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2/23 19:53:09
Name 자꾸열이나
Subject LCD TV 구입 질문있습니다!!
집에 TV님께서 사망하셨습니다 ㅠ_ㅠ

영상은 나오는데 사운드가 전혀 안나와서 A/S 요청 했더니 부품이 없다고 고치기 힘들다고 하네요;

그래서 TV를 구입하려고 하는데

LCD 티비가 있고 PDP 가 있더라구요.

전 얇은 티비 두꺼운 티비 이런식으로 구분했었는데;; 다른 세계를 알아버렸습니다.

40~42인치 를 사려고 하는데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1.LCD와 PDP의 차이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얼핏 듣기로는 LCD가 조금 더 얇고 전기세가 덜 나가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가격차이는 LCD가 꽤나 비싸더라구요.

성능의 차이가 없으면 PDP도 괜찮을거 같은데 LCD와 차이가 많이 날까요?


2. 왜 같은 모델인데 사이트마다 가격차이가 심할까요?

저는 대부분의 가전제품을 삼성 임직원몰에서 구입하고 있습니다. 여자친구가 그쪽에서 일하는지라 대부분 여자친구를 통해서 사고있는데
요. 이쪽이 혜택도 많고 많이 저렴해서 당연히 TV도 여기서 사야 겠다 라고 생각하고있었는데..

임직원몰에서 151만원 정도 하는것이 다나와 최저가로 볼때 110만원정도까지 하더라구요.

삼성몰 이런사이트는 160만원이 오버 되기도 하구요;

왜 이렇게 가격 차이가 심할까요? 비슷비슷하면 좀더 비싸더라도 유명사이트에서 사겠는데 가격 차이가 너무 크니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3. HD와 풀HD

HD급과 풀HD급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듣기로는 HD는 공중파 풀HD는 지금은 지원이 되지 않지만 앞으로 지원될 케이블 티비

도 HD로 지원 해주는 차이로 알고 있습니다 맞는건가요? 맞는거라면 앞으로를 위해 비싸더라도 풀HD로 구입하는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4. 꼭 삼성이나 LG제품을 사야 할까요?

같은 인치에 다른 중소기업들 제품들보면 거의 반값 가까이 차이 나는곳도 있더라구요.

싼맛에 사는건 좋은데 A/S같은게 잘 될런지도 의문이고 회사가 망하면 어쩌나 라는 걱정도 큽니다.

삼성 엘지를 제외한 다른 중소기업들 티비 쓸만한가요? 비싸더라도 메이커 제품 쓰는게 좋을까요?

질문 하나더 하자면 파브나 엑스캔버스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쪽은 어디인가요?


5. 티비를 구매함에 있어서 꼭 봐야 할 것이 어떤것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명암비나.. 해상도 머 이런것들 좀 명확하게 찝어주세요 ^^;



티비에 대해 전혀 관심없다가 구매하려니 참 어렵네요;

답변 부탁드릴께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꿈꾸는리토
09/02/23 20:39
수정 아이콘
싼거사세요. 고작 1,2년후 가격은 떨어집니다.
09/02/23 20:42
수정 아이콘
pdp는 사양화되는 것 같고요.
tv만 보실거면 모르겠지만 추후에 블루레이플레이어나 컴퓨터와 연결해서 HD영상을 볼 예정이라면 풀HD로 가는 게 좋습니다.
다른 부분은 아랫분이~~
09/02/23 20:51
수정 아이콘
1. 발열과 전기세가 압도적이죠. 하지만 가격은 PDP가 훨씬 싸죠.
2. TV의 경우는 백화점, 매장, 인터넷, 하이마트같은 할인점에 들어가는 물품이 다릅니다.
모델명이 아주 약간 다르거든요. 디자인이 같다고 다 같은 모델이 아니에요. 모델명이 완전히 같아야 같은 모델입니다.
싼건 안에 부품이 다릅니다.
3. 풀HD로 가시는게 좋죠^^하지만 시청환경에 따라 달라지겠네요 이 문제는
4. 저희집에 LG 삼성 한대씩 있는데 저는 LG 추천드립니다.
5. 저도 잘 모릅니다 이건 ^^ 그냥 매장에 가면 수많은게 틀어져 있는데 직접보고 맘에드는걸로 집어왔습니다.
자꾸열이나
09/02/23 21:03
수정 아이콘
그래서 혹시 모델명이 바뀌었나 확인해봤는데 모델명은 똑같더라구요. ㅠ_ㅠ
석호필
09/02/23 22:54
수정 아이콘
1. 예전에야, LCD와 PDP 전기세가 차이가 많이 심했지만, 요즘은 그렇게 심하지 않습니다. 물론 약간은 LCD 가 전기세부분에서 싸긴하겠지만, 1만원이상 차이는 나지는 않을겁니다. 보통 일반인의 기준 TV시청으로 말이죠.

