세대부터 나왔던 기술 아닌가요? ㅠㅠ
Sgt. Hammer
16/02/23 22:12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생각해보니까 저 콤보는 3세대에서 쓰던거네.
첫 등장이 3세대일겁니다.
FastVulture
16/02/23 22:13
수정 아이콘
아 3세대...인가 아무튼 초반1~2세대에선 없었던거같아서요
빠독이
16/02/23 22:39
수정 아이콘
음 아마 1세대 때 눈보라 빙결 확률이 높았던 데다가 빙결되면 풀리지 않았던 게 사기였어서 그거랑 기억이 섞이신 듯 합니다?
Sgt. Hammer
16/02/23 22:48
수정 아이콘
그런거 같네요.
프리져가 더럽게 셌던 기억만 있어서 크크
토모리 나오
16/02/23 23:26
수정 아이콘
1세대는 특공특방이 통합이라 특수125로 날리는 눈보라/냉빔의 프리져의 위엄이 쩔었죠 크크
샤르미에티미
16/02/23 22:15
수정 아이콘
1.에스퍼 VS 고스트면 고스트가 상성은 낫기는 한데 팬텀은 독 속성도 있어서 뮤츠와 서로 상극입니다. 서로 약점이지만 스탯 차이가 너무 나서
팬텀은 뮤츠의 상대가 안 됩니다. 어릴 때 생각으로는 그냥 전설의 포켓몬이니까 짱이다 싶었네요.

2.1세대에서 드래곤은 드래곤과 얼음이 상성입니다. 망나뇽은 얼음에 4배 피해를 입어서 맞으면 갔죠. 에스퍼는 1세대에서는 사실상 상성이 없다고
봐도 됩니다. 벌레나 고스트가 약점이기는 한데 1세대 벌레 포켓몬들은 그야말로 벌레급 스탯이고 고스트는 팬텀만 있는데 팬텀이 독 속성이 있어서
에스퍼에게 강하지 못 합니다. 에스퍼가 1세대에서 너무 강해서 2세대에서는 강철 넣고 악 넣어서 너프를 확 시켜버리죠.

3.가랴도스, 이브이 물 진화, 뮤츠, 썬더, 프리져, 스타팅 중 하나 이렇게 썼던 것 같네요. 당시 공략도 찾아보기 힘든 때라 파이어 잡는 방법을
몰랐고 누가 특별히 좋은 줄도 몰라서 그냥 레벨 무식하게 올려서 다 깬 기억이 납니다.
콰트로치즈와퍼
16/02/23 22:18
수정 아이콘
1. 사이코키네시스에 고스트가 털리던거는 1세대 고스트 포켓몬이 고오스-고우스트-팬텀밖에 없었는데 얘내가 독/고스트 타입입니다. 에스퍼 공격은 고스트 방어에 반감되는 게 없이 그냥 정상치로 들어가고, 독에겐 2배를 입힙니다.

그리고 팬텀형제가 에스퍼를 못잡던건, 원래는 고스트 공격이 에스퍼에게 2배를 박아야 하는데 1세대 한정 버그로 딜이 2배가 아닌 원래대로 들어가서 그렇습니다.

2. 에스퍼 공격은 격투/독에게 강하고, 강철/에스퍼에게 반감, 악에겐 무효입니다. 방어는 악/벌레/고스트한테 찔리고, 격투/에스퍼한텐 강합니다. 1세대 에스퍼가 무상성처럼 느껴졌던건 고스트의 버그, 1세대 고스트인 팬텀형제는 독 상성 보유, 1세대 벌레타입 공격은 핵똥쓰레기라서 벌레를 아무도 안키움...의 합작이죠.

드래곤은 드래곤에게 강하고, 강철에게 반감되고, 페어리는 못때립니다. 방어시엔 얼음 드래곤 페어리한테 털리고 불꽃 전기 물 풀에게 강합니다. 근데 페어리는 한~참 나중에 나온 상성이라 1세대엔 의미가 없네요.
16/02/23 22:24
수정 아이콘
3. 강챙이, 이상해꽃, 피카츄, 갸라도스, 잠만보, 프테라.
출발자
16/02/23 23:17
수정 아이콘
1번은 일단 급이 다르고요. 팬텀의 라이벌은 주로 후딘이 언급됩니다. 1세대는 후딘이 우세였죠 그냥 깡패...벌레타입은 4세대에 시저크로스라는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는 홀대여서 에스퍼가 미쳐 날뛰었죠.

