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1/04/23 01:07:26
Name 하트레인
Subject 전공 관련 질문입니다. (분광학 혹은 스펙트럼에 관한 글입니다^^;;;)
길게 썼는데 쓰고 나니 로그인이 풀려서 다 날아갔네요 ㅡㅡ;;;

대학원생이 되고 나니 전공 서적의 난이도도 높아지네요. 더군다나 제 전공은 분광학이 아닌데 단지 수업 때문에 이러고 있습니다.

날아가기 전에 쓴 글에서는 서론도 길었지만 이제는 바로 질문하겠습니다^^

형광체의 스펙트럼에 대한 글입니다.

It has been shown that a stiff surroundings of the luminescent center restricts the value of delta R and of S, so that the Stokes shift becomes smaller and vibrational structure may appear in favourable cases.

특수키를 쓸 수 없어서 세모를 delta로 썼습니다. R은 착화합물에서 금속 이온과 그를 둘러싼 리간드 사이의 거리입니다. S는 Huang-Rhys coupling constant라고 불리며 전자와 격자 간의 커플링의 세기입니다. S는 (delta R)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흥분 상태에서는 바닥 상태에 비해 R 값이 큽니다. 아무래도 전자의 상태가 흥분 상태가 되면 금속 이온과 리간드 사이의 결합이 헐거워질 것이고 그러면 그 결합 길이가 늘어날 것이니 R 값이 크겠죠? 흐흐..

Stokes shift는 스펙트럼을 볼 줄 아시는 분들이라면 대충 많이들 알고 계시리라 생각하지만 그래도 써보면...
전자가 흥분 상태로 이동했다가 바닥 상태로 떨어질 때에는 에너지를 전부 radiation의 형태로 방출하지는 않고 일부를 주위의 격자에 진동에너지에 의한 열의 형태로 방출합니다. 즉 vibration을 하며 phonon의 형태로 에너지를 일부 방출하는 것이죠. 따라서 radiation의 형태로 방출하는 에너지는 처음 흡수했던 에너지에 비해 줄어들기 때문에 방출 스펙트럼은 흡수 스펙트럼, 혹은 여기 스펙트럼에 비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는데 이것이 Stokes shift입니다.

delta R 값이 크면 Stokes shift도 커지는데, 즉 방출 스펙트럼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더 커지는데 이는 R에 대한 에너지 다이어그램을 그려보면 알 수 있습니다. 흥분 상태가 바닥 상태에 비해 R 값도 크고 에너지도 전체적으로 높으니 다이어그램이 우상향, 즉 북동쪽에 위치합니다. 이 때 이 delta R 값이 클수록, 즉 흥분 상태의 에너지 다이어그램이 바닥 상태에 비해 더 오른쪽에 있을수록(높은 정도는 일정할지라도) 에너지 방출 시 radiation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어 방출 스펙트럼이 장파장 쪽으로 더 심하게 이동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흡수 혹은 여기 스펙트럼과 방출 스펙트럼 모두 peak는 broad해지고요.
이 설명은 사실 도식적인 그림이 있어야 쉽게 이해가 가능한데 그림을 첨부할 수 없어서 정말 죄송합니다 ㅠㅠ
전공자 분들은 잘 아실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ㅠㅠ


이제 질문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펙트럼에서 vibrational structure라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책의 그림을 보면 대략 peak의 전체적인 모양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 보는 peak의 모양이 맞는데 대신에 삐죽삐죽합니다. 즉 전체적인 envelope가 있는데 대신 fluctuation이 있는 식이죠. 그리고 그 삐죽삐죽한 세부 peak간의 간격은 vibrational state 사이의 에너지 차와 같습니다. 전자가 흥분 상태로 올라갈 때에든 바닥 상태로 내려올 때에든 어떠한 vibrational state로만 이동해야 하니까요.(에너지는 hv로 양자화되어있으므로..)
그런데 위의 문장에서 이 delta R과 S의 값이 작으면 스펙트럼에서 vibratonal structure가 점점 사라진다고 하는데 왜 그러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그보다 먼저  vibrational structure라는 것이 위에서 제가 생각한 것이 맞는지도 확실히 모르겠고요.
그리고 또 실컷 delta R과 S의 값이 작으면 스펙트럼에서 vibratonal structure가 점점 사라진다고 해놓고 마치 특정 상황에서만 그런 것인 양 왜 in favourable cases라고 하는지도 모르겠네요..

