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16 21:39
저도 평균 표준편차 분산 밖에 모르는 상태에서, 한 일주일 정도 통계와 SPSS, 그리고 [비슷한 다른 논문들의 분석 방법]을 함께 공부하니까 어떻게 데이터를 뽑아야하는지 알게 되더라고요. 상황마다 비교 방법은 다른데 집단-집단 식으로 비교하는건지, 비교 칼럼이 몇 개인지, 아니면 특정 대상(집단)의 결과를 예측하는 건지 사용 방법은 다르므로 비슷한 다른 논문에서 어떻게 뽑아내는지 보고 해당 방법이 적합한지 공부하는게 습득하는데 좋을 것 같아요.
풀타임을 공부에 쓸 수 있으면 일주일이면 여유로운데, 원래 연구실이란게 다른 본인 연구 하면서 도와주는게 흔하다보니 일주일은 조금 모자랄수는 있겠네요.
16/05/16 22:38
이해 없이 아무튼 돌리기만 하실거면 http://yatani.jp/teaching/doku.php?id=hcistats:start 이런거 하나 보고 시작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은 검색검색...
16/05/17 03:42
요즘 이런걸로 장사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통계프로그램을 돌리는 기술적인 부분은 이틀짜리 워크샵만 들어도 어느 정도 완성될 수 있어요.
다만, 연구를 하다보면 의도치 않은 문제나 예상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는데... 그런 이유를 찾으려면 결국 원리를 알아야 되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선배한테 어느 정도까지? 원하는지 구체적으로 물어본 후(1: 통계 프로그램 사용, 2: 통계 프로그램 + 결과해석, 3: 실험 디자인 + 통계 프로그램 + 결과해석) 아이지은님께서 할 수 있는 정도까지만 도와주세요. 개인적으로 자기 논문은 자기가 공부해서 쓰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