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27 13:24
승리 투수야 앞서고 있을 때 내려온 첫번째 투수가 되는 걸로 알고 있고요. 홀드는 세이브 투수와 승리 투수 사이 전원에게 주어지는거 아닌가요?
09/07/27 13:25
승리투수는 선발의 경우 5이닝을 다 던지고 팀이 이기고 있으면 승리투수 요건이 됩니다. (홈팀의 경우 5회초에 지고 있거나 동점이더라고 5회말에 점수내서 앞서면 승리투수 요건이 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1회씩반 던진다면 이기고 있을때 내려온 첫 선수 가 되겠네요.. 홀드는..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점수를 더 내주지 않고 이닝을 마무리 지으면 홀드가 주어지고, 세이브는 이기고 있는 상황인데 적은점수차일때 잘 막아서 점수를 더 주지 않고 이기면 세이브가 주어집니다.
09/07/27 13:25
기록원이 판단합니다. 대부분이 마운드에서 리드하고 있을때 넘겨주는 선수에게 승리를 주지만 정확히는 승리에 가장 공헌을 했다고 판단되는 선수에게 승리를 줍니다. 예로 얼마전에 한기주 선수가 구원등판해서 아웃카운트 하나잡고 동점을 허용했으나 기아가 바로 역전하는 바람에 승리투수가 될수 있었지만 기록원은 유동훈 선수에게 승리를 줬습니다.
09/07/27 13:26
선발투수가 5이닝을 버티지 못하고 내려왔다면 잔여이닝동안 가장 기여를 많이한 투수에게 승리투수를 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만약 역전을 하거나 했다면 그 상황에 마운드에 있는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것이구요. 예를 들어 난타전으로 5회이전에 점수가 8-6 정도가 되어서 6실점한 선발을 5회 이전에 내렸고 이후 점수 상황에서 리드를 뺐기지 않았다면 가장 잘 던지고 기여를 많이 한 투수에게 승리투수를 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09/07/27 13:29
세이브와 홀드는 선발투수와 상관없고
승리투수는 돌아와요영웅님과 언뜻유재석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기록원맘. 계속 리드된 상태라면 기록원 맘으로 가장 잘던진투수에게 주는거고, 중간에 뒤지고 있는상황에서 역전시킨거라면 보통의 경기와 상황이 같습니다. 그리고 찾아보니 "리드시점을 갖고 있는 구원투수라 하더라도 일시적이거나 비효과적인 투구를 하고, 뒤에 나온 투수가 리드를 유지하는데 더 효과적인 투구를 했다고 기록원이 판단했을 경우에는 나중에 나온 구원투수에게 승리투수를 기록한다’ (10.19) 라는 규정이 있는데 과거에는 안그랬는데, 현재에는 이 규정을 꽤 적용시킨다고 하더라구요.
09/07/27 13:31
여자예비역님 말씀에 좀 더 보충을 하자면 홀드는 지는 상황에서도 주어집니다. 세이브 상황은 여러개 있겠지만 쉽게 아웃카운트 대비
점수차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웃카운트1개당 1점차로요. 9회 원아웃에 4-1인 상황에서 등판하면 잔여 아웃카운트가 두개 이므로 2점을 줘도 역전이 안되기 때문에 세이브 요건이 성립되질 않습니다. 단 주자가 있다면 주자 한명당 1점으로 계산하니 9회 원아웃 주자1루 라면 세이브 요건이 성립되는 것이지요. 야구팬들끼리 말하는 이른바 양아 세이브라는건 9회말 2아웃에 딱 세이브 조건인 상황에서만 나와서 한타자만 상대하고 세이브 갯수를 올리는것을 말하구요.
09/07/27 13:32
선발투수는 5이닝 이상을 던져야만 자격이 주어지고요.. 계투중 승리투수는 경기 끝났을때 기준으로 자기팀이 이기기 시작한 공격회의 바로전까지 던진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건데.. 0:0상황에서 7회초에 자기팀이 1점을 내서 경기가 1:0으로 끝났다 하면 6회말 마지막 아웃을 잡고 내려온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것이죠. 중간에 경기가 역전당했다가 다시 재역전한다면 재역전 한 시점의 바로 전 수비까지 마무리를 했던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는것이구요. 그렇지만 예외도 있는것이 예를들어 5:1로 이기던 상황에서 승리팀의 계투가 4실점을 하고 이닝을 마무리 했는데 다음공격에서 점수를 얻어 승리투수 요건을 갖추게 된다면 기록원의 판단으로 그 경기에서 가장 효율적인 투구를 한 투수가 승리투수가 되게 됩니다. 홀드는 세이브 조건과 같은 조건에 올라와서 내려올 때까지 세이브 기록과 같은 성적을 내면 홀드처리 됩니다. 즉 한경기에서 홀드투수는 여러명이 나올 수 있습니다. 참고로 세이브 조건은 3점차이내이거나 승계주자가 있을경우 주자의수+타자1+1, 다시 말해 백투백 홈런을 맞으면 동점이 되는 상황에 등판하여 승리를 지키는 경우 세이브로 기록됩니다. 5:1에서 주자 12루에 있다고 하면 홈런맞으면 3점 백투백 맞으면 1점으로 동점이 되기 때문에 세이브 요건이 충족되는 것이죠.
09/07/27 13:38
언뜻 유재석님// 세이브 상황이 음 약간 다르네요.
설명하신대로라면 9회2아웃에 2점차로 뒤지고 있는 상황에 주자가 없다면 세이브요건이 아니지만 실제로는 세이브 요건입니다. 세이브요건은 일단 이기고 있는 경기에서 올라와 계속 리드를 지킨채 마지막 타자를 잡아야 하고, 승리투수가 되면 안됩니다. 그리고 다음 세가지 조건중 하나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3이닝투구 or 1이닝이상투구+3점이하리드 or 연타석홈런시 동점혹은 역전이 되는 상황때 등판
09/07/27 13:47
돌아와요! 영웅님의 설명을 보충하자면 동점까지는 유동훈 선수에게 승리투수를 줄 수 있는데
한기주 선수가 역전을 당했다가 다시 기아가 역전했으면 유동훈 선수에게 승리투수를 줄 수 없습니다. 무조건 한기주 선수에게 주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