2번은 1세대 한정으로 눈보라가 90퍼 명중률이라 냉동빔보다 많이 썼습니다. 드래곤이라봐야 시드라나 망나뇽인데 시드라는 킹드라 전단계라 종족치 자체가 후달렸고 망나뇽은 비행속성때문에 얼음에 4배데미지를 먹어서 라프라스나 프리져앞에 묵념...

3번 전 주로 스타팅 올인해서 키웠네요. 비전용 풀포케랑 비행포케정도 들고다녔고요
16/02/24 04:31
수정 아이콘
1세대는 갸라도스 2마리면 게임 끝납니다. 파도타기/하이드로펌프/불대문자/10만볼트/번개/파괴광선/냉동빔/눈보라 나눠서 주면 두마리로 말 그대로 다 떄려잡고 다님....
Riffrain
16/02/24 07:29
수정 아이콘
답변들을 쭉 읽어보니 뭔가 하나씩 잘못되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네요. 대충 전립선님, 샤르미에티미님, 콰트로치즈와퍼님 답변을 조합하면 맞습니다.

1. 1세대 당시 에스퍼와 고스트의 상성은 에스퍼가 고스트를 공격할 때는 1배, 고스트가 에스퍼를 공격할 때는 2배가 되었어야 했으나... 버그가 있어서 고스트 타입 기술의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거기에 1세대 당시 유일한 고스트 타입이었던 팬텀 계열은 고스트/독 복합 속성이어서 역으로 에스퍼에게 2배 데미지를 입었습니다. 그리고 출발자님 말씀대로 뮤츠와 팬텀은 기본적으로 급부터 다르고요.

2. 1세대에서 에스퍼 타입에 2배 데미지를 주는 타입은 벌레 타입과 고스트 타입이 있었습니다. 다만 문제가 많았는데요. 우선 두 타입 모두 실질적인 공격기가 없었습니다. 벌레타입 공격기는 흡혈, 바늘미사일, 더블니들의 세 가지가 있었는데 흡혈은 위력이 너무 낮고, 바늘미사일은 위력 15에 2~5번 공격하는 연속공격기라 위력의 기대값이 낮았습니다. 게다가 배우는 포켓몬도 독침붕과 쥬피썬더 밖에 없었고요. 그나마 더블니들이 독 효과도 있어서 쓸만했지만 이건 배우는 포켓몬이 진짜 독침붕 딱 하나였습니다. 즉 쓸만한 벌레 타입 공격기를 가진 포켓몬은 독침붕 하나인데 독침붕은 벌레/독 복합 속성이라 에스퍼에 2배 데미지를 입죠. 게다가 벌레타입 포켓몬들은 스라크를 제외하면 종족값이 똥이었습니다. 사실상 벌레로 에스퍼를 견제할 방법이 없었던거죠.
고스트 타입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1세대에서 고스트 타입은 팬텀 계열이 유일한데 고스트/독 복합 속성이라 역으로 에스퍼 타입 공격기에 털렸습니다. 그리고 고스트 타입 공격기도 핥기와 나이트헤드 두 가지 밖에 없었습니다만 이게 또 처참합니다. 핥기는 위력이 너무 낮고, 나이트헤드는 사용하는 포켓몬의 레벨만큼 데미지를 주는 기술이라 상성이 사실상 무의미한 기술입니다. 결정적으로 위에서 말했듯이 버그때문에 애초에 고스트 타입 기술이 에스퍼 타입에게 먹히지 않았죠. 이렇게 에스퍼 타입의 상성인 벌레 타입과 고스트 타입이 전혀 견제를 해주지 못했기 때문에 1세대에서 에스퍼는 사기급이었습니다. 당장 후딘까지 갈 것도 없이 윤겔라만 들고 다녀도 스토리는 씹어 먹을 수 있습니다.
1세대에서 드래곤 타입의 약점은 같은 드래곤 타입과 얼음 타입이었습니다. 다만 드래곤 타입은 의미가 없었는데 드래곤 타입의 유일한 공격기였던 용의 분노가 40의 고정 데미지를 주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얼음은 드래곤 견제의 역할을 충분히 해주었습니다. 1세대에서 눈보라가 사기급 기술이었던 이유도 있고, 1세대 당시 드래곤 타입은 망나뇽 계열이 유일했는데 (출발자님이 시드라를 언급했는데 시드라는 지금까지도 순수 물타입이며 2세대에서 킹드라로 진화를 해야 드래곤 타입을 얻게 됩니다) 망나뇽은 드래곤/비행 복합 속성이라 얼음에 4배 데미지를 입죠. 때문에 1세대에서 드래곤 타입은 공격적인 면에서는 도움이 전혀 되지 않는 타입이었습니다. 하지만 메이저한 타입을 반감하는 경우가 많기에 방어적인 면에서는 꽤 좋은 타입이었죠.

