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3 13:17:32
Name 참교육
Subject [질문] 사회생활하려면 주량이 최소 어느정도 되야하나요?
지금까지는 혼자 프리랜서로 일받아서 집에서 하다보니

술은 친구들이랑 마실때나 마셔서 주량을 그닥 신경쓸

필요가 없었는데, 참이슬 기준 2병까진 버팁니다.

거기서 2잔 더들어가면 토하고 잠들구요.


근데 내년 초부터 기회가 닿아서 회사생활을 시작할거

같은데 그 회사 분위기가 좀 강압적인게 있더라구요

그러면 신입이 회식때 부장보다 먼저 취하면 안되고,

그렇다고 주는 술을 뺄수도 없을텐데


사회생활 하시는 피지알 형, 누님분들 보통

회식하거나 할때 끝까지 버티고 집에 들어갈 정도의

주량이면 어느정도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alvatron
17/10/13 13:18
수정 아이콘
그냥 일반수준 아닌가요? 걱정할 필요 없어보입니다.
17/10/13 13:19
수정 아이콘
잘마시는데요..

저 한병도 겨우 마시는데 술자리에서 아무 문제 없습니다.

회식자리에서 술 버티는건 주량보다 스킬이라..(소주 한잔 먹고 물 진탕 먹고 화장실 자주가기, 소주 몰래몰래 버리기 등..)
손나이쁜손나은
17/10/13 13:19
수정 아이콘
저도 그정도 먹는데.. 큰 무리는 없습니다..
물론 부서가 술을 강요하는 문화가 아니긴 합니다.
오이자왕
17/10/13 13:24
수정 아이콘
그런 자리를 어쩔 수 없이 갖게되고 주량은 정해져있다면 최대한 버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봐야 될 거 같아요.
회식 전 뭐든지 좀 먹어서 공복 아닌 상태로 시작하기 / 술 마실 때마다 물 많이 마시기 / 숙취해소제나 약취하는 약 먹기 등등...
17/10/13 13:25
수정 아이콘
반병먹어도 문제없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
17/10/13 13:25
수정 아이콘
저도 음주를 강요하는 회사는 다녀본 적이 없긴한데.. 주량이 소주 1잔인데 별 문제 없었어요.
그냥 사수분께 저 술 전혀 못하는데 어쩌죠?? 후덜덜.. 하니까 사수분이 알아서 막아주시더라고요.
제 주위를 기준으로 소주 2병이면 충분히 잘 드시는 축에 속합니다.
17/10/13 13:27
수정 아이콘
회식 자주 한다는 IT나 건설쪽 다녔던 친구들 이야기 들어봐도 평균 두당 2병 이상 가는 경우 거의 없다던데...
제 친구들은 글쓴 분 절반도 못 먹거든요. 2병이면 잘 드시는 편에 속하니 충분하지 않을까 싶네요.
네이버후드
17/10/13 13:27
수정 아이콘
안마셔도 요즘은 문제가 없죠
세종머앟괴꺼솟
17/10/13 13:31
수정 아이콘
2병 드시는 분이 무슨 걱정을..
17/10/13 13:36
수정 아이콘
소주 2병이면 충분할 겁니다. 다만 자만은 하지마세요. :)
콩탕망탕
17/10/13 13:48
수정 아이콘
소주 석잔 주량인 제가 보기에, 글쓰신분 주량인 소주2병은 보통 이상인듯 합니다. 최소 평균 수준..
본인의 한계를 알고, 그걸 넘겨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신다면 아무 문제 없을듯 합니다.
유정연꺼
17/10/13 13:59
수정 아이콘
전 원래 잘마시는 편인데
최대한 남들보다 덜 마시려고 합니다.
다 요령껏 하시면 돼요.
술 자리가 누구 마시나 안 마시나 관찰하는 자리가 아니니까요
17/10/13 13:59
수정 아이콘
2병이면.... 2차~3차는 거뜬 하지 않나요. 저 처럼 1차도 설설기어야 하는 사람이나 고민해야하는거죠 ㅠㅠ
17/10/13 14:06
수정 아이콘
주량이 적은것보다 자기 주량모르고 마시고 미쳐 날뛰는게 더 문제죠 뭐.
사악군
17/10/13 14:23
수정 아이콘
2병이면 잘드시는 겁니다. 잘드신다고 달리지 않으시면 충분. 남들 다 마실때 빼지말고 윗사람이 한잔 줄때 한잔만 받고 또 주려고 하면 튀고 이정도만 컨트롤 하시면 그 주량으로 충분하고도 남습니다. '나만 연속으로 먹는' 것만 회피하세요.
17/10/13 14:31
수정 아이콘
안마셔도 요즘은 문제 없습니다
17/10/13 14:33
수정 아이콘
사회인 평균 주량이 소주 2병이 안될텐데요. 술안먹는 사람 빼고 매겨도요
17/10/13 14:50
수정 아이콘
2병이면 잘 드시는 편입니다. 모임에서 2병 먹는 사람도 잘 없어요.
브라이언
17/10/13 16:02
수정 아이콘
한병 겨우 마시는 저도 사회생활 잘하고 있네요
17/10/13 16:02
수정 아이콘
2병이 주량이시라면 적당히 페이스 조절하면서 드시면 어지간히 술고래들만 모인 회사가 아니라면 끝까지 버팁니다.
