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08 20:07:24
Name 뀨뀨
Subject [질문] 게임 업계에 취업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현재 중견기업(페인트 업)에서 10개월 된 29세 남자 신입입니다. 직무는 국내영업이구요.
대강 하는 일이라 하면, 오프라인 대형 마트 위주로

채권관리
물류관리
재고관리
상품개발(요즘은 페인트만 가지고 못먹고 살아요. . .크크)
상품소싱
판매되는 자사 상품 관리, 상품 마케팅(이라 쓰고 할인 행사라고 읽는다)
거래처 관리 및 조율
미팅 및 제안서 제출
까대기. . .

등을 하고 있습니다.

Oracle ERP와 아웃룩, 엑셀을 활용하고 있고요. 이제 실력은 모두 실무 중급은 된다고 생각하네요.
파워포인트는 최상급이라고 감히 자부해봅니다.-_-);

다름 아니라, 1년을 채우고 퇴직금과 함께 이직을 고려 중인데요.
사유는 팀에 비전이 없음(오리지날리티 결여)+군대보다 더 빡센 군대식 문화+미친듯한 실적 압박 때문입니다.

비슷한 온라인 MD쪽으로 이력서도 두개 정도 써봤으나 떨어졌어요.ㅠㅠ

차라리 눈을 돌려, 연봉을 떠나 조직 문화가 좋은 게임 업계에 중고 신입으로 도전하고 싶은데요.
국내영업이라는 현재 직무적 특성 때문에 이를 살릴 길이 별로 없어보여 고민입니다.

게임을 좋아하고 즐겨하지만, 막상 LOL 말고 딱히 미친듯이 하는 게임도 없고요. . . 모바일 게임도 안하니깐요. . .

게임업계에 29세 신입으로 게임쪽 무경력으로 합격하기는 어려운건가요? ?

지원하려는 곳은 마케팅이나 경영지원, 기획 쪽이며 기업 문화가 좋은 게임회사라면 어디든지 지원해볼 예정입니다.(연봉 3천 이상이면 상관 x)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08 20:12
수정 아이콘
합격은 예선 살아남는게 본선...

어딜가나 통용됩니다. 적어도 본인이 남들보다 뛰어나다는 생각이 모두가 느낄때도 동일한게 아니라면 어느곳이든 지옥입니다.

옷 편하게 입고 자유도가 조금 있지만 지갑은 자유롭지 않은 회사가 될수 있죠. 물론 최상위권 회사로 가신다면 괜찮을텐데 여기나 저기나 신입은 잘 안뽑으려고 하니...
17/06/08 20:15
수정 아이콘
띠용... 조직문화가 별로 좋다고는 들어볼래야 들어본적이 없긴 한데요. (겪어보신 조직문화보다 나빴으면 나빴지 좋다고는 못할겁니다)
연봉도 3천+면... 상당히 기준이 높으신걸겁니다.

마케팅이나 경영지원은 제가 잘 모르겠지만 기획쪽으로 일단 가장 빠른 방법은 게임아카데미 수료해서 포폴만들어 넣는겁니다.
대부분 게임회사 인력이 각종 게임아카데미쪽에서 수급되니까요.
NULLPointer
17/06/08 20:20
수정 아이콘
"조직 문화가 좋은 게임 업계" -> 개발쪽이 아닌 마케팅, 사업부쪽에서 조직 문화가 좋은 경우를 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제가 개발직이긴 하고 다른 업종쪽을 많이 겪어본 것은 아닌지라 속단하기는 어렵긴 하지만 친구들이나 다른 경로로 접해 본 것으로는 군대식 문화는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평균적으로는 조금 더 나을지는 모르겠지만 기대는 안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게임쪽 마케팅 관련은 국내 마케팅이라도 영어는 필수 이고, 사실 해외 마케팅에 비해 국내 마케팅 TO자체가 그리 많지 않습니다.
17/06/08 20:27
수정 아이콘
'연봉을 떠나 조직 문화가 좋은 게임 업계에'라니요..
제 입사 동기인 친구가 대기업 때려치우고 게임회사 들어갔었는데... 아무 이유없이 10~12시 야근을 밥먹듯이 하다가 퇴사했습니다.
회사마다 물론 다르겠지만 조직문화가 좋다고 나올 업계는 아닐거같습니다.
방민아
17/06/08 20:41
수정 아이콘
어딜가나 다 비슷해요 하하 그래도 음... 군대식 기업문화의 기준이 흔히 빡빡하다고 알려진 모 대기업이라고 한다면, 제 주변은 그보단 나은 사람들이 많긴 하더군요.
윌모어
17/06/08 21:43
수정 아이콘
파워포인트 최상급 실력이시라면, 프레젠테이션(PPT 제작, 스피치 등) 전문 프리랜서 강사도 활동하셔도 충분히 경쟁력 있으실 것 같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수요가 요새 상당하거든요. 물론 무자본으로, 맨땅에 헤딩하는 것은 안 되고 직장생활 병행하면서 저녁 시간 이후나, 주말에 교육 프로그램 짜고 공개강연 모집해보고 하면서 소소히 시작하는 것이 더 나을 겁니다. PPT 제작 노하우를 살려 책을 집필하거나, 블로그에 장기 연재하면서 전문성을 어필하면 최소 훌륭한 부업에서 당당한 전업으로 가져가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은 많이 젊으시기에 드려보는 이야기입니다.^^
마른남자
17/06/08 23:18
수정 아이콘
신입을 3천주고 쓸만한 회사는 없을것 같습니다..
운영,QA 진입장벽 낮은 부서도 신입연봉은 잘 받아야 2천 중후반 정도 일것 같네요..
17/06/09 00:51
수정 아이콘
내용만 봐서는 3천 이상 받을 확률이 거의 없을거 같은데요.

