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4/07 05:08:53
Name 강마에
Subject 컴퓨터 쪽으로 진로를 잡을까 해서 질문올립니다. 답변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 올해 스물다섯살이고 대학에서 생물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요새 제가 진로에 대해 고민하다가 컴퓨터 쪽 진로를 잡고 싶다.. 정확히는 이중전공을 하고 싶다
란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요. 그 쪽에 관해 너무 아는게 없네요....
지금은 컴퓨터랑 상관없는 삶을 살고 있지만 어릴땐 아주 좋아했었거든요...
그리고 힘들고 괴로워도 일단 컴퓨터를 잡고 있으면 잘 살아보려고 열심히 노력할거 같기도 하구요.
나이가 많아 조금 늦긴했지만 만약 컴퓨터 쪽이면 좋아하는거 하고 살수 있을거 같아서 이중전공을 해볼까 하는데
아는 게 없어 이렇게 PGR 여러분들께 헬프를 요청합니다^^;
몇가지만 질문드릴게요~

1.공대는 공학수학, 화학은 일반화학, 물리학은 일반물리 이런식으로 각 과목마다 기초적으로 알아야할것들이 있잖아요?
저희학교는 이중전공시 3학년 과목부터 배우게 되는데 컴퓨터쪽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것들이 무엇인가요?
예를들면 C언어니 비쥬얼 베이직이니 공학수학 그런걸 알아야 하나요?

2.컴퓨터와 관련된 학과를 나온다면 그 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 취업을 하는건가요?
  한다면 어딜 많이 가나요?
제 전공에서 학부졸업생은 - 전공상관없이 영업사원 취업 or 시험(고시,행시 등등..) or 대학원 진학
밖에 길이 없어서 다른 쪽은 전혀 감이 없어서요... 컴퓨터 쪽은 전공을 살리는 길이 좀 여러갈래 있지 않나요?

3. 이중 전공으로 학위취득을 하면 회사에서 취직시 컴퓨터 학과 졸업생으로 인정을 안해주는 경향이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그걸 커버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나요? 아주높은 성적을 받아야 하나요 아니면 자격증을 따야하나요?

4.취업을 하면 연봉은 얼마나 받게 될까요? 물론 회사마다 다르고 하는일 마다 다르겠지만 좀 평균적인 연봉같은건 혹시 없을까요?
저희과는 석사후 연구원으로 취업하면 2600정도 받는다더라구요.

5.인터넷에 유머나 웹툰 같은 것들 보면 거의다 개발자, 혹은 컴퓨터 관련일 종사자들의 어려움을 말하는 것들이 참 많더라구요.
TIG의 원사운드님 카툰을 보면 오싹하기도 하지만 왠지 그런걸 볼때마다 거꾸로 동경심이 든답니다.
힘들어도 컴퓨터 다루면서, 자기 하고 싶은거 하고 사는것 같아서요. 이중전공 생각도 그래서 생각한거구요.
컴퓨터 관련일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웹툰 같은것에 나오는 이야기들 같이 항상 열악하고 힘든 상황에만 처해있으신가요??

참 이상한 질문이지만;;
정말 궁금해서요... 요번에 다행히 저희학교 컴퓨터과 대학원의 한분께 메일로 문의드려서 어느 정도는 알게 되었지만
조금 더 정보를 얻고 싶어서 질게 올려봅니다.
피지알러 님들~ 도와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izardMo진종
09/04/07 08:21
수정 아이콘
컴퓨터란게 단순히 카테고리의 범주로 들어가긴 너무 넓어서 컴퓨터 자체가 카테고리가 될텐데요,,, 간략하게만 나눠도 컴퓨터 와 관련하여 hw sw 로도 나눌수 있고 수천 수만가지가 될겁니다. 취업역시도 졸업하고 뭘하느냐에 따라 다르니 평균이 불가능합니다. 이공계통은 자신의 능력으로 대우받으니 같은회사 같이 입사해도 3000부터 시작하거나 3600부터 시작할수도 있겠네요. 1800받으면서 착취당하기도 하구요. 이중전공은 아무래도 컴공학부생보다 차별이 없을수는 없을꺼 같습니다. 전자과와 컴공 멀티미디어와 컴공같이 연관되는 학과라면 덜하겟지만 문과쪽이신거 같은데 거기에서 컴공으로 이중전공한다쳐도 컴공학부생들에 비해서 실력이 떨어질수밖에 없겠죠. 공부시간이 절반이고 듣는과목도 절반인데,,

