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08 22:37
제생각에도, 세계적으로라면 신진식 선수보다는 김세진 선수. 하지만, 오랜 삼성화재 팬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두 선수 사이의 우열을 가리긴 힘들죠.
09/04/08 22:47
각 종목별로 한명씩으로 제한해서
축구:차범근 농구:허재 야구:박찬호 배구:김세진 핸드볼:윤경신 골프:박세리 테니스:이형택 육상:황영조 빙상:김동성 씨름:이만기 인기스포츠만해도 인재가 넘치고 넘치네요. 게다가 박태환, 김연아, 박지성 선수들도 레전드급의 기록을 세웠거나 이어나가는 중이라...
09/04/08 22:47
레슬링의 심권호 선수 추가요!
1번도 하기 어려운 그랜드 슬램(올림픽-세계선수권-아시안게임-아시아선수권)을 2번이나 그것도 2체급(48kg급, 54kg급)에 걸쳐서 달성하신 괴물 같은 분이죠;;
09/04/08 23:02
황영조선수보다는 이봉주 선수가 낫지 않을까요? 황영조선수와 이봉주 선수의 경력차이는 올림픽우승1회(황)와 더많은 입상경력(이)인데..
차라리 약 15년간 국내 최고의 선수자리를 이어온 이봉주선수가 훨씬 레전드같습니다..
09/04/09 00:48
차범근 박찬호 박세리 선동렬 이승엽 황영조 허재 까지만 인정
박지성 김연아 박태환은 전성기 선수들이라 좀 그렇고.. 이봉주vs황영조선수비교는 아무래도 올림픽 금메달의 포쓰가...
09/04/09 01:13
jc님// 오 유명우 !! 한국 복서중에서 가장 장기간 세계타이틀을 보유했던 !!
똥줄님// 올림픽 금메달만 놓고본다면 황영조씨가 앞서긴하지만, 마라톤도 올림픽보다 더 가치 있는 대회가 있잖아요. 물론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올림픽이 제일이겠지만요. 차라리 그런 대회에서 꾸준히 입상해오고(우승포함), 장기간 실력발휘를 해온 이봉주 선수가 낫지 않을까요 .. 그리고...........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 한국여자양궁선수들... 한분한분이 다 괴수라서 ;;? 김수녕선수라던지 한명쯤 언급될만한데..
09/04/09 17:56
박주봉, 심권호 선수등은 확실한 레전드 맞다고 봅니다.
특히 박주봉선수는 배드민턴 역사상 이정도급 선수는 몇명없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선 거의 조던급인기라는... 쇼트트랙이나 양궁은 레전드급이 한둘이 아니라 따지기가 애매하고요. 근데 이렇게 따지면 박주봉, 심권호 2명에 나머지 8명은 양궁이나 쇼트트랙 선수로만 채워질거 같습니다. 박주봉선수는 한시대의 절대본좌라고 할 수 있었던 선수고, 심권호 선수도 거의 그정도라고 생각합니다만 체급이나 이런걸 감안하면 그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심권호도 대단하지만 그렇다고 카렐린보다 낫다거나 이런말은 못하지않겠습니까? 근데 박주봉은 거의 그레벨입니다.) 양궁이나 쇼트트랙에도 안영수나 김수녕등 많겠죠 허나 타종목에 레전드라고 말이 나오는 선수들은 보면 그보다 한참 떨어지죠. 예를 들어 축구의 차범근은 그 시대를 기준으로 10~20위권 선수입니다. 아무리 좋게봐도 차범근을 마라도나나 펠레급으로 볼 순 없죠. 박지성은 작년 EPL내 랭킹이 299위였습니다. 현재의 축구선수들 중 1000명안에나 들까말까라는 말이죠. 이걸 레전드라고 부르긴 참... 스타로 따진다면 본좌가 아니라 강라인후보권에도 들지못할겁니다. 뭐 아시아선수치곤 잘했다거나 이런건 비슷한 레벨일때 따저볼 문제지, 한참 떨어지는 선수에게 그냥 단순레전드도 아니고 한국스포츠레전드10명안에 끼워넣는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바둑의 경우는 조훈현 이창호는 저기 들어갈 만한 선수들이지만, IOC에서 바둑을 스포츠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대한체육회는 인정합니다만.. 뭐 세계적 기준을 따라야겠죠? gkrk님// 4대마라톤의 권위도 엄청나지만 올림픽에 견줄 수 는 없습니다. 4대마라톤은 1년씩 합니다. 올림픽은 4년이고요. 거기다 마라톤의 유래같은거 까지 생각해보면 다른스포츠종목은 월드컵이나 기타 다른대회가 올림픽과 동급이거나 그 이상으로 쳐주는 종목도 있을 수 있지만 마라톤만큼은 그게 절대 불가능입니다.
09/04/09 17:58
김세진 신진식의 비교는 우열 가리기 참 힘들죠.
단순 실력의 비교라면 김세진이 높이에서 앞서기 때문에 블로킹이 좀 더 낫다는거 신진식이 수비가 더 낫고 서브가 더 낫다는거 뭐 이런거 따지면 동급이고 삼성10연패 할동안 MVP도 똑같이 5회를 나눠먹었습니다만 신치용감독이 꼽은 삼성의 에이스는 김세진이였고 국제경기에서 더 잘했던 김세진이 반수정도 위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