후..... 어렵습니다..

PGR 능력자 분들의 도움을 좀 받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4/23 03:20
수정 아이콘
먼저 Huang-Rhys coupling constant는 난생처음 들어보는 용어임을 밝히고 비전문가의 소견을 말씀드리자면...
주변환경이 stiff 하다면 들뜬상태에서 R값이 제한적일 것이고 따라서 델타 R도 제한적일 테고(S도 마찬가지고요.) 따라서 vibrational structure가 뚜렷하겠죠. <-설명이 개떡같네요;;;
그러니까 들뜬상태의 R이 좀 더 넓은 범위의 값을 가진다면(주변환경이 soft하여) emission도 각양각색일테고 vibrational structure가 broad해지면서 사라지는 효과일 듯 합니다.
11/04/23 03:3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원문에는 델타 R과 S가 제한적일 때, 스톡스 시프트가 줄어들고 바이브레이셔널 스트럭쳐가 나타난다고 되어있는데 글쓴님 질문에는 스트럭쳐가 사라진다고 기술하셨네요. 어느 한 쪽을 정정할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487 K-리그 보시는 분들, 보셨던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3] 레몬카라멜1641 11/04/23 1641
103486 보아VS카라VS소녀시대 그리고.... [6] 양군2653 11/04/23 2653
103485 남자 둘이 갈만한 홍대 음식점/술집 있나요? [1] 이강호3213 11/04/23 3213
103484 이게 뭘까요?(사진있어요) [3] 앵콜요청금지2114 11/04/23 2114
103483 네이버 이승엽 야구 보시는 분들~ [1] wook982132 11/04/23 2132
103482 아스날의 경제적인 영입정책은 웽거의 철학? 구단의 자금사정? 뭘까요? [11] LG.33.박용택2139 11/04/23 2139
103481 대전에 좋은 신경 정신과를 알고 싶네요. 귤마법사1687 11/04/23 1687
103480 인터넷 익스플로창이 켜지질 않네요. 다음1812 11/04/23 1812
103478 [컴퓨터] ASUS보드(P5Q) 사용자인데.. 보드가 이상합니다 질문있어요~ [6] 뻥치시네1983 11/04/23 1983
103477 정말정말 우울한 노래 추천 [21] elixer7799 11/04/23 7799
103475 노트북 AP 연결 문제 맹독충1795 11/04/23 1795
103474 서태지의 인기를 요즘에 비유하면 어떻게 설명해야 될까요? [74] 키마이라5024 11/04/23 5024
103473 급여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3] Nyx_soul2138 11/04/23 2138
103472 [수학문제]고1 복소수 문제 질문입니다. [6] 희주2392 11/04/23 2392
103471 신호위반 범칙금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2] 말룡1662 11/04/23 1662
103470 영어 해석 질문입니다. [2] ZoZo1688 11/04/23 1688
103468 면바지 줄이면 이상할까요? [1] 서현1755 11/04/23 1755
103467 이동식 하드디스크 구매하고 싶은데요 [5] 낙하산2101 11/04/23 2101
103464 예전에 밀림닷컴에 있던 뉴에이지 음악들은 다 사라졌나요? 호연.2608 11/04/23 2608
103463 지금 먹어도 살이 안 찌는 음식 있을까요...? [9] Sigh2338 11/04/23 2338
103461 손호영 왜이리 망가졌나요? [6] 레몬커피5545 11/04/23 5545
103460 노트북사는데 와이브로? [2] 아레스1795 11/04/23 1795
103458 전공 관련 질문입니다. (분광학 혹은 스펙트럼에 관한 글입니다^^;;;) [2] 하트레인2273 11/04/23 22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