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13 11:04:28
Name 신입사원
Subject [질문] 나라별 음식, 그 맛을 왜 내지 못할까요?
이번에 일본 여행 갓다가 왔는데 정말 충격이었습니다.

일본 제빵은 유명하고 세계 제일이다라고 들어왓지만 내 인생에서 제일 맛있는 빵이 편의점에서 덜컥 산 '로루짱'일줄은 몰랏습니다.
크림롤케익?같은 빵이엇는데 크림과 빵의 촉촉함이...

롤케익을 뭐 마시지 않고 그냥 순삭 시킨건 처음이었습니다.

어제 또 도지마롤도 일본에서 사왔는데 이건 또 얼마나 맛있을지...

일본 라면도 '이치란' 이라는 엄청 유명하다는 곳에서 먹었는데 신세계, 맛의 폭풍이었습니다. 나름 라멘 자주 먹었는데 이거는 정말 차원을 달리하는 맛이었습니다..

아무튼 궁금한것은, 뭐 쌀국수 라던지 일본 라멘이라던지 왜 현지의 그 맛을 내지 못할까요?ㅠ

ps 일본은 왜 편의점 빵도 맛잇을까요;; 빵집빵은 그럴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

ps2 아 그리고 제가 해산물 싫어하는데 일본에 간만큼 스시를 먹어봤는데요, 정말 입에 넣자마자 녹더라구요... 이거는 또 뭘까요? 음알못이라... 그냥 생살을 밥위에 올린건데 왜 살이 녹는건지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코난오브라이언
16/04/13 11:11
수정 아이콘
기술 차이도 있을 것이고.... 편의점 빵까지 맛있다고 하시니 생각나는 게, 재료가 다르죠.
우유도 한국 우유가 좀 맛 없는 편이고 특히 계란이 엄청 차이난대요. 일식 요리사들이 한국 와서 요리하면서 말하는게 다른 식재료는 고급으로 가면 거의 차이가 없는데 정말 적응 안 되는게 계란의 차이라고 들었습니다.
일드에서 밥에 날계란이랑 간장 살짝 부어서 먹는 장면 보고 저게 맛있나, 비린내 안나나 하고 갸우뚱했는데 일본 현지 계란으로 하면 엄청 고소해서 맛있다고 하더라구요.
무무무무무무
16/04/13 11:21
수정 아이콘
저도 계란이 가장 결정적인 차이라고 들었습니다. 일단 우리 날계란은 어디까지나 건강식이지 맛으로 먹는 건 아니니.... -_-
복타르
16/04/13 12:0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선 흰달걀을 사용하지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흰달걀이 갈색달걀에 비해서 비리지않고 더 고소한 맛이 나지만, 흰달걀을 구하기가 쉽지않아서
갈색달걀을 쓰다보니 아무래도 맛이 떨어질수밖에 없는 것 같네요.
Galvatron
16/04/13 13:25
수정 아이콘
흰달걀이 왜 더 맛있죠?
16/04/13 14:16
수정 아이콘
흰달걀이 갈색달걀보다 노른자가 더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Galvatron
16/04/13 14:33
수정 아이콘
그런 차이가 있었군요.
인생의 마스터
16/04/13 11:14
수정 아이콘
빵은 물, 밀차이로 맛이 크게 달라진다고 들었습니다.
16/04/13 11:18
수정 아이콘
만화에서 배운 지식인데
나라마다 지역마다 물이달라서 맛이 다르다고 하더군요
같은 품종이여도 지역의 환경에따라 맛이 다르듯이요
Igor.G.Ne
16/04/13 11:19
수정 아이콘
밥맛은 원래 밥집 분위기에 따라 다릅니다.
제가 같은 과자랑 봉지라멘을 일본에서 먹을때랑 우리집에서 먹을때랑 맛이 달라서 깨닳았습니다.
16/04/13 11:20
수정 아이콘
재료가 달라서..
프랑스가서 빵먹으면 또다른 신세계입니다..
신입사원
16/04/13 11:21
수정 아이콘
재료차이가 크군요 ㅠㅠ 감사합니다
정지연
16/04/13 11:24
수정 아이콘
