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25 14:29
무대가 있고, 그 무대에서만 벌어지는 이벤트(공연) 을 촬영하기 위함이라면 3방향 카메라가 좋고 기본적인 포메이션이긴 합니다.
당연히 삼각대는 필수구요, 공연 길이에 따라서 배터리, 또는 전원을 끌어오는데 문제가 없어야 할 거구요. - 객석의 중앙->무대 전체를 커버하는 풀샷(거의 고정) - 객석의 좌, 우측에 한개씩 -> 인물, 사물 등의 클로즈업 샷(바스트샷, 웨스트 샷 등) - 여기서 고려해야 할 사항중 하나는 인물을 두명(투샷) 또는 세명 이상을 잡아줄 수 있는 카메라를 중앙에서 할지, 좌, 우측에 있는 한 카메라에서 할지 아니면 카메라를 중앙에 한대 더 추가해서 갈지 등은 현장 상황, 장비 상황 등에 따라서 판단하시면 될 듯 하고요. - 오디오만 따로 따는 장비가 없다면(여분의 카메라라도) 핸드폰으로 따셔도 무방하나 음질은 둘째 치더라도 추 후 편집시 오디오와 비디오의 싱크를 맞추기가 쉽지는 않을 겁니다. (카메라가 레코딩 될때마다, 또는 레코딩을 중단할때마다 슬레이트를 치는 이유도 오디오 싱크 편집 때문이지요.) - 정 상황이 힘들면 카메라 두대를 가지고도 촬영이 가능하긴 합니다만(센터1기-무대 풀샷+인물 투샷, 쓰리샷 등 / 센터 또 다른1기 - 클로즈업), 아무래도 다각도에서 많은 기록을 하는게 추 후 편집시 선택의 폭이 넓어지죠.(그만큼 시간도 들고 힘도 듭니다만 흐흐) - 객석의 반응등이 필요하거나, 중요한 소품을 클로즈업해야 하는 경우라면 미리 생각해놨다가 간간히 촬영해두면, 장면이 빌때 인서트로 넣기 좋습니다. - 카메라를 여러대 쓴다는 의미는 동일한 장면을 다양한 사이즈로 촬영되기 위함입니다. 두대의 카메라가 똑같이 바스트샷 찍고 있으면 한대는 무용지물이니까, 카메라맨들끼리 잘 협의하셔서 너는 바스트, 웨스트 위주로 찍어라, 너는 풀샷 위주로 찍어라 등 미리 합을 맞추시는게 좋을 겁니다.
16/03/25 15:03
참고로 오디오 관련해서는 공연장의 메인 오디오 믹서기에서 메인 출력되는 곳에서(공연장에서 최종적으로 스피커로 나오는 라인) 출력받아 중앙 픽스되는 카메라에 마이크인 입력하는게 가장 깔끔하고 음량등도 적당하게 들어갈 겁니다~ 슬레이트 친다거나 추 후에 오디오 싱크작업하는게 한결 수월해지죠~
요렇게 소리를 녹음 한다고 하더라도 만일을 위해 중앙 카메라에서 프론트 스피커로로도 동시에 녹음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슬레이트를 쳐야 할 상황이라면, 모든 카메라들이 레코딩을 시작하는 시점과 레코딩을 끝내야 하는 시점이 동일해야 편집시 편하구요.(레코딩 전 또는 레코딩 끝내기 바로 전 에 슬레이트 치는 소리가 각 카메라에 정확히 들어가야 그 점을 기준으로 오디오와 비디오 싱크를 맞춰야 합니다~ 카메라를 다뤄보신 분이 아니시라면 영상 다 찍어놨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소리녹음이 꺼져있어서 소리가 녹음이 안되어 허탕치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카메라맨들은 오디오 레코딩 테스트를 꼭 하시구, 촬영 내내 카메라와 연결된 이어폰으로 실시간 녹음 확인 하는것도 좋구요~
16/03/25 15:54
오늘 렌트하러가는데 라인빼서 입력하는부분도 확인해봐야겠네요
좋은정보 정말 많이 알아갑니다. 슬레이트가 음량으로 컷 맞추기 위한건줄도 처음알았는데 편집할때 편하겠어요 많이 도움받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