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4/07 19:13
일단, 여기서 설명 들으신다고 쉽게 아실 수 있는 부분은 아닙니다만... 간략히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단자 크기"라고 표현하신 부분이 부품과 부품을 연결하는 규격인데, 간단히 말하자면 글쓴분이 생각하신 게 맞습니다. 단... 좀 복잡하지요. 일단, 컴퓨터의 모든 부품은 메인보드와 연결이 됩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호환성이란, 메인보드와 해당 부품과의 호환성입니다. 1. 메인보드+CPU 크게는 CPU 제조사(인텔, AMD)에 의해 결정됩니다. CPU의 규격을 소켓... 이라 하는데, 생산중인 제품으로 인텔은 775, 1366(1336인가?;;)소켓이 있습니다. AMD는 AM2+와 AM3소켓이 있습니다. 인텔은 소켓 크기 자체가 다르지만, AMD는 대부분이 하위 호환(AM3 시퓨를 AM2+ 메인보드에 꽂아도 대부분 작동합니다.) 고르실 때 메인보드의 지원CPU목록을 잘 보면 됩니다. 인텔 : i7을 제외한 모든 CPU가 775소켓입니다. AMD : 최근에 나온 쿠마, 헤카, 일부 페넘II-X4 기종은 AM3, 그 이전은 AM2+소켓입니다. 2. Ram 메인보드 스펙에 있는 지원가능한 램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램의 종류는 호환되지 않으며, 클럭은 대부분 하위호환이 됩니다." 즉, DDR2 800을 지원하는 보드에 DDR2 667이나 533램은 대부분 사용가능하지만, DDR3 나 일반 DDR램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예 소켓이 맞지 않습니다. 이외에 보드별로 드물지만, 호환이 안 되는 특정 회사의 램이 존재합니다. 간편한 방법은 삼성 램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3. 그래픽카드 너무 오래된 것(혹은 중고)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규격으로는 AGP와 PCI-E 1.0, 2.0이 있는데, 요즘은 AGP그래픽카드가 거의 나오지 않으며, PCI-E는 1.0이나 2.0이나 별 차이가 없으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4. 하드디스크 & ODD(CD나 DVD) IDE(E-IDE)방식과 Sata방식이 있는데, 요즘 출시되는 메인보드가 대부분 1개의 IDE + 4~6개의 Sata포트 조합으로 나오므로, Sata방식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Sata1과 Sata2가 있는데, Sata1은 요즘 나오지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ODD는 IDE방식으로 구입하셔도 상관은 없으나, SATA방식으로 구입하시는 것이 조립하기 더 간편합니다. 대충 설명하면 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정 불안하시면 간편한 방법으로는, 비슷한 시기(6개월 안쪽)에 나온 제품을 구매하시는 것도 방법이겠지요.
09/04/07 19:19
메인보드 칩셋을 빠뜨렸군요. 가시권에 있는 것만 설명을 드리죠.
1.인텔 P35, P43, P45 : 인텔 코어2쿼드, 코어2듀오(쉽게말해, E5xxx, E7xxx, Q8xxx, Q9xxx...)를 사용할 수 있는 칩셋입니다. 숫자가 클수록 비싸고 좋습니다. 각각의 차이점을 설명드리면 너무 길고, 지금 수준에서 이해하시기 힘드실 것 같아 생략합니다. G31, G43 : 위의 칩셋들에 인텔의 내장 그래픽 칩셋이 들어가 있는 칩셋입니다. X58 : i7(네할렘)을 사용할 수 있는 칩셋입니다. 2. AMD 780G : 가장 인기있는 보급형 칩셋입니다. 내장그래픽이 있으며, 별도의 그래픽카드도 추가 가능합니다. 790GX : 780G의 상위모델입니다. 사우스브릿지 칩셋이 다른데, 이에 대한 설명은 직접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790X / 790FX : 내장그래픽 칩셋이 없는 모델들입니다. 100만원대 이상의 컴퓨터를 생각하시는 게 아니시라면 그다지 메리트는 없습니다.
09/04/07 23:19
대충 지인들한테 물어보고 그래도 걱정이 많이 됐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 주실줄은 몰랐는데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