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08 20:12
합격은 예선 살아남는게 본선...
어딜가나 통용됩니다. 적어도 본인이 남들보다 뛰어나다는 생각이 모두가 느낄때도 동일한게 아니라면 어느곳이든 지옥입니다. 옷 편하게 입고 자유도가 조금 있지만 지갑은 자유롭지 않은 회사가 될수 있죠. 물론 최상위권 회사로 가신다면 괜찮을텐데 여기나 저기나 신입은 잘 안뽑으려고 하니...
17/06/08 20:15
띠용... 조직문화가 별로 좋다고는 들어볼래야 들어본적이 없긴 한데요. (겪어보신 조직문화보다 나빴으면 나빴지 좋다고는 못할겁니다)
연봉도 3천+면... 상당히 기준이 높으신걸겁니다. 마케팅이나 경영지원은 제가 잘 모르겠지만 기획쪽으로 일단 가장 빠른 방법은 게임아카데미 수료해서 포폴만들어 넣는겁니다. 대부분 게임회사 인력이 각종 게임아카데미쪽에서 수급되니까요.
17/06/08 20:20
"조직 문화가 좋은 게임 업계" -> 개발쪽이 아닌 마케팅, 사업부쪽에서 조직 문화가 좋은 경우를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제가 개발직이긴 하고 다른 업종쪽을 많이 겪어본 것은 아닌지라 속단하기는 어렵긴 하지만 친구들이나 다른 경로로 접해 본 것으로는 군대식 문화는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평균적으로는 조금 더 나을지는 모르겠지만 기대는 안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게임쪽 마케팅 관련은 국내 마케팅이라도 영어는 필수 이고, 사실 해외 마케팅에 비해 국내 마케팅 TO자체가 그리 많지 않습니다.
17/06/08 20:27
'연봉을 떠나 조직 문화가 좋은 게임 업계에'라니요..
제 입사 동기인 친구가 대기업 때려치우고 게임회사 들어갔었는데... 아무 이유없이 10~12시 야근을 밥먹듯이 하다가 퇴사했습니다. 회사마다 물론 다르겠지만 조직문화가 좋다고 나올 업계는 아닐거같습니다.
17/06/08 20:41
어딜가나 다 비슷해요 하하 그래도 음... 군대식 기업문화의 기준이 흔히 빡빡하다고 알려진 모 대기업이라고 한다면, 제 주변은 그보단 나은 사람들이 많긴 하더군요.
17/06/08 21:43
파워포인트 최상급 실력이시라면, 프레젠테이션(PPT 제작, 스피치 등) 전문 프리랜서 강사도 활동하셔도 충분히 경쟁력 있으실 것 같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수요가 요새 상당하거든요. 물론 무자본으로, 맨땅에 헤딩하는 것은 안 되고 직장생활 병행하면서 저녁 시간 이후나, 주말에 교육 프로그램 짜고 공개강연 모집해보고 하면서 소소히 시작하는 것이 더 나을 겁니다. PPT 제작 노하우를 살려 책을 집필하거나, 블로그에 장기 연재하면서 전문성을 어필하면 최소 훌륭한 부업에서 당당한 전업으로 가져가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은 많이 젊으시기에 드려보는 이야기입니다.^^
17/06/08 23:18
신입을 3천주고 쓸만한 회사는 없을것 같습니다..
운영,QA 진입장벽 낮은 부서도 신입연봉은 잘 받아야 2천 중후반 정도 일것 같네요..
17/06/09 00:51
내용만 봐서는 3천 이상 받을 확률이 거의 없을거 같은데요.
N사들은 전부 신입이라도 3천이상 주긴 합니다만, 그건 '업계에서 원하는 신입' 일때의 이야기라서. 말씀하신 경력은 게임회사에서 전혀 필요 없습니다. 게임회사에서 원하는건 '해외 마케터 or 글로벌 마케터' 지.. '국내 마케터'는 아니거든요. 국내 마케터라면 보통 라코, 블코 같은 지사에서나 국내 마케터를 원하는데.. 그런회사에서 원하는 국내 마케터는 또 다른 개념이라..
17/06/09 01:00
사업부 체질로 보면 나쁘지 않네요.
사업팀으로 진로 정하시는거 추천드리지만 게임개발직군이던 비개발 직군이던.. 답이 없습니다. 공채신입 아닌이상 아니 상위권 3개 업체 아닌이상 신입에게 3천이상 잘 안주고요. 기업문화는 그저 그냥 다 헬입니다. 괜히 포괄임금제부터 야근초과근무로 게임업계가 두들겨맞고 있는게 아니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