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08 23:36:03
Name 재입대
Subject [질문] 피자vs치킨 및 당과 칼로리? 의 상관관계 궁금증..
예전에 파오후에서 탈출 한 후로 외식이나 시켜먹는 음식을 멀리하고 있는데요 1,2주에 한번쯤 피자나 치킨시켜서 2,3명이서 먹고는 했습니다..

보통 치킨을 먹옸고 네네나 bhc에서 순살 메뉴로 후라이드 제외한 뿌링클이나 스노윙 치즈 같은거 먹고 그랬는데 왠지 잘 알아보지는 않고

그래도 치킨은 고기라도 들어가니까 피자보단 낫겠지 하는 마음에..물론 안먹는게 낫겟지만요 크크크

근데 얼마전에 동생이 파자를 사들고 와서 몇조각 먹다가 뒤에 성분표가 있길래 봤는데 칼로리 / 당 이 엄청 낮더라고요

프랜차이즈가 피자스쿨이었는데 만천원짜리였나...사이즈는 평범한 라지 사이즈였던 것 같은데 8조각 중 3조각에 600칼로리 정도에 당이 8 그람?

고구마 피자는 15그람 정도로 높긴 했는데 고구마 피자 먹는 사람도 별로 없을테고 해서 생각보다 혜자 같더라고요.

치킨도 궁금해져서 찾아봤습니다. 평소에 고기니까 그나마 괜찮겠지 했는데 칼로리 엄청 나더라고요 당 함류량은 나온 곳이 없어서 알 수가 없었

고 나트륨이야 범벅인거 이미 다 알고 먹으니 익스큐즈 한데 뭐 한마리에 2천 칼로리씩 하더군요 크크;;


그래서 든 생각이 몸생각하면 안먹는게 낫겟지만 피자 치킨 택 1이라면 피자가 나은건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들

알고 싶습니다.


또 하나 영양쪽은 알못이라 진짜 잘 모르겠는데 칼로리보다 당이 안좋다는 거랑 음료수는 죄악이라는걸 인터넷 등에서 하도 많이 봐서

요즘엔 칼로리는 안보고 당함유량만 보고 있는데요 보통 음료수가 10몇그람에서 콜라같은건 캔당 막 40몇그람씩 들어가 있던데 칼로리는

생각보다 많이 낮더라고요.  제가 봣던 피자 성분표 보니 당이 8그람에 칼로리가 600그람정도 되던데 아까 운동 끝나고 먹다 버린

초코우유가 당함유량 32그람인가에 칼로리가 240정도였나...당이 몸에 안좋다고 하는데 칼로리에는 안잡히고 대체 어떤 영향을 주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동안 질게 눈팅 결과로는 그런거 생각하지말고 먹어라 맛있게 먹으면 0 칼로리 일반인은 그냥 먹으세요 이런 답글 달릴 것 같긴 하지만

궁금한건 풀어야죠!


ps 초코우유는 전에 기사에서 봣는데 운동 끝나고 단백질 보충에 좋다길래 먹고는 있습니다..다만 사이즈가 커서 먹다가 버렸습니다.

    당함유량이 크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08 23:38
수정 아이콘
영양학쪽은 아직도 의견이 분분한거 같긴한데, 대체로 통일된 의견은 튀긴 건 몸에 안좋다는 거죠.
탄수화물도 채소 종류는 상관없고(너무 당연한가요?) 녹말이나 과당이 위험한 걸로...
재입대
17/06/08 23:40
수정 아이콘
아 튀겨서 안좋은 거군요...생각이 짧았네요 그냥 고기에 초점을 맞춰서 그런가
17/06/08 23:44
수정 아이콘
그리고 칼로리가 무조건 200칼로리가 100칼로리보다 2배 더 찐다 이런식으로 정비례하지 않는다는 얘기지 당만 없으면 칼로리 높아도 괜찮고 당이 많으면 칼로리 낮아도 나쁘고 이런 건 아닐 겁니다.
재입대
17/06/08 23:47
수정 아이콘
어렵네요;; 공부를 좀 할걸 ㅠㅠ 암튼 이해는 안가도 주입식으로라도 알아둬야겠습니다..
덴드로븀
17/06/08 23:47
수정 아이콘
치킨 피자는 탄수화물+기름+나트륨+당분(토핑이나 양념에 따라)의 콜라보가 기가막히죠.
재입대
17/06/08 23:49
수정 아이콘
피자 땡길 때 마다 이 댓글을 봐야겠습니다.
17/06/08 23:49
수정 아이콘
당이 안좋은 이유는 소화 흡수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특히 많은 양의 당이 순간적으로 들어오는 경우 전부 빠르게 소화 흡수됩니다.
그리고 나서 사용하고 남은 당을 모두 지방으로 저장하기 위해 인슐린을 분비하게 되는데요, 이 때 당이 순간적으로 떨어지면서 오히려 배가 고파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당을 먹으면 점점 더 배가 고파지면서 당을 찾게 됩니다.
그리고 몸에 들어온 당은 또 순식간에 소화 흡수된 후에 인슐린에 의해 지방으로 변환되구요.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계속 살이 불어나게 됩니다.

