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16 15:31:19
Name Carrusel
Subject [질문] 가상화폐 투자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랜섬웨어 사건(비트코인 입금)도 있고해서 가상화폐에 대해 관심이 생겼는데요.
막상 투자하려고 하니 좀 불안한게 많네요. 해서 관련한 몇 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1. 문과라 이쪽을 정말 모르는데요. 이게 블록체인 방식이던데 이러면 제 컴퓨터 하드가 랜섬웨어 등으로 날라가면 코인도 같이 잃는건가요?
   관련해서 검색하는데 비트코인(약 60억원 어치)이 든 하드를 날린 사람 이야기가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운용에 따른 리스크는 문제 삼지 않는데 그 외적인 리스크에는 굉장히 민감한 편입니다.

2. 검색해보니 비트코인이든 이더리움이든 중개사 해킹에 대한 이슈가 있는데요,
   여러 중개사들 중에 비트코인/이더리움을 투자하기에 좋은 곳(보안/수수료 등)을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제가 네이버로 투자 방법을 검색해보니 중개사나 이더트레이드 같은 광고가 껴있어서 좀 신뢰가 안가는데
   간단하게 중개사 선택 -> 계좌개설 -> 송금, 이 정도로만 생각하면 되나요?
   그리고 계좌 개설할때 걸리는 시간이나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4. 마지막으로 관련 정보 공유할 괜찮은 사이트가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사실 제가 검색하고 알아보면 되는건데 하도 광고가 많아서 부득이하게 질문을 올리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총앤뀨
17/05/16 16:00
수정 아이콘
1. 네 그렇습니다. 날아갑니다.

2. 국내라면 코인원을 추천합니다. 서버는 불안할지라도 멀티시그등을 통해서 안전성이 3대 거래소 중에서 제일 괜찮다는 평가입니다

3. 거래소 선택 --> 가상거래 계좌 개설 --> 가상계좌로 원화 입금 --> 거래소에서의 거래 입니다
계좌가 개설되는 시간은 오래 안걸립니다. 다만 입출금을 하는데 있어서 제한시간이 있습니다.

4. Steemit.com에서 검색하시거나 트위터를 찾아보시는게 그나마 빠릅니다.
Carrusel
17/05/16 16:24
수정 아이콘
1번 때문에 좀 걱정이 되네요. 투자하려면 노트북이라도 하나 사든지 해야겠어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총앤뀨
17/05/16 16:42
수정 아이콘
하드웨어 지갑 쓰시면됩니다
Carrusel
17/05/16 17:20
수정 아이콘
아랫분 설명보니까 개인키만 하드웨어지갑에 보관하면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17/05/16 16:48
수정 아이콘
1. 안 날아갑니다... 블록체인 분산원장이라는 건 전 세계 모든 노드가 동일한 장부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에요. 내 지갑의 개인키를 하드디스크에 보관하다가 날아갔다면 그 지갑에 접근할 수 없는 것이지 그 지갑에 있는 비트코인은 영원히 존재합니다. 찾을 길이 없는 게 문제지... 그래서 개인키는 따로 USB에 보관하지요. 하여튼 못 꺼내 쓰는 것 아니냐 하시면 할 말은 없지만 날아간다고 하면 블록체인 개념에는 틀린 설명입니다.

비트코인(60억 원 어치)이 든 하드를 날린 게 아니고 60억 원이 들어 있는 비트코인 지갑의 개인키를 보관하던 하드가 날아간 겁니다. 비트코인은 하드디스크에 들어 있는 게 아니라 블록체인상에 있는 겁니다.

2. 국내 3대 거래소 중 빗썸을 제외한 코인원과 코빗을 추천합니다.
3. 국내 3대 거래소는 가입하고 원화 입금은 자유로우나 암호화폐 첫 출금 시 96시간 유예가 있습니다. 그래서 미리 가입하고 원화를 예치해 놓고 첫 출금을 해 놓으면 편합니다.
4. 국내에는 http://www.chaintalk.io/이 있습니다.
Carrusel
17/05/16 17:26
수정 아이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주식이나 선물 등과 달리 어쨋든 개인이 보관을 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조금 있네요.
그리고 3번 출금 유예기간이라는게 제가 돈을 입금하고 이더리움을 살 수 있게 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말씀인가요
아니면 일단 송금 뒤에 일부라도 다시 withdraw 해 놓는 것이 좋다는 말씀인가요? 조금 혼동이 오네요.
17/05/16 17:54
수정 아이콘
설명이 조금 부족했네요. (암호화폐) 첫 출금을 해 놓으면 왜 편한지를 설명 안 했습니다.
'암호화폐 첫 출금 시 96시간 유예'입니다. 원화를 입금하고 암호화폐를 구입하는 건 가입 즉시 가능한데 암호화폐를 다른 곳으로 withdrawal
하려면 가입 후 96시간 뒤에 간단한 인증 절차를 거칩니다. 그렇게 한 번 암호화폐 출금을 하면 그 이후에는 암호화폐 출금이 자유로워집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3대 거래소에 전부 가입하고 전부 소액을 입금해서 암호화폐를 구매했고 96시간 후에 각자 다른 거래소로 암호화폐를 송금했습니다. 인증 거치고요. 이제는 어느 거래소든지 자유롭게 암호화폐 입출금이 가능합니다.