3. 1세대의 특징 중 하나로 민첩 능력치가 크리티컬 확률에 영향을 줬습니다. 민첩이 빠르면 크리티컬이 더 잘 떴죠. 그래서 민첩이 빠른 포켓몬을 많이 키웠던 것 같습니다. 주로 스타팅은 파이리를 고르고 닥트리오, 쥬피썬더, 후딘, 두트리오 등을 많이 썼던 것 같네요. 그 밖에는 라프라스, 라플레시아, 니드킹, 우츠보트, 갸라도스 등을 자주 썼습니다.
16/02/24 08:57
수정 아이콘
스피드와 크리티컬 확률은 상관이 없습니다. 1세대에서 스피드가 높을수록 일격기의 명중확률이 높았는데 그것과 헷갈리신듯 하네요.
Riffrain
16/02/24 12:58
수정 아이콘
아 맞네요. 지적 감사합니다.
이성경
16/02/24 20:05
수정 아이콘
답변 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8604 [질문] 스팀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SCV2684 16/02/24 2684
78603 [질문] 지역감정의 원인에 대해 명확히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8] 상상.5516 16/02/24 5516
78602 [질문] [LOL] 아이디 '구멍슝슝'이 뱅기인가요? [1] 아이린_배주현4512 16/02/24 4512
78601 [질문] 꼭 들어봐야하는 국힙 '명반'이 있을까요? [25] 밀어서 잠금해제7339 16/02/24 7339
78600 [질문] 예비군 질문 드립니다 [8] Dwyane1632 16/02/24 1632
78599 [질문] 지금 하는 필리버스터 야당이 독하게 끝장볼 수 있을까요?? [17] Dow3314 16/02/24 3314
78598 [질문] 게임브금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오즈s1457 16/02/24 1457
78597 [질문] 건선에 걸린 거 같아요 [9] 물통이없어졌어요1773 16/02/24 1773
78595 [질문] 우편번호(도로명 방식) 불편하지 않나요? [16] 해피바스2170 16/02/23 2170
78594 [질문] [19]친구가 성매매에 중독되었습니다... [19] 삭제됨33975 16/02/23 33975
78593 [질문] 데드풀의 유머코드가 성인유머 뿐이 없나요?? [3] 박보영2751 16/02/23 2751
78592 [질문] 복합기 둘 사이에서 고민중입니다(사진첨부). [4] 물범1896 16/02/23 1896
78591 [질문] 이번 필리버스터를 지지, 지원하기 위해 뭘 할 수 있을까요? [2] 예니치카1859 16/02/23 1859
78590 [질문] 현재 진행되는 필리버스터가 3월 10일까지 진행될 경우 총선 실시 여부 [1] 독수리의습격2357 16/02/23 2357
78589 [질문] 마영전을 다시 시작하고 있습니다. [8] 중학교삼학년1649 16/02/23 1649
78588 [질문] 서울 은평구쪽 혼자 할만한 것 질문드려봅니다. [8] 고스트2503 16/02/23 2503
78587 [질문]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기타를 가르쳐주는 영화제목 [4] 위대한캣츠비1845 16/02/23 1845
78586 [질문] 의사 선생님들께 조언 부탁드립니다 [3] C컵좌완8556 16/02/23 8556
78585 [질문] 차에 번개가 떨어지면 차안에 사람이 멀쩡한 이유,,,, [6] 예나찡9650 16/02/23 9650
78584 [질문] 프랑스어행 숙소 위치 어디가 좋을까요 [4] 김리프1411 16/02/23 1411
78583 [질문] 두부 초장에 찍어드시나요? [5] Anakin Skywalker9409 16/02/23 9409
78582 [질문] 포켓몬스터 1세대 질문입니다. [25] 이성경12498 16/02/23 12498
78581 [질문] [LOL] 롤챔스 팀당 평균 경기시간을 알 수 있는 곳 있나요? [2] 어바웃타임5289 16/02/23 52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