N사들은 전부 신입이라도 3천이상 주긴 합니다만, 그건 '업계에서 원하는 신입' 일때의 이야기라서.


말씀하신 경력은 게임회사에서 전혀 필요 없습니다.
게임회사에서 원하는건 '해외 마케터 or 글로벌 마케터' 지..
'국내 마케터'는 아니거든요.

국내 마케터라면 보통 라코, 블코 같은 지사에서나 국내 마케터를 원하는데.. 그런회사에서 원하는 국내 마케터는 또 다른 개념이라..
이쥴레이
17/06/09 01:00
수정 아이콘
사업부 체질로 보면 나쁘지 않네요.
사업팀으로 진로 정하시는거 추천드리지만
게임개발직군이던 비개발 직군이던..

답이 없습니다.

공채신입 아닌이상
아니 상위권 3개 업체 아닌이상 신입에게 3천이상
잘 안주고요.

기업문화는 그저 그냥 다 헬입니다.
괜히 포괄임금제부터 야근초과근무로 게임업계가 두들겨맞고 있는게 아니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901 [질문] lg 벽걸이 tv 설치 관련(셋톱박스등 처리) [5] 숯이2794 17/06/09 2794
103900 [질문] 다이어트 효과 있을까요? [14] 싸구려신사2707 17/06/09 2707
103899 [질문] 비누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1669 17/06/09 1669
103897 [질문] 외국인과 촌놈의 서울 여행 [4] 라뱅느님2756 17/06/09 2756
103896 [질문] 여름 휴가에 비행기표+호텔로만 180 쓰면 많이 쓰는건가여 [15] 비둘기야 먹자3935 17/06/09 3935
103895 [질문] 잭 그레인키의 이 공이 뭔가요? [17] V.serum4624 17/06/09 4624
103894 [질문] 알콜성치매 전조증상인가요? [8] 아스날4719 17/06/09 4719
103893 [질문] 페리클레스, 독재자인가요 아닌가요? [9] Samothrace2888 17/06/09 2888
103892 [질문] 피자vs치킨 및 당과 칼로리? 의 상관관계 궁금증.. [20] 재입대11262 17/06/08 11262
103891 [질문] 개인회생 잘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6] 이블린3761 17/06/08 3761
103890 [질문] (연애?)카톡확인 잘안하는사람? [17] 너부리18729 17/06/08 18729
103889 [질문] 썰전 유튜브에서 안해주나요?? [2] 오즈s2991 17/06/08 2991
103888 [질문] (상담) 썸녀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44] RickBarry8118 17/06/08 8118
103887 [질문] 두뇌능력을 계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6] nexon2890 17/06/08 2890
103884 [질문] 트위치 유튜브 전체화면 시 프레임 드랍 건. 아재4914 17/06/08 4914
103883 [질문] XX 페이 시리즈중 뭐가 제일 쓸만할까요 [11] 톰슨가젤연탄구이3868 17/06/08 3868
103882 [질문]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없는 태블릿은 어떤 게 있나요? [3] wook982412 17/06/08 2412
103881 [질문] 숨쉴때 머리가 찌릿합니다 [3] 토요일에만나요3003 17/06/08 3003
103880 [질문] 게임 업계에 취업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9] 뀨뀨3546 17/06/08 3546
103879 [질문] [고]노무현 전 대통령 영상보다가 몇가지 궁금한점있어서 질문올립니다. [4] 피날레2670 17/06/08 2670
103878 [질문] 극장판 애니라고 하나요?볼만한거 없을까요? [12] 레너블3822 17/06/08 3822
103877 [질문] 방콕가는데 파타야를 갈지말지 너무 고민됩니다. [15] 짱짱걸제시카3355 17/06/08 3355
103876 [질문] 흔들리는 살은 전부 지방인가요? [9] 삭제됨3170 17/06/08 31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