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13 19:24
유저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1-1. 죽밤 아군이 방어에서 손놓고 있고 공격 몰빵 하고 있으면 수비전담해 주시고 낮마다 공격 나가주시면됩니다. 1-2. 어떤 공세던 방어하지 않으면 멀티나 본진이 날라갑니다 ㅠㅠ 협동전이니 한명이 공세막고 한명이 비행선 부수는게 좋지만, 혼자 둘다 해야한다면 패널스킬을 활용하면됩니다. 공세를 히페리온으로 비행선은 본대로. 1-3. 기본 빌드는 꺼라위키에서, 플레이는 팀원을 보고 배웁니다. 2. 사실 일반 아어고 궤사 10개까지 늘릴수 있는 수준이시면 리버 분열기에 200 다먹혀도 또 뽑아서 잡으면 됩니다 크크. 3. 부대지정은 본인이 제일 편하신 걸로 하시면 되고 단축키는 단축키 설정에서 패널까지 등록할 수 있습니다. 저는 alt + QWER이 편하더라고요. 4. 개인적으로 데하카가 레이너 보다 더 바쁘다고 생각합니다... 피닉스 6용사 빌드는 개그빌드까지는 아니지만 시간과 자원이 많이 필요한 빌드라서 개인적으로는 3테크트리중 2개를 타는 빌드를 추천합니다. 관문출발 후 상대 조합을 대략 보시고 우관추가 혹인 로공 추가해서 사도, 보전기, 정찰기(or 불멸자 or 거신) 로공 우관 빌드도 강려크하더군요(멸자 or 거신 + 정찰기 + 클로라리온 1기) 땡우모가 사실 가장 쎈데 재미없.... 플엑 협동전 게시판 가시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5. 경험치랑 업적이 있습니다.
17/10/13 19:31
(수정됨) 죽밤 수비야 당연히 하는건데 2,3 방향에서 오는 적을 f2로 하다보니 대참사가..ㅠㅠ 대충 막 찢어서 하려고는 합니다만..f2를 봉인해야 할지..
데하카는 건물 구성이나 업글 등등이 심플 그 자체던데 유닛을 그냥 뽑던 애들만 뽑아서 그랬나 봅니다.. 보통 피닉스 하다보면 군단병 1~2 보전기 3~4 옵저버2~3 거신 2~3 빼고 나머지 다 뽑아서 쓰는데 업글까지 욕심나니 병력이 엄청 초라하더군요..왠지 있을 건 다 있는데 얼마 없는 느낌 크크
17/10/13 20:08
마렙210짜리 협창이 답변드립니다 크크
1-이건 솔직히 많이 하다보면 맵마다 패턴(공세 타이밍과 위치)을 거의 다 외우게 되서 아군 병력상황과 위치를 보고 정확한 타이밍에 공격 또는 방어하고 이동하는 식으로 커버할수 있습니다. 2-이것도 1번에 연결된 이야긴데 해불로 적기지쪽 밀어버리고 공세나오는데다가 지뢰 박으면 됩니다. 이것도 많이해서 패턴을 외우면 적 공세 나오자마자 지뢰밥이 되는 뽕맛을 느끼실수 있습니다. 3-이건 본인 편하신데로 하는게 정답. 4-피닉스는 우모가 제일 좋고 6용사는 반 예능으로 보고있습니다. 솔직히 버프가 필요한 사령관이라고 생각해서
17/10/13 20:29
와 200... 그냥 매칭에서 만낫으면 핵으로 오인할듯 크크크 지뢰 힌번 써봐야 겟네요 피닉스 우모는 역시 괜히 사람들이 하는게 아닌가보네요
17/10/13 20:42
(수정됨) 단축키나 빌드 같은건 남에꺼 보고 그대로 쓰지 마시고 자기한테 적당히 맞춰서 쓰세요. 익숙한게 제일입니다.