2. 가격은 TV같은경우에 온라인/ 오프라인 가격의 차이가 많이 나지는 않습니다. 오프라인 발품 많이 해보시면, 거의 온라인 최저가와
근접한 가격을 살수 있습니다.

3. 돈 있으면 풀 HD 지르시구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아직은 풀 HD는 시기상조 인것 같습니다. 지금 TV 사신다고 10년이상을
쓸것도 아니고, (일반브라운관 TV도 아니고, 아마 10년이상 쓰면, TV 패널교체는 해야될것같네요. 그때까지 고장안나리란 보장도없고)

물론, 블루레이나, 비디오게임, 그리고 눈이 예민하신분이라면, 풀 HD 사셔도 되겠지만,
이번이 첫번째 HD TV 구매인것 같고, 주로 TV시청이신것 같은데 HD로 가셔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주관적인 생각)

4. 개인적으로는 LCD TV를 사신다면 삼성, PDP TV를 사신다면 LG 를 추천합니다. (주목적이 TV시청일 경우.)

5. 일단 구매함에 있어서, 직접 가보시고, 화면을 보시고, 만족하시는걸 사는게 좋겠네요.
똥순이아빠
09/02/24 02:09
수정 아이콘
1.lcd는 선명한 화면, pc 연결시 선명한 화소수 구현, 가벼움, 전기세가 pdp보다 상대적으로 덜 나옴
/ pdp는 부드러운 화면으로 스포츠나 영화를 즐기기에 좋음, 무거움, 가격이 lcd보다 저렴
전기세 부분에서는요 lcd는 시간당 같은 전력을 소모하지만, pdp는 어두운 화면에서는 화소를 구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따라 전력 소비량이 다르다고 합니다.. 뭐..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lcd가 pdp 보다 소비전력이 높은 것은 맞는 것 같지만, 요즘은 pdp 전력에 대한 기술력이 높아져서, 저전력 제품도 많다고 합니다.

2.가격은 뭐,,같은 모델이라면, 온라인 최저가로 구입하시는게..

3.이건 윗분들과 같은 생각이에요..tv시청만 하신다면 hd, pc 연결하셔서 블루레이로 보시려면 풀hd로 가세요..전 그냥 hd로 구입했는데요.. dvd나 720p의 hd 보는데 만족합니다..막눈이어서 그런지 모르지만요..ㅡ.ㅡ;

4.lg나 삼성 같은 대기업 제품 사는걸 추천 합니다. 가격 차이가 많이 나는지는 모르겠지만..아무래도 오래두고 사용해야하는 전자제품이니, 대기업 제품을 사시는게.... 요즘 나오는 삼성 제품은 usb를 인식해서, usb를 꼽으면 영화를 볼수 있다고 하더라구요..(전 작년 초에 샀는데..그런 기능이 없어서ㅠㅠ)

