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6/01 15:39:52
Name Juan
Subject 질문드립니다.
3일후면 가장 중요한 6월모의고사인데요..ㅠ;

지금까지 모의고사는 떡을 쳤으니 이번이라도 잘봐야지 하는 생각으로 공부를 하고있는데요.

언어나 외국어의 경우 시간이 모자라서 못푸는 경우가 많더군요..

시간 절약하는 방법 없나요..?

예륻들면 주제문장찾는건 맨앞,뒤 문장을 자세히 읽는다던가..

또, 제가 지금 읽는 속도를 키우기위해 모바일신문 매일 읽고있거든요

도움이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01 15:52
수정 아이콘
고 3이시면 신문 읽기로 속도키우기는 늦었습니다.
열심히 문제 푸시는게 가장 빠른 길일겁니다.

'수능'에 한정해서, 외국어는 앞3줄, 뒷3줄만 정확하게 해석이되면 정말 어려운문제(90~100이 틀리는) 빼고는 다 풀 수 있습니다.
08/06/01 16:04
수정 아이콘
수능 외국어영역에서 90~100가 틀리는 문제가 있나 싶네요-_-;;; 신문을 읽기보다 이제 고3이시면 기술을 익히시는게 훨씬 나을 겁니다.
언어 영역을 푸는데 있어서 속도 면에서 가장 좋은 건 지문보다 문제를 먼저 읽는 겁니다. 한 지문에 4~5개 있는 문제 중 지문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문제의 경우 무엇을 물어보는지 발췌하면서 읽으세요. 그리고 그런 문제들 한 두개를 풀다보면 전체적 내용을 묻는 문제들에 대한 실마리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뭐 이건 일종의 치트이기 때문에 그 반작용도 심한 편인데요... 그래도 일단 문제를 다 풀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외국어의 경우에는 지문에서 접속어를 잘 찾아야 하구요, 아니면 일반적으로 뒤쪽에 있는 장문 독해가 더 어렵기 때문에 뒤쪽부터 시작해서 앞쪽으로 푸는 것도 추천합니다. 앞쪽의 경우에 주제를 찾는다거나 하는 건, 접속어를 잘 찾아서 그 주변을 읽다보면 답이 튀어나오는 경우도 빈번하니까요...
뭐 이런 저런 방법이 있겠지만 이런 건 근본적인 해결은 안될 것 같습니다. 그냥 문제 푸는 데 하나의 기술이라고 생각하고, 여름 방학을 이용해서 최후의 공부를 하심이 좋으실 듯 하네요. 아니면 요즘 유행하는 속독 프로그램 같은 걸 잠깐 듣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비단 언어영역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리고 뭐 무작정 빨리 읽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는 기술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도움이 조금 되는 거 같기도 하더라구요.
쿠나기사
08/06/01 16:18
수정 아이콘
언어영역에 있어 핵심은「얼마나 지문을 효과적으로 도구화할 수 있는가」입니다. 문제를 보고 거기에 필요한 지문 내용을 얼마나 빠르게 뽑아낼 수 있는가의 문제인데, 도구화라는 표현을 쓴 건 이게 가능하면 문제는 단지 갖추어진 도구만을 사용하여 잘 조립하고 해석하면 끝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지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으며, 각 문단을 요약하는 연습(하다못해 중심문장이나 키워드를 형광펜으로 긋는 식이라도)을 평소에 조금씩 연습해보는 것입니다. 이것이 반복된다면 나중에는 형광펜으로 밑줄만 죽죽 그으면서 내려가도 그것이 가능해집니다.
사실 언어영역이란 원칙적으로 근거를 찾을 수 없는 문제는 내지 않기 때문에, 지문만 파악하게 된다면 문제는 푼 거나 마찬가지입니다(예외가 있다면 단어의 뉘앙스 문제인데, 그건 상식이므로 패스).
08/06/01 16:27
수정 아이콘
위에 수능 90~100이 틀린다고 한건 오답률이 아니라 '90~100'점수대 학생들이 틀리는 문제 라는 뜻입니다.

수능에 100%오답률이 나올리가 없죠
08/06/01 16:42
수정 아이콘
6월모의고사가 뭔데요? 라고 일단 여쭙고 싶네요.
다 부질없습니다.

편한 마음으로 치세요. 물론 그렇게 편친 않을겁니다만..^^;
<위엣분들이 설명을 다 해주셔서 뭐 저로선 그냥 응원만 해드립니당..>
08/06/01 16:52
수정 아이콘
起秀님// 6월모의고사가 뭐냐구요?

수시에 영어 공인인증,논술수상자료 다음으로 중요한게 6월 9월 모의평가랍니다.
08/06/01 16:54
수정 아이콘
上상님//
그래봐야 수능 1점보다 아래죠. 아닌가요?
적어도 님보다 제가 6월모의고사의 중요성을 모르진 않을것 같군요.