한마디로 당이 안좋은건 아무리 많이 먹어도 포만감을 느끼기 힘든 것에 있습니다.
차라리 같은 당(탄수화물)이라도 소화가 힘든 고구마나 현미는 괜찮습니다.
재입대
17/06/08 23:57
수정 아이콘
그럼 딱 정해서 그만큼만 먹고 끊으면 별 문제는 없는건가요? 요즘엔 음료수마다 성분표 자세히 다 나와서 먹어도 배가 고파지기는 커녕 내가 설탕을 이만큼이나 처먹었구나 하는 불안감만 엄습하면서 평소에 먹던 밥도 덜어서 먹게 되던데..
진짜 무지해서 그런데 예를 들어 평소 안먹던 탄산음료 같은걸 먹어서 밥을 좀 줄이면 그 당을 탄수화물 처럼 가져다가 쓰거나 하는게 아니라 그냥 몸에 쌓여서 지방으로가는건지..
평소에 음료수도 잘 안먹는 편인데 거절 할 수 없는 음료수 사줌 이런거 당하면 먹고 밥 줄이거나 이런식으로 하는데 이렇게 되면 웨이트 같은 운동 할때 힘을 좀 더 쓰기 힘들게 되는건가요?
17/06/09 07:08
수정 아이콘
자기가 조절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당을 계속 섭취하면 어쨌건 에너지원으로 쓰고 남은 당을 다 인슐린을 이용해 지방으로 변환시키는데, 이런 상태가 계속되다보면 몸이 인슐린의 양을 못 맞추고 과다 분비해서 인슐린에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올 수 있습니다.
이러면 2형 당뇨로 가는 것이구요.
17/06/08 23:52
수정 아이콘
굽네를 드시면 해결됩니당
17/06/08 23:59
수정 아이콘
과학적 근거는 하나도 없지만, 이상하게 치킨보다는 피자를 먹는게 더 살찌는 느낌입니다(?) 왜그런진 며느리도 몰라요 크크
재입대
17/06/09 00:13
수정 아이콘
저도 피자가 더 맛있어서 그럴 줄 알았는데 성분표 보고 상당히 놀라서 크크
한글날
17/06/09 00:22
수정 아이콘
Emumu님 말대로 구운치킨을 드시면 됩니당
재입대
17/06/09 00:33
수정 아이콘
아 안튀기고 구운건가요? 이게 답인가...
덴드로븀
17/06/09 01:01
수정 아이콘
콜라안먹을수있습니콰아아아아!!!!
딸려온 소스 안찍어먹을수있습니콰아아아아!!!!
1년내내 굽네치킨만 먹을수있습니콰아아아아!!!!
재입대
17/06/09 07:05
수정 아이콘
맛있게 먹고 0칼로리 시전해야겟네요 큿 ㅠㅠ
17/06/09 02:36
수정 아이콘
일단 튀긴건 대부분 칼로리가 높더군요. 기름기가 다 지방이니 칼로리가 높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영양소가 뭐가 됐건 골고루 적정 칼로리만 드시면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무무무무무무
17/06/09 07:02
수정 아이콘
역시 다이어트의 양대산맥 제로콜라와 구운치킨....
하루 1굽네 + 제로콜라 하면 1일 섭취 칼로리는 1천 미만입니다 으하하하 거기다 당 섭취도 적고요
매직세븐
17/06/09 09:54
수정 아이콘
치킨은 살 안쪄요.
살은 내가 쪄요.
17/06/09 10:53
수정 아이콘
본문에서 말씀하시는 당이란게 설탕류를 말하는 걸텐데 정제 탄수화물도 똑같다고 봐야죠.

