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1/31 00:42
개인적은생각은 1군2군3군 까지 보통 있기때문에 2군/3군은 연봉이없더라도 생활비있겠죠..
1군만다다 10명이있다고하면 한달 생활비 100계산 30명 곱하기 100 곱하기 12개월 대충 4억! 그리고 컴퓨터만 하는것이아니고 정신적이나 육체적 건강위해 운동 등등~ 거기에 연봉주는 선수들과 감독 코치진 3억~5억 10억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그리고 개인적인 바램은 E스포츠가 많이 발전돼서 16팀이 됬으면 좋겠네요~
09/01/31 01:14
이글은 질게로 옮겨질듯 싶군요.;
다른 스포츠와 비교한다면 구단운영비용이 매~우 싸다고 생각됩니다. 일단 구장운영비가 안들고, 훈련시설투자에도 컴퓨터만 지원하면 되니까 문제가 없고 식비도 운동선수들과 비교한다면 뭐... 선수도 적고 말이죠. 또한 선수도 적은데 다른 스포츠 선수들과 비교하면 연봉도 적구요. 그렇게 생각한다면 대략 15억 안쪽으로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09/01/31 01:16
야구에 비하면 참 싸죠.
그나저나 늘 야구 보면서 느끼는게 스폰서들은 저기 투자한 만큼의 효과를 보고 있을까 하는게. (물론 매년 적자 기사도 봅니다만)
09/01/31 01:18
일단 선수들 연봉에, 선수들의 복지비용(운동비, 식비, 숙소운영비, 장비등등..), 이동경비정도 생각할 수 있고, +a로 협회에 내는 납입금까지 고려하면 1년에 15억정도로 추측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공군은 500만원도 채 안들겠죠;;;
09/01/31 01:58
허....4년전쯤이면 팬택1년운영비12억중에 2억을 이윤열선수가 가져가는거였네요.
3년에 6억계약했다는 기사를 봤던 기억이 있네요...
09/01/31 02:03
이쪽 업계(게임, 디자인 업계)가 다 그렇겠지만 몇몇 스타게이머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착취에 가까운 임금을 지불하고 있다고 봅니다.
스포츠는 원래 짧게 벌고 길게 써야 하는 법인데 이스포츠는 그 기간마저 더 짧고 미래 보장은 더 암울하죠.
09/01/31 02:23
월 100받는 1군 선수도 수두룩하다고 합니다.
그러니 연봉 7000 8000만 되도 얼마나 우대받는 게이머인지 알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09/01/31 02:41
...그 시절의 한빛은 참...ㅠㅠ
웅진이라 다행이야 ㅠㅠ 하지만 팀사정 외에 지원이 그럭저럭 괜찮지만 연봉 그렇게 받는 선수도 다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09/01/31 04:35
별비님// 생각보다는 공군도 운영비가 꽤 들거예요. 그냥 일반병이라고 해도 10명이면(몇 명인지 잘 모르겠어요...) 월급만으로도 1년이면 그 정도는 될거구요. 요즘 군인들 월급 꽤 되거든요. 그리고, 식비는 하루 만 원 정도 될거고(굉장히 먹기 싫은 짬밥이지만 생각보다 책정은 높게 되어 있던 것으로 기억해요.)...일년이면 10명 기준으로 부식비까지 4천만원은 넘겠네요. 연초비랑 이것저것 장비도 지급해야하고... 숙소도 월세로 계산하면(음... 이건 그냥 있는거니 계산 할 필요는 없으려나?) 일년에 몇 백은 될테고, 그들을 관리하는 간부의 연봉도 몇천은 될테고(프로 게임단과 달리 선수보다 오히려 간부의 몸값이 훨씬 비쌀듯), 이동을 위해 차량 유지비와 운전병도 딸려 있어야 하겠죠. 아마 그들을 위해서 컴퓨터도 좋은 녀석으로 뽑아줬을테고요. 못잡아도 1억 이상은 들지 않을까요?
물론 공군 홍보를 생각하면 뽑고도 남는 장사겠지만요.^^*
09/01/31 18:56
사실 공군에이스 운영비 별로 들껀없죠. 식비를 계산하긴 한다지만 어차피 취사병이 만든 짬밥이구요. 컴퓨터는 국가에서 보급해주는 PC겠고,
장비들은 아마 선수들 본인이 선수시절 쓰던 장비들일테고, 유니폼이나 차량이동은 좀 들겠군요. 그들을 관리하는 간부의 연봉은 그냥 공군중위 호봉의 봉급이죠 연봉이랄껏도 없습니다. 그들은 군인입니다. 봉급받고 일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