일본은 단맛의 빵으로는 아마 세계최고일겁니다.. 빵의 원류인 유럽쪽보다도 그쪽 계통으로는 더 발달해 있습니다.. 세계 1위랑 비교하니 그 맛을 따라 갈 수 없는게 당연한게 아닐까 합니다.. 제과점빵이 저만치 앞서 달리고 있는데 편의점빵이 어느정도라도 따라가지 못하면 아예 팔리지가 않을테니 더 열심히 달리다 보니 다른 나라의 빵들보다 유난히 더 맛있는거라 봅니다
그리고 현지의 맛과 로컬화한 음식 맛이 달라지는 이유는 그 나라 사람의 취향때문이기도 합니다..
라멘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일본의 라멘을 보면 전반적으로 기름기가 많고 마늘을 안 써서 육수재료의 독특한 냄새가 납니다.. 닭뼈로 끓은 쇼유라멘 같은걸 먹어보면 닭비린내가 확 나는 경우도 있는데 마늘같은거로 냄새를 가리는데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은 못참는 반면 일본인들은 원래 이런게 라멘이니까 하고 잘 먹습니다..
그 맛 그대로 우리나라에 들어오면 소수 매니아에게만 팔리기 때문에 우리나라 입맛에 맞게 맛을 변형하거나 우리나라 사람 입맛에 맞는 스타일의 라멘이 주로 팔리죠.. 우리나라에서 쇼유나 미소라멘이 적고 돈코츠만 살아남은 이유도 돼지뼈 육수가 비교적 우리나라 사람에게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기름은 상대적으로 적죠.. 맵지도 않은게 기름기까지 많으면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어필이 안돼서 전반적으로 기름기를 줄였고 일본 라멘 특유의 느끼함과 고소함이 우리나라에서 만드는 라멘에는 적죠..
또 하나 우리나라 라멘집은 거의 대부분 육수, 면, 챠슈까지 기성품을 사다가 뎁혀서 주는데가 많습니다.. 그래서 라멘전문점으로 소문난 소수 매장 빼면 라멘맛이 다 비슷하고 맛이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헤글러
16/04/13 11:28
수정 아이콘
재료 차이가 크죠. 어느 나라 재료가 좋다 나쁘다를 떠나서 맛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얼마 전에 토마토 넣은 요리를 하려고 했는데 국산 토마토는 싱거워서 요리에는 못 쓰겠더라고요. 하지만 어머니는 식감 좋은 찰토마토라고 좋아하십니다.
자유형다람쥐
16/04/13 11:55
수정 아이콘
ps 2 질문에 대답하자면 일본은 숙성시킨 선어를 써서 우리나라의 활어보다 질감이 훨씬 연하기 때문입니다.
관지림
16/04/13 12:00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는데
빵은 재료90 실력 10일 정도로
재료가ㅡ제일 중요합니다
16/04/13 12:02
수정 아이콘
같은 음식이라도 기후나 물이나 재료에 따라 맛이 다른것 같아요
한국서 소주랑 김치를 들고 일본집에서 먹었는데 서울에서 먹는것과 이상하게 맛이 다른것 같다고 하면 제가 민감한가요??
여기서 만드는 한국 음식 한국 사람이 해도 제대로 하는데 별로 없어요
맥아담스
16/04/13 12:30
수정 아이콘
재료랑 요리사 숙련도 차이?
16/04/13 12:45
수정 아이콘
단순히 재료나 요리 실력 차이를 넘어서, 요식 업계의 인프라 차이가 어마어마합니다. 일본은 식재료 중간 가공 업체가 많고, 이런 업체들 대부분이 그 동안 쌓아온 노하우를 토대로 좋은 재료를 싸게 공급하기 때문에 같은 가격으로도 전혀 다른 퀄리티의 음식이 나올 수 밖에 없어요. 물론 이건 일본이 특출나게 잘하는거지만요. 백종원씨의 목표 중 하나도 한국 요식 업계에 이렇게 탄탄한 인프라를 만들어서 좋은 식재료를 싸게 구할 수 있게 만드는거죠.
16/04/13 12:46
수정 아이콘
1차적으로 재료나 실력의 차이가 분명히 있겠지요..
그리고 또 큰이유가 국내에서 현지맛을 그대로 재현한다고 해서 장사가 잘되는게 아니기 때문일겁니다.
현지화 시켜야 잘팔리죠..
실제로 일본가서 맛때문에 실망하시는분들도 꽤 많습니다..
(음식이 너무 달달하기만 하다던지 여러가지 이유에서요..)
그래서 한국입맛에 맞게 변형하죠 보통..

