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14 09:12
1번은 뻥인것 같아요...
중국에서 6개월 정도 출장있았는데 200위안(약 35000원)으로 통신비 해결했어요.... 그렇다고 통화 품질이나 데이터 속도가 느렸냐? 그것도 아니고요
18/05/14 09:32
오 그렇군요 -!!
질문이 있습니다. 1. 중국에서 3.5 만원이면 평균 임금이나 물가대비 어느 정도 수준의 금액일까요?? 2. 사용하신 요금제에서 제공했던 데이터 양?? 은 얼만큼 일까요??? 알려주신다면 공돌이가 비교해보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8/05/14 09:58
6개월 썼으니 한달 6천원 정도이고 저랑 비슷한 연차의 중국인이 월 5000위안 정도 월급 받았네요 85만원 정도
거기는 한달 이용료 개념이 아니었고 100위안에 통화 몇분 데이터 몇기가 이런 개념이었는데 통화는 기억이 안나고 데이터는 52기가 받았네요
18/05/14 10:47
(수정됨) 통신비와 관련하여 개인적으로는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뀌면서 기기값이 올라감과 동시에 이전과 달리 데이터의 존재로 인하여 통신요금도 같이 올라가는 바람에 매월 부담하는 통신비가 전반적으로 상승한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나라는 플래그십 모델을 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가능한이면 최신 기종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니 기기값 부담도 자연스레 더 높아질 수밖에 없을 테죠. 요금제도 대체적으로 전화 무제한, 문자 무제한은 기본에 데이터도 가능한 무제한을 이용한다든지 일정 용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저렴한 요금제가 있음에도 그 이상의 요금제를 보통 사용하는 것 같고요. 지금도 하위 라인 모델에 저렴한 요금제 쓰면서 약정 기간 지나고도 계속 사용하면 피쳐폰 시절처럼 매월 2~3만원대는 아니더라도 대략 5만원선 정도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8/05/14 11:12
정부가 강제할 수 있는 명분은 3번에서 언급하신 전파가 공공재이고, 기업(통신사)은 그걸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인 것과 현대 사회에서 전기, 수도, 가스, 교통, 건강보험과 같이 통신이 국민생활에 있어 기본적인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명분의 옳다 그르다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18/05/14 13:17
대부분의 말씀은 “공공재니까” 이네요.
그러면 2번의... 대체제가 있다. 에 대해서는 뭐라고 얘기할 수 있을까요?? 공공재고 시민들에게 부담이 되니 가격 내려 -> 싼 거 있는데 싼 거 쓰세영!! 이라고 한다면 어떤 논리로 반박해야 할까요??? + 싼 통신사들이 있는데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