그리고 수시에 영어/논술수상자료요?

내신 1.3에 토익 만점에 토플 290에 철학올림피아드 은상받은녀석은 떨어지는 수시에,
내신 2.7에 아무 수상경력 없는애는 붙었습니다. ^^
수능 누가더 잘봤냐구요? 내신 2.7인애는 아랍어를 제외하곤 1등급이 하나도 없었답니다. 6월 9월 수능.

수시에서 6월 9월 평가원은 잘보나 못보나 아~~~~~~~~~~~~~~~~~~~무 상관없습니다.
(절대적으로 확신합니다.)
수시는 무조건 논술입니다.

P.S - 그리고 여담이지만 6월9월 평가원이 수시에 반영되는 학교가 대체 어디죠?(명문화된 규정으로요.)
제가 수시에 크게 관심이 없어서 잘 모르겠군요. 얼핏 정시에 '아~~~~~~주 조금' 반영된다고 들은 학교가 있긴 한데..
섬전양상
08/06/01 17:02
수정 아이콘
우와 정말 수시는 논술이군요.
abrasax_:Respect
08/06/01 17:07
수정 아이콘
평가원 모의고사 반영하는 대학교가 있긴 있나보네요.
彌親男
08/06/01 18:45
수정 아이콘
上상님// 내신 1~2등급이 쓰는 대학중 평가원 모의고사가 수시에 반영되는 대학은 없습니다.(성대가 반영한다고 했던 것 같기도 하지만 아닌 거라고 하더군요.) 그런 바보짓을 할 대학도 없구요. 평가원 모의고사는 말 그대로 '모의고사'인데요.

영어 공인인증, 논술 수상자료 다음으로 중요하다는 얘기는 결국 '아무 쓸모 없다'라는 얘기군요. 수시에서 중요한 것은 논술>>내신>>>>>>>>>>>>>>>>>>>>>>>넘4벽>>>>>>>>>>>>>>>>>>>>>>>>>>>>>>>비교과(외부 수상, 영어 성적)입니다. 물론 외부 수상, 영어 성적으로 뽑는 전형이 아닌 일반 전형을 말하는 것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579 소고기협상이 노무현정권때부터 이렇게 될거였나요? [14] Helsinki2063 08/06/01 2063
37578 하도 많은 질문중에 또 운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4] 핸드레이크1663 08/06/01 1663
37576 영어로 길게써진 티셔츠에 대해 아시는분????? [2] 밤식빵1822 08/06/01 1822
37575 촛불시위.. [3] 가람휘1514 08/06/01 1514
37574 촛불시위에 의료진으로써 참여하고 싶은데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2] 멀더1860 08/06/01 1860
37573 서울(경기도)은 대선당시 MB지지 지역이었나요? [3] Kaga1828 08/06/01 1828
37572 또 적분 질문입니다.. [6] 루시리스1622 08/06/01 1622
37571 가요 관련 질문입니다. 살인의추석1667 08/06/01 1667
37570 돈관련질문좀~ [1] Art Of Life1805 08/06/01 1805
37569 메가스터티 수리영역 인강을 골랐습니다 [11] 가을의전설2108 08/06/01 2108
37568 지금 하는 시위가 합법적인 시위인가요? [19] hysterical2126 08/06/01 2126
37567 간단한 적분 질문입니다.. [3] 루시리스2104 08/06/01 2104
37565 왜 참외나 감이 아이스크림으로 나오지 않는지 이유 아시는 분 계신가요? [6] 비야레알2436 08/06/01 2436
37564 스카이라이프 해지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byul_1996 08/06/01 1996
37563 6.4일에 있을선거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9] 세상속하나밖1573 08/06/01 1573
37561 영작 좀 봐주세요. [4] 네오유키2042 08/06/01 2042
37560 프로야구의 세부적인 기록들을 볼 수 있는 곳.... [2] 100마일2142 08/06/01 2142
37559 You Know How We Do It 의 뜻이 무엇인가요? [1] Lonelyjuni2786 08/06/01 2786
37558 19인치나 20.1인치 LCD 모니터 추천좀 해주세요. [2] 화이트데이2092 08/06/01 2092
37557 MB가 지금 상황에서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7] MayBee1639 08/06/01 1639
37556 LCD 모니터 23인치에 대해 질문 좀 드립니다. [1] firstwheel2010 08/06/01 2010
37555 학교에서 메가스터디 강의2개를 지원해주는데 뭘 들어야 좋을지 모르겠네요. [8] 가을의전설1750 08/06/01 1750
37554 질문드립니다. [10] Juan1532 08/06/01 15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