그리고 회같은경우는 동네 횟집 활어회말고 고급 일식집가면 일본식으로 숙성회 팝니다..
실제로 호텔일식은 일본 최고로 유명한 스시집에서 파견나와서 관리해준다고 하더군요..
오스카
16/04/13 13:02
수정 아이콘
재료 차이, 기술 차이
+현지 맛 그대로 하면 한국에서 안 팔리고 효율도 떨어지기 때문에 적당히 만들어서 파는거죠.
입맛이 달라요. 그리고 본문에 언급하신 이치란은 한국인 입맛에 맞는 라멘집이라 더 맛있게 느끼셨을 겁니다. 실제로 가보면 항상 손님의 1/3 이상은 한국인이죠.
이호철
16/04/13 13:14
수정 아이콘
현지 맛이면 솔직히..
한국식 어레인지된 음식들보다 더 성공하지 못할거라 봅니다.
16/04/13 13:33
수정 아이콘
백종원씨 얘기중에
해외가면 미리 마음의 준비를 하고 먹는다 "느끼할거야, 향신료 쎌거야" 이러다가 먹으면 "생각보다 괜찮네?" 이러는데
똑같은걸 우리나라에서 하면 "느끼하네, 향이 쎄네" 이럴게 된다고
그리고 재료가 너무 틀려요...
한식도 해외 한식은 맛이 틀려요...
신입사원
16/04/13 13:4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현지화+재료군요 ㅠ
Galvatron
16/04/13 13:45
수정 아이콘
제가 볼바에는 음식자체의 맛도 맛이겠지만 먹는 사람 마인드가 큰거 같습니다.
익숙한 맛, 한국인의 입맛 이런거에 집착하는 사람은 뭘먹어도 태클을 걸더군요.
반대로 역시 음식은 현지에서 먹는게 최고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국내에서 파는것과 똑같은걸 내놔도 맛있다고 하는거고.
16/04/13 13:50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같은 프렌차이즈 음식점도 이가게 저가게 맛이 미묘하게 다릅니다.
다 똑같이 만드는거 같은 쌀밥만 해도 집마다 맛이 달라요
Anthony Martial
16/04/13 13:54
수정 아이콘
재료차이가 크죠
16/04/13 16:28
수정 아이콘
도지마롤은 한국에서도 팝니다. 맛 좋죠
16/04/13 17:27
수정 아이콘
제빵하고 요리가 취미인데 재료차이가 큽니다
빵은 농장달걀과 농장우유 밀가루 차이가 크고요

레시피를 보면 자꾸 농장달걀을 사라는데.. 어디서 사라는거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1334 [질문] 어느 방송사 개표방송 보시나요? [4] 조윤희1649 16/04/13 1649
81333 [질문] 자살을 할때 후회를 할까요? [9] 삭제됨3841 16/04/13 3841
81332 [질문] 겜아이서버 친구를 찾을 수 있을까요? 조광래1262 16/04/13 1262
81331 [질문] [잠실]오늘 LGvs롯데 경기 현장 티켓구매 가능할까요?? [6] 오늘은이걸로1600 16/04/13 1600
81330 [질문] [야구] 잠실구장 먹거리 질문입니다. [3] 스파이어깨기1475 16/04/13 1475
81329 [질문] [LOL] 챌린저스코리아 경기 다시보기는 어디서 볼수 있나요? [5] 로즈마리1524 16/04/13 1524
81328 [질문] 투표와 관련된 논쟁에서 A는 어떻게 반박할 수 있나요? [21] G드라군2758 16/04/13 2758
81325 [질문] 투표 도장이 번지면 사표인가요? [10] 태종4018 16/04/13 4018
81324 [질문] ,. [20] 삭제됨2256 16/04/13 2256
81323 [질문] 나라별 음식, 그 맛을 왜 내지 못할까요? [28] 신입사원3019 16/04/13 3019
81321 [질문] 갤럭시 S7 or 엣지 [17] 손금불산입2657 16/04/13 2657
81320 [질문] 선유도 공원에서 멀지 않은 맛집(식당, 까페) 추천 부탁드려요. [1] 미남주인1462 16/04/13 1462
81319 [질문] 자세(척추 등)교정하는 방송 알려주세요.(비타민 같은 느낌) [1] 파란무테1663 16/04/13 1663
81318 [질문] 27인치 플스 겸용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히스조커3144 16/04/13 3144
81317 [질문] 선거당일 선거 전화.. [2] 하나3081 16/04/13 3081
81316 [질문] 정품인데 윈10 프로 정품인증하라고 계속 뜨네요. 해결법? [4] will4521 16/04/13 4521
81314 [질문] 기내에 스프레이, 쉐이빙폼 들고 탈 수 있나요? [7] 2015년10월9일18541 16/04/13 18541
81312 [질문] 빅피처가 무슨 뜻인가요? [17] 하율이아빠27665 16/04/13 27665
81311 [질문] 컴퓨존에서 조립컴퓨터를 샀는데, 하드가 파티션이 나눠져있네요 [5] 마르키아르3254 16/04/13 3254
81310 [질문] 뉴질랜드 6박7일 어떻게 해야할까요? [10] Monte1848 16/04/13 1848
81309 [질문] 예비군훈련 주소지상 주소 말고 다른곳에서 받는 방법 없을가요? [13] 도깽이3936 16/04/13 3936
81308 [질문] [수학] 등비급수 프랙탈문제입니다. [4] 선문선답8139 16/04/13 8139
81307 [질문] 진격의 거인 어떤 걸 봐야하나요? [2] 김여유2072 16/04/13 20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