피자는 피자스쿨 같은거는 조그만해서 그럴거고 좀 큰 피자는 한조각에 400칼로리 넘고 토핑따라서도 다르죠. 치킨이야 기름도 나쁘지만 겉에 튀김옷이 결국 밀가루고 같이 먹는 치킨무도 설탕범벅입니다. 특히 양념치킨은 칼로리 어마어마 할걸요.

탄수화물을 적게 먹으려 한다는게 목적이면 피자보다는 치킨이 좀 더 나은건 맞아요. 다만 튀김옷+설탕양념 범벅인 치킨에 치킨무, 콜라 듬뿍 먹으면 결국 별 의미가 없어지는거죠. 피자가 빵베이스에 튀긴건 아니라서 칼로리 비교하면 치킨보단 낫겠죠. 그런데 그나마 제일 나은건 기름에 안튀기고 튀김옷없는 치킨류겠죠.

음료수야 맹물에 설탕만 탄거니까 생각보다 칼로리는 낮죠..음료수는 어차피 주식이 아니라 곁들여 먹는거자나요. 그렇게 생각하면 높은거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901 [질문] lg 벽걸이 tv 설치 관련(셋톱박스등 처리) [5] 숯이2794 17/06/09 2794
103900 [질문] 다이어트 효과 있을까요? [14] 싸구려신사2707 17/06/09 2707
103899 [질문] 비누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1669 17/06/09 1669
103897 [질문] 외국인과 촌놈의 서울 여행 [4] 라뱅느님2756 17/06/09 2756
103896 [질문] 여름 휴가에 비행기표+호텔로만 180 쓰면 많이 쓰는건가여 [15] 비둘기야 먹자3935 17/06/09 3935
103895 [질문] 잭 그레인키의 이 공이 뭔가요? [17] V.serum4624 17/06/09 4624
103894 [질문] 알콜성치매 전조증상인가요? [8] 아스날4719 17/06/09 4719
103893 [질문] 페리클레스, 독재자인가요 아닌가요? [9] Samothrace2888 17/06/09 2888
103892 [질문] 피자vs치킨 및 당과 칼로리? 의 상관관계 궁금증.. [20] 재입대11262 17/06/08 11262
103891 [질문] 개인회생 잘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6] 이블린3761 17/06/08 3761
103890 [질문] (연애?)카톡확인 잘안하는사람? [17] 너부리18729 17/06/08 18729
103889 [질문] 썰전 유튜브에서 안해주나요?? [2] 오즈s2991 17/06/08 2991
103888 [질문] (상담) 썸녀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44] RickBarry8118 17/06/08 8118
103887 [질문] 두뇌능력을 계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6] nexon2890 17/06/08 2890
103884 [질문] 트위치 유튜브 전체화면 시 프레임 드랍 건. 아재4914 17/06/08 4914
103883 [질문] XX 페이 시리즈중 뭐가 제일 쓸만할까요 [11] 톰슨가젤연탄구이3868 17/06/08 3868
103882 [질문]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없는 태블릿은 어떤 게 있나요? [3] wook982412 17/06/08 2412
103881 [질문] 숨쉴때 머리가 찌릿합니다 [3] 토요일에만나요3003 17/06/08 3003
103880 [질문] 게임 업계에 취업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9] 뀨뀨3545 17/06/08 3545
103879 [질문] [고]노무현 전 대통령 영상보다가 몇가지 궁금한점있어서 질문올립니다. [4] 피날레2670 17/06/08 2670
103878 [질문] 극장판 애니라고 하나요?볼만한거 없을까요? [12] 레너블3822 17/06/08 3822
103877 [질문] 방콕가는데 파타야를 갈지말지 너무 고민됩니다. [15] 짱짱걸제시카3355 17/06/08 3355
103876 [질문] 흔들리는 살은 전부 지방인가요? [9] 삭제됨3170 17/06/08 31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