학부생은 개발이외로 나가기에는 벽이 좀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제가 임베디드를 목표로 하는데 이쪽은 전부 석사라고 하더군요...
애니콜 핸드폰 개발사업부 같은곳에 가고싶은데ㅜㅠ

여튼 말이 길었는데 워낙에 넓고 깊어서 하기나름입니다. 단지 2년으론 그저 코딩노가다 이외의 인력으론 쓰지 않을꺼 같네요. 진로를 아예 컴퓨터 사이언스로 바꾸시려면 전과를 하시거나 대학원진학을 강력하게 권합니다. 묶이지 않는 전공을 복전하는건 어렵기도 어렵지만 그어려운만큼의 대우를 잘 안해준다고 하네요.

-> 아랫글 보고서 수정합니다,, 생물인지 몰랐네요;; 이공계이시니까 전과를 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09/04/07 08:36
수정 아이콘
복수전공을 요즘에는 이중전공이라고 하나요? -_-; 그냥 좀 어감이 웃겨서요;;

복수전공은 아무래도 '순혈주의'를 강조하는 경우에는 좀 밀리긴 합니다만 요즘 과들 간에서도 스스로 퓨전이 일어나고 있는 마당에 그렇게까지 크게 작용할 것 같진 않습니다. 그러나 님 같은 경우 생물과 컴퓨터는 매우 다른 분야이므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건 무리이고 따라서 강점으로 내세울 만한 게 아니죠. (바이오 인포매틱스 같은 경우도 있긴 하지만 매우 협소한 분야라..) 꼭 컴퓨터 쪽을 해야겠다 하시면 저도 전과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쪽 일을 하고 있는 건 아니라서 제 직접적인 경험담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IT 쪽은 힘들어 보이긴 하더군요. pgr에서도 개발자 분들의 글이나 리플들이 많이 있었구요. 문제는 그거죠. '그만큼 힘들어도, 돈이 생각보다 적어도 자신이 좋아한다면 상관 없는가?'라는 거요. 몇 달 정도야 재미로 열정으로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몇 년이 된다고 생각해 보세요. 과연 그때도 열정만으로 가능할지.. 뭐 IT라고 다 힘든 건 아닐 테니까-_- 너무 단정지어서 말하면 안 되겠지만 그런 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잡설이지만... 생물 쪽은 전공 살리려면 컴퓨터보다 더 암울해 보이긴 해요;;
WizardMo진종
09/04/07 09:00
수정 아이콘
아 이런건 있습니다. 제가 편입해서 현재 3학년인데요. 가끔 과를 바꿔서 편입을 하는데, 거의 4학기 졸업을 못하고 그보다는적은수지만 대부분 휴학하거나 재편입을 합니다;; 생각한것과 너무달라서요. 신중하게 선택하세요.
화이트푸
09/04/07 10:16
수정 아이콘
컴퓨터를 전공한다라는 말 자체가 너무 광범위하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분야를 어느정도 정하고 전과나 편입을 혹은 이중전공을 고려해봐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1. 수학도 마찬가지로 전공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영상처리나 음성처리쪽을 선택하게 될경우 기본적인 DSP를 알고 있어야 겠지요. 네트워크쪽은 앞선 분야보다 수학적인 부분이 들하구요.

2. 분야가 잡혀 있지 않으면 뜬구름 잡혀서 어디갈지 막막해질 경우가 생깁니다. 이것도 잘하는 저것도 잘하는것이 아닌 생태가 될 확률이 높구요. 물론 많은 학부생들이 그러한 편이지만 이중전공이라면 그러한 학생들보다 실력적인 면에서 부족한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사실이니까요. 대게 개발쪽으로 가서 코딩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학점이랑 자격증은 서류전형을 통과하기 위한 조건이라고 보구요. 프로젝트 경력이나 강하게 어필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되도록이면 많아야 할꺼 같습니다.(이건 이중전공 아니더라도 같겠죠)

4. 하는일 학교에 따라 2000~3400 정도 다양하다고 말씀 드릴 수 있을꺼 같습니다.
물론 위의 연봉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이라고 보셔야 할꺼 같구요.

5. 벤처나 중소기업은 어떻게 보면 열악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생물쪽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어느정도 야근은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데요. 하지만 이것또한 좋은 회사(?)를 들어가게 딘다면 괜찮은 연봉에 칼퇴(적당한)를 할 수 있습니다.

