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18 19:43
먹다라는 의미면 have가 진행형이 가능하지만,
시제가 I always do인 부분을 참고하면 진행형을 사용할 수 없는 해석이 되어 to have로 표현해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진행은 말하는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인데, 자기가 가장 항상 하는 첫번째 것이라고 하였으니까요.
16/05/18 19:55
The first thing you need to do is (to) have a cup of coffee.
The only thing you should do is (to) get in the car. All you have to do is (to) turn off the TV. What you have to do is (to) shut up. 원래 이런 문장들은 to부정사 내지는 동사원형을 써야합니다. (동사원형 쓰는게 더 좋은듯) 얼핏듣기론 중세 영어의 흔적이라고 했던걸로...
16/05/19 17:13
요점만 말씀드리면,
명사적 쓰임의 to 부정사와 ~ing 동명사는 둘다 우리말로 해석할 경우 '~하는 것' 또는 '~하기'로 해석되기에 동일한 것으로 여기시는 분이 많지만, 엄연히 구별되는 개념입니다. to-v는 '앞으로 ~하기','앞으로 ~했던 것'이라는 뉘앙스가 있으며, ~ing는 '옛날부터 ~했던 것'과 같은 뉘앙스가 숨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에 plan, expect, wish 같은 동사 다음엔 ~ing(X) , to-v(O)이며 enjoy, finish 같은 동사다음엔 to-v(x), ~ing(O)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