좀 힘드시면 중반쯤 지나가서 사람들 조금씩 취한뒤에 눈치껏 안마시고 넘어가고 하시면 됩니당.
발적화
17/10/13 18:06
수정 아이콘
분위기 싸하게 하는 스타일만 아니면 아예 못마셔도 상관없습니다.
술 아예 못한다하고 남들 소주 마실때 소주잔에 사이다 마셔도 대부분 뭐라 안합니다.
강미나
17/10/13 20:05
수정 아이콘
요즘같은 세상에 꼰대라고 불릴 극보수적인 문화에서도 손해볼 주량은 아니고 문제는 회식 스낄이죠. 혼자 삘받아서 달리지만 않으면 됩니다.
낙일방
17/10/14 11:36
수정 아이콘
2병을 그날 끝까지 나눠마신다고 생각하고 주는것만 마신다면야..
주량은 1병이라고 하는게 나을거같네요
두병이라 그러면 그만큼 먹이니..
박현준
17/10/14 14:20
수정 아이콘
사회 생활 하려면 그래도 어느정도의 술은 마시는게 편하긴하죠. 맥주 2병이상 또는 소주 반병이상 드실 수 있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 없을거 같아요. 물론 케바케긴 합니다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446 [질문] LOL할때만 키보드가 0.2초 정도 반응이 느립니다ㅠㅠ [15] 스테비아3437 17/10/16 3437
110445 [질문] 조립컴퓨터 견적 윤허 부탁드립니다. [4] 물탱크2874 17/10/16 2874
110444 [질문] 유아용 카시트 추천부탁드립니다. [7] 아스날3919 17/10/16 3919
110443 [질문] 내일 고등학교 1,2학년은 학교 안가나요? [6] 일면식3042 17/10/16 3042
110442 [질문] 지동차 문이 안열립니다. [8] 휴울2532 17/10/16 2532
110441 [질문] 관세 신고 납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4] 귀여운호랑이2091 17/10/16 2091
110440 [질문] [스타2] SSL 패스트레인 안하나요? [2] WeakandPowerless1776 17/10/16 1776
110439 [질문] 스플랜더 잘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5] 로맨스가필요해5368 17/10/16 5368
110438 [질문] (소전) 2제대? 3제대? 뭘키워야될지모르겠습니다. [18] 천우희2140 17/10/16 2140
110437 [질문] 아파트 세탁기.청소기 매너 시간대? [10] 나른한오후6275 17/10/16 6275
110436 [질문] [하스스톤] 하이랜더 사제를 이기는 법 좀 알려주세요 ㅠ ㅠ ㅠ [12] 라카제트2754 17/10/16 2754
110435 [질문] 피지 제거기 제품 써보신 분 계신가요? [2] 1perlson2406 17/10/16 2406
110434 [질문] 선택약정 중에 번호이동 문의 [3] 1q2w3e4r!2086 17/10/16 2086
110433 [질문] 퇴직금을 못 받고 있어서 신고하려고 합니다. [11] 소와소나무2259 17/10/16 2259
110432 [질문] 다른 법인 차량 운전시 보험 가능한 방법이 있을까요? [5] euimseed1570 17/10/16 1570
110431 [질문] 방콕 (숙소) 추천부탁드립니다~ [8] Grundia2325 17/10/16 2325
110430 [질문] [소녀전선] 돌릴 제조식 추천 부탁드립니다 [5] cluefake1519 17/10/16 1519
110429 [질문] 안구 근육과 집중력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나요? [6] 0012538 17/10/16 2538
110428 [질문] 오사카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2] RaymondCattell1847 17/10/16 1847
110427 [질문] 게시판 글 검색 문의 입니다. 쵸컬릿모카1456 17/10/16 1456
110426 [질문] 그래픽 카드 문의입니다. [9] 세체미2689 17/10/16 2689
110425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및 모니터 구매 질문입니다. [4] 에너지2134 17/10/16 2134
110424 [질문] 사회인 야구 초보자용 배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6] 호로리7100 17/10/16 71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