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2 11:36:56
Name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Subject [질문] 바둑에는 필승법이 있을까요??
사람은 바둑을 둡니다.
때로는 상대를 윽박지르기도 하고, 때로는 몇수 뒤의 득점을 위해 포석을 깔기도 하고, 때로는 상대의 도발에 발끈하기도 하고 상대의 공격에 위축되기도 하죠. 그런데 이런 바둑의 특징은 이유가 동일합니다. 정확한 계산이 안되기 때문이죠.
흔히 말하는 네가 한수 위다. 라는 표현은 더 미래를 내다본다는 개념입니다. 미래를 위해 현재를 버리기도 하죠. 상대가 내 수를 파악못하면 내게 이득이고, 내 수를 파악하면 서로 무득점이며, 나보다 수를 더 내다보면 내게 실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와는 다른게 이지선다 공격이죠. 한쪽을 살리려면 한쪽을 포기해라. 이것은 상대에게 강제하는 겁니다. 둘 다 살릴 수가 없어요.
먼저 말한 수싸움이 가능한 이유는 오직 하나입니다. 모든 경우의 수를 알 수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알파고는 모든 수를 연산을 통해 내게 유리한지 불리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즉, 간단히 말하면 수싸움으로는 알파고를 이길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반면 이지선다는 상대를 강제하는 겁니다. 둘 중 하나는 포기해라. 즉, 반드시 득점을 할 수 있다는 것이죠. 결국 알파고를 이기려면 계속 싸움을 걸어서 이득을 취해야 한다는 것인데요. 바알못의 입장에서 이런게 가능한가 궁금합니다.
알파고가 최적의 수만 두어도 이길 수 없는.. 그런 경기가 가능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칼리
16/03/12 11:42
수정 아이콘
모든 2인 턴제 추상전략 게임에는 필승법(비기거나 이기는)이 있습니다. 그걸 실제로 찾을 수 있냐는 건 완전히 다른 얘기지만요.

그리고 알파고라고 해도 모든 수를 연산을 통해 내게 유리한 지 불리한 지 알 수는 없습니다.
연산을 할 수 있는 범위가 어마어마하게 넓어보이기는 하지만요.
16/03/12 11:46
수정 아이콘
이지선다의 싸움을 걸어서 선택을 강제한다는게 뭔말인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바둑에서 흑이 유리한건 명백한 사실이고
그 불리함을 보완해주기 위해 백에게는 덤을 줍니다.

근데 그 덤을 0.5집 단위 - 바둑판 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 로 주면서
승부를 강제하게끔 만들죠.

반집단위의 덤이 존재하는한 가장 최적화된 덤을 설정하고
양쪽이 서로 완벽한 바둑을 둔다해도 어느 한쪽은 반집을 지게되겠죠 .. 이게 이긴쪽에선 필승법이라 할 만한 것이고 ..

삼패나 장생 무승부 같은건 논외로 하고요 -_-;
방민아
16/03/12 11:52
수정 아이콘
바알못이지만... 바둑자체가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길과 상대의 질문에 내가 대응하는거 아닌가요??
가지않은길
16/03/12 11:57
수정 아이콘
첫플대로 이론적으로는 있지만 경우의 수가 우주의 원자수 보다 많기 때문에 찾아내기는 알파고가 아닌 신이 와도 불가능 합니다.
16/03/12 12:06
수정 아이콘
양자컴퓨터로는 가능할법합니다.
가지않은길
16/03/12 17:26
수정 아이콘
경우의 수가 우주의 원자수보다 많아지면 우주의 자원을 다쓸 수 있는 컴퓨터가 나와도 불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양자컴퓨터라고 해봤자 일반컴퓨터보다 1억배 정도 빠르다고 알려져있는데 10의 80승 120승 을 말하는 단위에서 1억배 즉 10의 8승배 빨라지는 정도로는 의미가 없습니다.
16/03/12 17:46
수정 아이콘
아닌데요. Brute force로 보면 경우의 수가 (19*19)! 이지만
바둑의 특성상 필요없는 수는 상당히 제외할수 있고 localize할수 있습니다.
병렬계산에 탁월한 성능을 자랑하는 양자컴퓨터로 몬테카를로나 CNN을 풀면
지금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이라고 봅니다. 이렇게 되면 필승법에 가깝게 되겠죠.
가지않은길
16/03/12 18:36
수정 아이콘
일단 바둑의 경우의 수는 (19*19)! 이 아닙니다.
돌을 따낸곳에 다시 둘 수 있고 패싸움이 걸리기도 하면 실제로 400수 넘어가는 일이 흔합니다.
이론적으로 무한대 입니다.

그냥 361 팩토리알이라고 한다 해도 10의 768승입니다.

1억배면 차원이 다른 성능이죠.
양자컴퓨터는 아마 인간 생활양식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기에 충분할 겁니다.
하지만 우주의 원자수나 바둑의 경우의 수 같은 경우는 그 정도와 차원을 달리하는 영역입니다.

