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8/21 01:12
그냥 님이 가야겠다 생각하면 가는겁니다.
친척에 사돈에 팔촌이라도 가야겠다 생각하면 가는거고 삼촌의 결혼식이라도 갈필요가 없다고 느껴지면(이런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만 간혹 있긴 있더군요.) 안가는거죠.
09/08/21 10:50
내가 그 사람 행사(특히 흉사)를 안 챙기면, 그 사람도 우리 집 행사에 안 옵니다.
안 와도 되는 사람이라면, 그 집 행사에 갈 필요없죠. 우리 집 행사에 안 왔던 사람이라면, 그 집 행사에 갈 필요없죠. 우리 집 행사를 꼭 챙기던 분인데, 그 집 행사에 안 간다면, 뒤에서 안 좋은 소리 듣습니다. 그러니, 과거 데이타를 알아보시고 결정하시되, 순수한 마음으로 축하해 주고 싶은 사람(위로해 주고 싶은 사람)이라던가, 잘 보여야 되는 사람, 신세진 일이 있는 사람이라면, 데이타 뒤져 볼 필요도 없겠죠. 그냥 안면만 있는 정도인 데 초청을 받았다면, 관계를 이어가야 되는 사이라면 아는 사람 통해서 소액의 축의금만 보내거나, 그 정도 사이는 아닌 데 축의금 청구서를 날리냐 싶다면, 온 식구 다 데리고 참석해서 음식을 축내는 식으로 소심한 복수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축의금 2만원내고 4식구가 각각 5만원짜리 스테이크를 축내는 사례도 가끔은 있다죠?) 장례식같은 흉사는, 피치못할 사정이 있지 않는 한, 웬만하면 참석하는 것이 사회생활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문상오신 분들은 하나하나 기억에 잘 남더라구요.)
09/08/21 10:57
좋은 일에는 안가도 뒷탈이 상대적으로 좋지만, 안 좋은 일에는 얼굴을 비추는 것이 좋죠....
일단은 '귀차니즘'을 제외한 부분에서 판단하시면 됩니다..
09/08/21 12:02
답변 해주신 분들 모두 고맙습니다.
가끔 일어나는 만나면 인사도 하고 대화도 하지만 따로 연락해서 만나진 않는 그런 친구들한테 일이 생겼을때 이런 고민들을 했었는데 좋은 답변이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