96시간과 어느 절차가 있다는 세부 내용은 변경이 있을 수도 있는데 중요한 건 가입 즉시 암호화폐 출금은 안 되니 거래소별 절차를 확인해 보시고 미리 마무리해 놓으시라는 뜻입니다.
시작,끝,다시시작
17/05/16 18:18
수정 아이콘
전 코빗 빗썸에서만 해봤고 코빗을 주로 하는데 보안문제인가요??
3개중에 평이 안좋더라구요.코빗은 수수료가 세서;;
보안이 별로면 다른곳으로 옮기는것도 생각해봐야겠네요.
17/05/16 18:31
수정 아이콘
저는 코빗하고 코인원을 추천했는데요... 코빗에서 계속 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시작,끝,다시시작
17/05/16 18:39
수정 아이콘
아 둘을 헷갈리게 썼네요..
코빗은 발만담가봤고 코인은 빗썸에 있습니다. 코빗은 수수료가 센거같아서 빗썸으로 왔는데 보안문제가 조금씩 들리는거 같네요
17/05/16 21:12
수정 아이콘
빗썸은 암호화폐 입금 반영이 늦어서 이용자들이 제때 거래를 못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러면 폴로닉스를 비롯한 타 거래소들 가격에 연동되지 못하고 빗썸만 유리되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그런데 그런 사태가 참 공교롭게도 폭등하거나 폭락하는 시점에 벌어지더라고요.
이더리움 일봉 차트로 3월 17일을 보시면 빗썸 최고가가 타 거래소 대비 2만 원 이상 높았습니다. 당연히 타 거래소에서 빗썸으로 이더리움을 옮겨서 팔려는 재정거래자들이 많이 생기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그날 이더리움 입금이 500컨펌을 넘어서 거의 자정이 넘은 후에야 반영됐어요. 그날 종가는 최고가 대비 30% 가량 하락해 있었고 타 거래소에서 빗썸으로 이더리움을 옮기던 사람들은 입금 반영만 기다리다가 팔지도 못하고 고스란히 손해를 입었죠. 그런 일명 3/17 사태도 있고 그래서 저는 빗썸을 별로 신뢰하지 않습니다. 그날 피해에 대해서 복구해 주었다는 얘기도 듣지 못했고요.
피해보상이 있었거나 그날 사태에 대해서 제가 알고 있는 사실관계가 틀렸다면 저에게 말씀해 주세요. 댓글 수정하겠습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Carrusel
17/05/16 18:42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출금유예가 있다는게 다른 것에 비해서 번거롭긴 하지만 그래도 어쩔수 없죠. 흐흐.
17/05/16 20:55
수정 아이콘
넵~ 참고로 출금유예는 보이스피싱이나 랜섬웨어 등에 암호화폐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생긴 절차입니다.
Carrusel
17/05/16 20:56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여러가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686 [질문] 동유럽 포켓와이파이 [2] FreeRider3853 17/05/16 3853
102685 [질문] 단독주택에 에어컨 설치를 하고 싶습니다. [4] 유포늄3404 17/05/16 3404
102684 [질문] 가상화폐 투자관련 질문입니다. [14] Carrusel4584 17/05/16 4584
102683 [질문] 교토 혼행합니다. 혼밥하기 좋은 식당 추천 부탁드려요. [2] 냉면과열무3104 17/05/16 3104
102682 [질문] 음식배달비 2천원을 냈는데 뭔가 이상해요. [20] 헬로비너스나라6624 17/05/16 6624
102681 [질문] 인공지능 관련 게시글을 찾습니다 [5] 2016LGTwins2249 17/05/16 2249
102680 [질문] [WOW] 짜증나거나 어려웠던 퀘스트 기억하시나요 [51] 분당선7743 17/05/16 7743
102679 [질문] 사업을 하고 싶은데 너무 막연해서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6] 목감기2978 17/05/16 2978
102678 [질문] 쥐가 잘 나는 건 유연성이 부족해서인가요? [11] Volume3529 17/05/16 3529
102677 [질문] 이 마스크로는 미세먼지 필터가 불가능한가요? [8] The Normal One2238 17/05/16 2238
102676 [질문] 부모님 결혼기념일 선물(호텔류) [4] roastedbaby2302 17/05/16 2302
102675 [질문] 청바지 관련 ( 접어입기 + 통큰 청바지 ..) [5] 1llionaire3935 17/05/16 3935
102674 [질문] 원키고스트 질문 [1] 무기고2214 17/05/16 2214
102673 [질문] 윈도우 10 처음사용자용 구입은 어디서 하는 게 가장 저렴한가요? [8] 파츠4341 17/05/16 4341
102672 [질문] 컴퓨터 견적 한번 평가 부탁드려요 [2] 서퍼도리아2095 17/05/16 2095
102671 [질문] 중국의 문화대혁명에 대한 내용이 이게 맞는건가요? [14] Time of my life3039 17/05/16 3039
102670 [질문] 한겨레신문 성향이 변한게 언제쯤 부터였나요? [16] Timeout3900 17/05/16 3900
102669 [질문] [LOL] 산수계산 질문입니다 [4] 아니이걸왜들어가2035 17/05/16 2035
102668 [질문] 이제 어떤 일간지, 주간지를 읽어야할까요? [18] SpicyPeach2821 17/05/16 2821
102667 [질문] 오프라인 면세점 이용방법 질문드립니다 [7] 연벽제3254 17/05/16 3254
102666 [질문] 박사논문 쓰고 교수님한테 아부(?)하는게 어려운 일인지 궁금합니다. [16] 단재신채호5080 17/05/16 5080
102665 [질문] 바이러스에 관한 보안이 확실치 않은 외장하드 연결시에 관한 질문입니다. [1] 나를찾아서2504 17/05/16 2504
102664 [질문] 이벤트 상품 (3~4만원 수준)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9] FastVulture1885 17/05/16 18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