타협한다고쳐도 100분의 99가지의 경우의 수를 제끼고 100분의 1만 본다 해도 10의 768승이 10의 766승이 되는 정도에 불과합니다.
더 와닿게 설명하면 100억분의 1가지의 경우의 수만 가지고 필승법이라는 타이틀을 붙일 수 있다해도 10의 758승입니다.
우주의 원자수가 10의 100승 정도구요.
양자컴퓨터라 아니라 인류가 우주의 다크메타나 다크에너지를 이용하여 은하계를 워프하며 자유롭게 이동하는 시대가와도 안됩니다.
16/03/12 19:30
수정 아이콘
Brute force로 시뮬레이션할때에만 361!이나 400!인거지
뇌가 몇조개의 뉴런의 병렬구조인것처럼 CNN같은 머신러닝 알고리듬에 양자컴퓨터의 괴랄한 병렬계산능력을 합치면
현재 하드웨어로는 범접할수없는 필승법에 가까운게 나올수 있다는거죠.
솔로11년차
16/03/12 17:03
수정 아이콘
필승법이라는 건 덤이 있기 때문에 흑에서는 나올 수가 없구요.(나올경우 덤을 늘려가면 되니까요.)
흑이 첫 수를 어디에 두는지와 상관없이 백입장에서 이길 수 있어야하는건데, 그게 가능한지 모르겠어요. 백은 덤을 줄여갈 수 없으니 한계가 있기는 한데, 애초에 덤이 없으면 흑이 유리한데 백에 필승법이 나올 수는 없을거예요.
16/03/12 18:47
수정 아이콘
호선이라면 모르겠는데 호선이라는 자체가 실력차가 있을 때만 적용하는 룰이니까요.
반드시 승부를 내기 위해 공제를 0.5 단위로 끝내는 형국에서 필승법이란 반드시 이겨야만 하는건데 실제로 그런 수가 발견된다면 공제가 바뀌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599 [질문] 해외 해상운송 소포 보내기 관련 [2] macaulay1693 16/03/12 1693
79598 [질문] 음식점에서 밥을먹다가 이가 깨졌을때 어떻게 했어야 하나요? [9] 검정치마3720 16/03/12 3720
79597 [질문] 바둑에는 필승법이 있을까요?? [11]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4005 16/03/12 4005
79596 [질문] 신경치료 질문입니다!! [7] 회색사과1979 16/03/12 1979
79595 [질문] 40만원 미만 디카 추천부탁드립니다 [3] 택배1290 16/03/12 1290
79594 [질문] [LOL] SKT 오더가 없어졌나요? [17] 유노윤하3218 16/03/12 3218
79593 [질문] 아버지에게 이런 문자 받고 기분 나쁘면 이상한건가요?(삭제예정) [54] 삭제됨3306 16/03/12 3306
79592 [질문] 알파고 성능정도 컴퓨터 가격이? [7] will4210 16/03/12 4210
79591 [질문] [스타2] 질문 공중유닛관련 [1] 오구오구1399 16/03/12 1399
79589 [질문] 윈도우7 재설치 [6] 비둘기야 먹자2085 16/03/12 2085
79588 [질문] 바알못인데 바둑도 초반 모험수가 있나요? [3] 이진아2332 16/03/12 2332
79587 [질문] TV 어떤게 좋을까요? [1] 박현준1101 16/03/12 1101
79585 [질문] PC 고장, 어떤 부품이 문제인지 알아내고 싶습니다. [7] 매벌이와쩝쩝이1505 16/03/12 1505
79584 [질문] 알파고와의 남은 경기... 형세 판단 가능한 해설자 없다고 봐도 되겠죠? [25] yangjyess3136 16/03/12 3136
79583 [질문] 개신교와 천주교 신자분들께 질문 [30] 마성의우시오3539 16/03/12 3539
79582 [질문] GTX 750ti 쓸만한가요? [5] 뻐꾸기둘4887 16/03/12 4887
79580 [질문] 제가 비위가 약한걸까요 [6] 무식론자2171 16/03/12 2171
79579 [질문] 알파고때문에 심란합니다. [43] 삭제됨4557 16/03/11 4557
79578 [질문] 원룸-월세 질문입니다. [4] DogSound-_-*2117 16/03/11 2117
79577 [질문] [LOL] MMR과 승률에 관한 질문입니다. [8] Gaudi4075 16/03/11 4075
79576 [질문] 이세돌님이 내일 대국에서요.. [5] bye2841 16/03/11 2841
79575 [질문] 데스크탑에 저장용 하드를 분리해도 컴퓨터 이용에 문제 없나요? [4] 유스티스2042 16/03/11 2042
79574 [질문] [LOL] 일라오이 출전 질문입니다. [10] Rorschach2701 16/03/11 27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