아이리진님 방송 추천하는게, 다른 협동전 방송은 설명도 없이 혼자 바쁘게 깨고, 쉽죠? 이러고 끝이라서... 맵마다 첫공세 타이밍도 다르고(코랄은 공세 더 일찍 오고), 멀티에 우선적으로 러쉬오는 맵(공허출격은 첫 함선 때 멀티에 혼종 옵니다)도 있고 멀티 자체가 떨어져 있어서 동맹이랑 손발 안맞으면 먹는 타이밍 꼬이는 맵도 있어서(아몬, 광부대피, 특종) 해보면서 자기한테 맞게 적당히 쓰세요. 1. 죽밤의 경우 카락스 할 때 아니면 2방향만 막습니다. 저는 토스만 해서 그런지 절 믿고 올공격 가는 분은 잘 없었습니다. 캐논은 4개 입구 다 지어두는데 병력은 캐논 주변에 2개로 갈라서 분산해줍니다. 캐논 근처에서 홀드 후 스킬만 사용하네요. 그리고 안막는 쪽은 동맹 기지 쪽 입구를 안막아서 뚫리면 동맹 기지가 먼저 날아가는 방향을 방치합니다. 어지간하면 동맹이 알아서 막습니다. 다른맵도 목표 달성 외에는 적진까진 안가는 편이라 공세도 뛰어가서 막습니다. 제가 못 막아도 어지간하면 동맹이 패널 써서 같이 막아줍니다. 유닛 갈라야하는 부분은 동맹을 적당히 믿으세요. 이거 이래도 괜찮나 싶은데 동맹도 사람이기 때문에 어찌어찌 다 막습니다. 2. 병력구성 https://namu.wiki/w/%EC%8A%A4%ED%83%80%ED%81%AC%EB%9E%98%ED%94%84%ED%8A%B8%202:%20%EA%B3%B5%ED%97%88%EC%9D%98%20%EC%9C%A0%EC%82%B0/%ED%98%91%EB%8F%99%EC%A0%84%20%EC%9E%84%EB%AC%B4/%EC%9D%B8%EA%B3%B5%EC%A7%80%EB%8A%A5 적 공세가 정해져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첫 공세 유닛 보고 이 공세는 이 조합으로 가고~ 이런식으로 정해두고 플레이합니다. 저그 - 저글링으로 시작하는 살변갈링링, 바퀴로 시작하는 바퀴 울트라, 저글링으로 시작하는 저글링 뮤탈 무리군주. 테란 - 마린으로 시작하는 바이오닉+핵고스트, 화염차로 시작하는 메카닉테란, 사신 or 바이킹으로 시작하는 스카이테란. 토스 - 광전사 / 사도로 각각 기사단, 로봇공학, 스카이로 총 6가지 빌드. 말씀하신건 리버 분열기의 '사도 로봇공학 토스'인데, 사령관별로 대처법이 어느 정도 적혀있습니다. 저기 나온 말대로 해보시고 손에 맞는 걸로 막으시면 됩니다. 맵별 공세별로 어떤 조합을 쓰겠다고 생각해놓고 플레이하면 좋습니다. 3. 단축키 f2 때문인지 유닛은 부대지정 안하거나 1번에 커맨드 넣어버리는 영상들이 많긴한데 자기 편한대로 맞춰서 쓰세요. 상단 패널, 노는 일꾼, 전체병력도 단축키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 단축키 -> 상세) 에 상단패널 이런거 다 있어요. 협동전 한 판하고 단축키칸 가보시면 협동전용 단축키로 설정이 변해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건물단축키까지 다 지정할 수 있는데 업글도 칸 위치에 따라서 q w e r a s z x 같은 식으로 고쳐쓰시면 됩니다. 4. 피닉스는 아르타니스만큼이나 사용할 수 있는 조합이 다양합니다. 6용사는 초반에만 쓰다가 업글도 너무 많아서 그냥 간지용 판정을 받고 '땡 우주모함 빌드'만 유행했는데 요새는 탈리스 땡사도, 클로라리온 섞은 땡 정찰기, 불멸자 정찰기 섞은 로공우관 조합, 6용사 빌드까지 선택지가 다양해졌습니다. 최근 용사데미지가 생각보다 쌔다는게 입증(?)되서 간지 6용사 빌드가 뜨는 것 같은데, 타 빌드를 압도할 정도까진 아닌 것 같아요. 자원도 비싸고 유지력이 애매해서 군단병 사도는 극소수만 쓰고 불멸자+정찰기 메인이 나은 것 같네요.
17/10/13 20:52
저도 손도 느리고 실력도 없어 임기응변은 불가능하고 그냥 경험빨로 외워서 깨는 수준입니다.
맵 마다 공세가 오는 시점과 지점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 타이밍에 맞춰 생산과 운용을 최적화 하는게 좋습니다. 예시로 든 공허의 출격은 첫 셔틀 타이밍은 동맹 병력 규모랑 움직임 봐서 병력 나누고 패널스킬 총 동원해 막고, 그 이후부터는 적 기지 앞에서 전진방어 합니다. 적 첫 공세 구성 병력을 보면 대충 최종 구성 견적이 나오고, 두번째 공세를 보면 거의 완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정해져 있어요. 이후에는 해불의, 메카닉을 섞을까?, 바이킹 비율 조절, 전순(예능?), 지뢰이너 같은 여러 빌드 중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걸 선택하시면 됩니다. 돌변은 경험치 업적 제하고도 어려운 걸 깼다는 보람이 있죠. 협동전라고 해도 결국 컴까기인데다 효과적인 빌드가 정해져있다시피해서 언젠가는 패턴 다 외우고 코파면서 지루하게 클리어하게 됩니다. 돌변이 매주 새로운 패턴에 난이도도 상당해서 언제나 매주 첫 클리어에는 긴장하고 빡겜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협동전 장수의 비결이라고 봅니다. 돌변이 부담스러우시면 협동전 채널에서 도움을 구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자기보다 못하는 사람 캐리해주면서 가르치는데 보람을 느끼는 사람들도 제법 있습니다. 저도 어려운 돌변아어는 그런식으로 깼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