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11 20:20
1.증권사로 가시면 알아서 설명해줍니다.
2.정기적금은 매월 약정금액을 계약기간동안 이치합니다. 자율식적금이라고 본인이 원하는 돈만큼 자유롭게 붓는 적금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도 계약기간은 존재. cma는 금리가 높은 보통예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입출금이 자유롭고 이자가 꽤 쎕니다. 고객이 예치한 돈을 채권(보통 aaa이상 우량국공채)에 투자한 후 수익금을 고객한테 돌려줍니다. 얼추 시중금리와 비슷한 수익률이 나고,동양종금등 일부회사를 제외한 CMA는 원리금보장에서 제외합니다. 다만 CMA가 투자하는 채권을 워낙 안전채권에 투자하는지라 손실나는 경우가 극히 드뭅니다. 3.신분증이 필요하죠.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같은.. 등본까지 떼어갈 필요는 없습니다.
09/05/11 22:42
CMA- 예탁금을 어음이나 채권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실적배당 금융상품. (네이버 백과사전)
주로 채권이나, CD,CP등에 많이 투자하는걸로 알려져있습니다.. 과거 MMF가 당일 입출금이 되었던 시절에는 메리트 있는 상품이 아니었는데.. MMF가 익일입금/익일출금 제도로 변경되면서 더 인기를 끈 상품중에 하나죠.. CMA는 동양종금에서 나오는 것만 아마 원금보장이 될 겁니다. 동양종합금융- 종합금융회사고, 나머지는 증권회사이기 때문이죠.. 다만 종금사를 인수한 증권회사에서는 원금보장형 CMA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이자는 최근에 3% 초반대 정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미세하게 RP형과 MMF형이 차이가 조금 날 수 있습니다. (어느게 더 높은진 기억이 안나네요. RP형이 조금 더 높았던것 같은데..) 실제 CMA나 MMF가 손실 날 가능성은 매우 드물다...가 정설에 가깝습니다만. 작년 미국 서브프라임사태 당시 MMF가 환매 불능사태에 빠지는 경우도 있긴 했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펀드상품에 비해 리스크가 낮은것은 사실입니다. CMA의 이점은 일반예금과 비교해서 크게 1)이율이 높고 2)입출금이 자유롭다는 점이 장점이고 정기적금은 1)5000만원한도로는 무조건 보장된다. 가 최대 장점이겠네요 3%초반대의 이자율로는 은행 적금과 CMA가 크게 차이는 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금문제는 제가 정확히 몰라서 말하긴 어렵지만, 세금 고려해도 큰 차이는 안날 겁니다) 대학생이면 CMA하나정도는 가져야 한다는말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돈을 모으시려면 절대 인출하지 마세요 -_- 포인트는 그겁니다. CMA에 돈 넣어놓고 인출했다 입금했다 하면서 결국은 다 쓰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09/05/12 00:17
RP형은 금리가 고정되어있는것이죠. 원금보장이되는 CMA는 처음에는 RP형보다 금리가낮고, 180일인가? 인출하지않고 계속넣어두면 RP형보다 금리가 높아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동양종금CMA-RP형 2.5%입니다. 많이 떨어졌네요;;
수시입출금하실거면 RP형으로 개설하셔서 시중은행 가상계좌연결하시고 현금(체크)카드 발급받으셔서 사용하시면 전혀불편함없이 사용하실수있습니다. 제생각엔 CMA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