주저리 주저리 써 놓고 보니 명확한 답변이 되지는 못하는것 같네요. 하지만 좀더 신중을 기하시는것이 어떨까 합니다.
지금까지 전공해온것을 깡그리 무시하고 새로운것을 익혀야 한다는것은 어렵고 무서운 일이니까요.
09/04/07 14:24
수정 아이콘
일단, 제가 경험해본 게임, SI 계열의 IT 회사들로 말씀을 드리면...
전공은 거의 신경 안씁니다. 그 대신, 포트폴리오를 얼마나 잘 짰느냐, 실무에 투입해도 될만한 능력을 갖췄느냐가 관건이지요.
이 바닥은 구직난이면서도 구인난입니다. 지원자는 많은데, 당장 실무에 투입할만한 사람은 흔치 않아요.
그러니까, 복수전공이든 타전공이든... 이력서와 함께 제출할만한 튼실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게 중요하고, 그만큼 독학도 많이 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도, 학교에서 4년 배운것보다, 회사 와서 6개월동안 배운게 더 많다고 할 수 있을 정도니까요.

임베디드나, HW 관련 부분은 좀더 전문성이 요구되는것으로 보입니다. 워낙에 분야가 특수한 편이라서요...
그쪽은, 보편적인 공부만으로는 통하지 않는 기술을 요구합니다. 그런 면에서 전공자들을 좀더 선호하는 모양입니다.

아.. 그리고, 연봉은.. 복불복입니다. -_-;;
진짜에요. 실력없는 초짜가 초봉 2400 이상 받는 경우도 봤고, 진짜 실력좋은 친구가 2000도 못받고 다니는것도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3418 psp 모델 넘버에 관해 아시는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2] 하얀거탑2002 09/04/07 2002
53417 데스크탑 호환 어떻게 맞추는 건가요?? [3] 64363463261536 09/04/07 1536
53416 3살된 아기가 폐렴으로 입원을 했습니다. [5] abcdefg4783 09/04/07 4783
53415 오디오 관련 제 질문에 답변해주신분들께 감사드리며 처분질문; [3] 호기심남1702 09/04/07 1702
53414 노트북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2] 飛上夢2104 09/04/07 2104
53413 MSN메신져 게임을 하려고 할때마다 뜨는 오류... [1] 메타루1875 09/04/07 1875
53412 스타크래프트에도 무승부가 있을 수 있을까요 [13] SCVgoodtogosir3402 09/04/07 3402
53411 와우 레이드 관련 사이트 소개좀 해 주세요~~~ [3] 흠냐2148 09/04/07 2148
53408 편도절제 수술에 대해 ... (피지알의 닥터님들 ... 꼭 답변부탁해요) [7] 메딕아빠3539 09/04/07 3539
53407 파폭에 새 탭질문과 유게에 플래시파일 다운질문 [2] nuzang1750 09/04/07 1750
53406 라이브메신저 지뢰찾기 게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사진 첨부). 모모리1925 09/04/07 1925
53405 테란대 토스전에서 아비터 타이밍에 대해서 [6] HaSSaD2576 09/04/07 2576
53404 20대초반의 남자가 서울에 구경할만 한 곳.. [9] 카시야신2571 09/04/07 2571
53401 동위원소 분리에 대한 책을 찾습니다. [3] 대위리1519 09/04/07 1519
53399 전기산업기사 관련 질문드립니다. [1] 용호동갈매기1842 09/04/07 1842
53398 영어회화 과제 때문에 질문합니다. [3] 리썽1821 09/04/07 1821
53397 옷 세탁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4] 회전목마2047 09/04/07 2047
53395 HP 완제품 본체를 열려고하는데 나사가 이상해요. [3] misanthrope2014 09/04/07 2014
53394 오디오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시나요? [6] 호기심남2305 09/04/07 2305
53392 파이썬에서 프저전하는데 이런 저그는 어떻게 상대해야하나요? [12] Nal_rAMAN2144 09/04/07 2144
53391 WBC 준우승과 관련해서 병역 면제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20] 천상비요환1915 09/04/07 1915
53390 컴퓨터 쪽으로 진로를 잡을까 해서 질문올립니다. 답변부탁드려요... [5] 강마에1875 09/04/07 1875
53389 4월 20일경 에버랜드는 사람이 많이 붐빌까요?? [2] 아돌프2128 09/04/07 21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