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9/04 13:40:47
Name 바스데바
File #1 Lt_Z12vsP7_Vasutoss.SC2Replay (47.3 KB), Download : 9
Subject 프로토스의 대 저그전 운영하나 소개합니다.
대저그전 빌드를 하나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아직까지 이 빌드 쓰고 져본적이 없네요;;
일종의 커세어리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전 다이아 700대 프로토스구요, 어쩌면 다른분들도 많이 쓰실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혹시나 해서 올려봅니다.

일단 기본은 더블넥입니다. 앞마당 심시티를 하시다보면 파일런,포지,게이트 등으로 틀어막는걸 아실겁니다.
스타1처럼 병력이 통과하게 안하셔도 됩니다. 완전히 틀어막아주세요.
앞마당과 본진 입구사이거 먼 맵은 연결체까지 건물로 이어주시면 됩니다.

1. 9파일런을 하고 정찰을 보냅니다. 11 포지를 짖습니다. 이건 스1더블하고 똑같습니다.
    -> 여기서 저그가 앞마당을 먼저 한다, 그런데 일벌레가 입구에 패트롤을 안하고있으면 파일런 캐논러시를 해버리면 됩니다.
         그리고 편안하게 앞마당에 연결체를 짖습니다. 하지만 궂이 그렇게 하지 않고 연결체 먼저 가도 좋습니다.

2. 시간증폭써줘가면서 프로브를 생산합니다. 게이트는 상대체제에 맞춰서 캐논을 올리고 짖던지, 게이트 먼저 짖던지 하시면 됩니다.

3. 인공제어소를 올린다음에 차관업은 하지 않고, 앞마당에 1가스 추가하고 로보틱스와 우주관문을 동시에 올립니다.
   질럿을 한기 생산하셔서 혹시모를 땅굴망에 대비합니다. 본진 주위에 파일런도 펼쳐주시고요.

4. 포지에서 공1업을 해주시고, 우주관문에서 불사조를 모읍니다. 5기에서 많게는 7기까지 생산하셔서 견제를 해줍니다.
    로보틱스가 완성되면 거신생산체제에 돌입합니다. 1로보에서 거신을 계속 모읍니다.
    로템의 경우 저그가 둥지탑을 늦게올린다면 차원분광기를 한기 생산해서 거신으로 언덕견제를 하면 좋습니다.
  
5. 불사조 견제를 하다보면 슬슬 돈이 1500 이상 모입니다. 차원관문 업그레이드를 하고, 게이트를 10개 이상 폭발시킵니다.
    이때 모선도 같이 생산해주세요. 모선 마나 100이 모이는순간 치고 나갈겁니다.

6. 게이트가 완성되면 앞마당 앞쪽에 추적자(or추적자 소수 파수기)를 200까지 뽑아줍니다. 차원관문을 한 두세번 돌리면 추적자가 2~3부대 정도 순식간에 나옵니다. 그리고 1로보에서 지금까지 차곡차곡 거신을 모으면 5기 정도 됩니다. 추적자+거신+모선으로 진출합니다.

타락귀가 거신을 카운터하러 와도 모선을 먼저 때려야 합니다. 그러는 사이에 추적자에 맞아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력은 클로킹상태라 저그의 지상병력은 녹아버립니다. 만약에 타락귀가 먼저죽거나, 안뽑고 지상군에 충실했을경우 싸움에서 저그 지상군 뒤쪽으로 소용돌이를 시전해줍니다.

200까지 안모으셔도 (울트라가 뜨기전) 상대체제에 맞가 거신 3기정도일때 150정도 채워서 나가셔도 됩니다.
저그가 멀티가 많아도 거의 프로토스가 한타에서 압승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습하시는 저그분들계서 이런저런 방법을 써보셨는데 거의다 막혔습니다. 연구하셔서 깨신다고 하셨는데 언제 깨질지는 모르겠네요;;
깨지면 할게없는데..흑..

일단 땅굴망은 거의 안통합니다.
무탈을해도 불사조컨에 신경써주시면 빨리 무탈을 갔어도 막히거나, 타이밍이 약간 늦으면 불사조에 밀립니다.
드랍도 불사조때문에 막힙니다. 설사 드랍이 되었더라도 거신컨을 해주면 막을수 있습니다.
저글링 러시는 심시티를 잘해주면 당할일이 없습니다. 맹독충은 많이 해본건 아니지만 아슬아슬하게 막히게 되더군요..
상대가 저글링 바퀴, 또는 히드라로 돌파를 시도한다면 로보틱스를 조금더 일찍 만들어서 거신을 뽑습니다. 캐논도 늘려주면 돌파당할일이 거의 없습니다.

대신 입구심시티가 힘든맵, 델타사분면이나 고철처리장같은 맵은 왠만하면 안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앞마당만 먹고 한방이기때문에, 만약에 한타에서 질경우 미래는 없습니다. 질것 같으면 무리하지마시고 그냥 멀티드시면서 해도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저그는 공격할수가 없어요;;
고수분들 상대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저 정도 레벨의 분들한테는 충분히 강력한 빌드라고 자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서스
10/09/04 13:48
수정 아이콘
이 빌드 카운터가 빠른 땡히드라 가면서 제2멀티를 빠르게 가져가는거죠.