5.막상 매장에 가셔서 보시면, 다 좋아 보여요..특히 비싼건 더 좋아보이구요..
인터넷으로 여러 모델을 검색하시고, 원하는 기능과 사양을 생각 해 본 후, 매장에 가셔서, 원하는 가격대의 모델을 보여 달라고 하신 후에, 기능과 사양을 체크 하시고 구입하세요...
졸업이다!!
09/02/24 10:44
수정 아이콘
1. 패널 소자 차이인데 자세한건 검색해서 알아보세요. 전 가정용이라면 PDP 추천합니다. 가격대 성능비가 좋구요. 컴퓨터와 연결하시려면 LCD 추천합니다.
2. 유통구조와 신용도 차이 정도 되겠네요. 웬만하면 오프라인으로 직접 보고, 깍아서 사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가격이 비싼만큼 신용이 중요하니까요. 임직원몰(패밀리넷)도 괜찮죠.
3. 자금 여유 있으면 FHD, 없으면 HD. 화면이 크면(46인치 이상) FHD가 좋습니다.
4. 아무래도 대기업의 영상 처리 기술 + AS를 무시못합니다.
5. 명암비, 해상도 등등 여러 스펙은 집에서 볼 때 거의 차이를 체감못합니다. 2개를 옆에다 놓고 비교해야 알듯말듯한 정도? 그래서 전 디자인보고 사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쁜 TV로 사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872 조립컴퓨터 파는 사이트 추천부탁드려요 [2] Xell0ss1817 09/02/23 1817
50871 스타크래프트 선수들중 진정한 '스타일리스트'라고 불리는 선수들 경기 추천 부탁합니다. [17] 마인에달리는2326 09/02/23 2326
50870 LCD TV 구입 질문있습니다!! [7] 자꾸열이나1611 09/02/23 1611
50869 야구 스탯보는 방법에 관하여 [8] kikira1900 09/02/23 1900
50867 게임 도중에 퍼즈걸면 리플레이 시에 스타가 다운되나요? [6] sinfire2366 09/02/23 2366
50866 휴대폰 관련 [1] 블랙엔젤7796 09/02/23 7796
50865 [WoW]이제 레이드 처음 가는 신성기사입니다 ^^ 레이드 관련 질문들좀.... [14] Chandler2279 09/02/23 2279
50864 역대 윈도우에 대해서 찾아보고 있는데, 갑자기 든 의문인데.. [5] Alan_Baxter1909 09/02/23 1909
50863 예비군 연기하는 법 없을까요? [4] ElaN3120 09/02/23 3120
50862 컴퓨터 구입에 관한 질문입니다. [3] Ex-sports2078 09/02/23 2078
50861 dvd 롬 인식이 안돼요! 바스데바2105 09/02/23 2105
50860 헬스관련질문 [2] 난다천사1901 09/02/23 1901
50858 헬스 및 보충제 선택에 관해 조언 부탁 드립니다 ㅠㅠ [5] 그럴때마다1636 09/02/23 1636
50857 듀얼 모니터에 대한 재질문 입니다. [1] Malakit1613 09/02/23 1613
50856 인터넷 공유기는 아무거나 달아도 되나요? [3] schizophrenic2186 09/02/23 2186
50855 제 시력으로 공익판정 받을 수 있을까요? [20] 개그맨6656 09/02/23 6656
50854 안녕하세요 군대관련 질문입니다. [2] 문성욱1859 09/02/23 1859
50853 [급질]스캐너가 작동이 안되네요;; [2] worcs2009 09/02/23 2009
50852 이 가방 어떤가요? [4] funnyday2235 09/02/23 2235
50848 필리핀 현지인과 온라인 영어공부 관심있으신 분 계신가요? [2] Toby2253 09/02/23 2253
50847 기아자동차 '포르테' 구입하셨거나 타보신분 [6] 달걀껍질2303 09/02/23 2303
50846 드럼 악보, 관련서적 질문입니다. t.sugiuchi1638 09/02/23 1638
50845 earth, wind, fire의 September와 비슷한 느낌의 음악 추천해주세요~~ [7] 스타카토3087 09/02/23 30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