돌파당할일 거의 없으시다고 했는데 히드라 6~7기 타이밍에 그동안 뽑아둔 저글링과 같이가면 거의 뚫립니다.

거신은 이때 나와봐야 1기정도고 사업 안되있어서 히드라 점사로 충분히 잡을수 있고,

4가스+제2멀티의 힘으로 히드라 쉬지않고 찍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 점막종양이 충분히 설치가 됬다면 히드라웨이브로 앞마당을 그냥 밀어버릴수 있더군요.
고마유
10/09/04 14:02
수정 아이콘
리플레이를 요청합니다!
견랑전설
10/09/04 15:16
수정 아이콘
진짜 초반히드라타이밍을 어떻게 막는지 궁금하군요. 저도 리플레이 요청할게요
10/09/04 15:41
수정 아이콘
저그유저가 많이 없긴 한가보네요
저그입장에서 더블 이후 불사조모으는 빌드는 그저 고마울 뿐입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땡히드라빌드가 쥐약이거든요
오히려 더블이후 빠른로보가면서 거신빠르게 모으는 빌드가 더 힘들어요 땡히드라 모아서 갔는데 1~2거신있으면 앞이 캄캄...
뭐 빠른 로보면 무탈운영을 가는게 맞지만요 결국 가위바위보 싸움입니다
신세계
10/09/04 16:14
수정 아이콘
오~! 글보고 방금 2판했는데 다 통했습니다.
맨날 3관문 멀티 이런것만 하다가 요런것도 해보니 재밌네요.
땡히드라 타이밍만 아슬아슬 넘기면 모선과 조합된 200 병력이 막강하네요.
상대가 모선을 먼저 타겟팅 하느라 전투에서 유리한 싸움을 펼치네요.
무기가 하나 더 생긴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nameless..
10/09/04 16:38
수정 아이콘
모선뜰때까지 안나오면 꿀네랄4~5멀티 저그 물량 감당 못하죠;
허느님맙소사
10/09/04 23:08
수정 아이콘
짜임새 좋은 빌드네요. 초반 압박을 견딜 방법만 연구한다면 꽤 강력하겠습니다.

다만 무적빌드란 건 없으니, 제 생각에도 상대가 일단 히드라덴 짓고 정찰로 빌드 파악한 순간 라바 모조리 히드라로 만들고 밀어붙이면

감당이 안 될 것 같네요. 히드라 맘먹고 빨리 뽑으면 그냥 본진에서 테크타고 거신 뽑아도 히드라가 먼저 모이거든요.
nameless..
10/09/05 00:14
수정 아이콘
그리고 중후반가면 문제가 감염충입니다. 고수분들은 거신상대만 하더라도 감염충 잘쓰거든요.
템이 없으면 모선이랑 거신 다뺏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12 패키지 발매 관련, 선결제자 분들에 대한 혜택이 있을 것 같습니다. [6] 참글3852 10/09/06 3852
1611 패징징? 패키지의 의미가 뭘까요 [28] crowley3467 10/09/06 3467
1610 스타2 테테전도... [10] 김연우3534 10/09/06 3534
1609 드디어 다이아 승급했습니다. [3] 훌훌3531 10/09/06 3531
1608 이런 게 스타2의 낭만이 아닐까 싶습니다. [5] 엑시움6852 10/09/05 6852
1606 PgR21 스타2 토너먼트 - 골드 리그 예선 결과! [17] kimbilly2658 10/09/05 2658
1605 PgR21 스타2 토너먼트 - 브론즈 + 실버 예선 결과! [13] kimbilly2738 10/09/05 2738
1604 GSL을 덮어버린 '외쳐라 MM' [106] whynot13531 10/09/05 13531
1603 확장팩 전까지의 블리쟈드 떡밥은 무엇이 남았을까요? [9] 네오크로우4720 10/09/05 4720
1602 스타2 섬멸전용 지도를 만들었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9] 어진나라2881 10/09/05 2881
1601 제가 운영하는 PC방에서 스타2대회를 오늘 합니다... [12] 부평의K3362 10/09/05 3362
1600 저테전 밸런스 [18] 김연우3965 10/09/05 3965
1599 알고보면 무서운 저그이야기 [펌, 스포] [12] 풍경5025 10/09/05 5025
1598 점점 pgr분들과 어울리는 횟수가 늘어납니다. [5] 빼꼼후다닥2717 10/09/05 2717
1597 [PvsT] 불사조 운영 [20] 허느님맙소사3870 10/09/05 3870
1596 완-전 초보의 질문 하나 [8] Lainworks2689 10/09/04 2689
1595 방금 골드리그로 승급을 했습니다. [10] 으랏차차2962 10/09/04 2962
1593 [긴급] 패키지 판매 확정!!! [36] 엔비5461 10/09/04 5461
1592 어쩌다가 GSL VIP 맨 처음에 줄 서 있습니다. [20] kimbilly3905 10/09/04 3905
1591 스타2 속도감은 괜찮으신가요..? [13] 오맙소사3978 10/09/04 3978
1590 저는 바보인가요? [10] 이스트3004 10/09/04 3004
1589 GSL 64강 3전2선승제에 관해... [3] 견랑전설2493 10/09/04 2493
1588 프로토스의 대 저그전 운영하나 소개합니다. [10] 바스데바3091 10/09/04 30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