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6 12:23:33
Name 웅진프리
Subject [질문] 고양시 정 (일산서구) 여기 야권 강세지역인가요?
뭐 이번에 처음 투표하는 사람인데 기사를 보니까 새누리당 후보가 험지라고 막 그러더고여 그 새누리당 후보가 학교졸업식 와서 유세도 하고 크크
근데 여기 지역이 그렇게 야권이 강세인 지역인가요?
그리고 민주당 후보가 김현미인데 왠만하면 야당을 찍어주고 싶기는 한데 이분에 대해 잘 몰라서 어떤분인지 소개 좀 해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뻐꾸기둘
16/03/06 12:38
수정 아이콘
고양시라면 근래 다소 야권 강세이기는 하나 험지 수준은 아닐겁니다. 18대 때는 전부 여당이었던 적도 있죠.
웅진프리
16/03/06 12:39
수정 아이콘
18대면 정말 대패한 수준 아닌가요?
뻐꾸기둘
16/03/06 12:47
수정 아이콘
'험지'소리 들으려면 그런 가운데서도 야당이 당선이 되어야 한다고 봐서요.

대선 득표율도 그렇고, 대체로 5% 이내 차이 났던걸로 기억하는데 그정도면 험지라고 하기는 좀 그렇죠. 고양시 투표 성향은 여촌야도 성향이 뚜렷한 편이라 일산 서구나 동구 같은 도시측 선거구는 야권에 좀 유리한 편이긴 하지만, 여당의 호남이나 야당의 영남 같은 급의 험지라는건 그 후보분의 엄살이죠.
웅진프리
16/03/06 13:29
수정 아이콘
아 영남이나 호남급 험지는 아니죠 크크
암튼 듣고 보니 야권 약 강세 수준이네요 그래도 덕양구 빼고는 나머지는 다 민주당 소속 밖에 없어서 상대적으로 안정권 일것 같긴한데요
아무래도 민주당이 당선확율이 높겠죠?
16/03/06 13:08
수정 아이콘
원래 야권이 수도권에서 약우세라는 점을 봤을때 다른 지역에 비해 일산 서구만 특출나게 더 험지라고 할 수는 없겠지요.

이 동네가 GTX 사업부터 시작해서 여러모로 지역구 의원이 뛰어다니면서 굵직굵직한 치적 세우기에 좋은 곳인데 한 정당에서 네 번씩 후보를 내서 전부 물먹었다는건

자기네들의 후달리는 경쟁력을 셀프 시인하는 것이거나, 혹은 현역으로 뛰고 있는 의원들이 지역구 주민들 만족할 정도로 일 잘하고 있다는 반증밖에 안되겠죠.

가져오면 땡큐고 발려도 그냥저냥 견딜만한 지역인지라 말씀하신대로 그냥 엄살입니다 크크...

무엇보다 야권이 압도적인 득표차로 이긴 적이 거의 없어요.

젊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그런지 정당 투표 보다는 일 잘하는 사람 뽑겠다는 기조가 지배적이라 현 고양시장인 최성씨 이전에는 새누리당 의원이 시장 2선씩 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리고 정의당의 유일한 지역구 의원인 (나머지는 전부 비례였던걸로.. 맞나요?) 심상정 의원도 고양시 덕양구 갑 국회의원입니다. 그것도 진짜 한 끗발의 차이로 간신히 신승한거라...
웅진프리
16/03/06 13:25
수정 아이콘
네 심상정 의원이 유일한 지역구 의원 맞습니다 저는 처음 그거 보고 신기하던데요 크크 정말 유명한 분이 의외로 저희 지역 근처 국회의원이여서
그리고 최성 국회의원 같은경우에는 뭐 젊으신 분들도 많고 그리고 저 주위 친구들한테 굉장히 인기가 많아서 (페이스북, 특히 고양이가 대박이죠)
압도적이긴 합니다 근데 나머지 고양시 국회의원같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잘 몰라서..
또니 소프라노
16/03/06 15:48
수정 아이콘
일산은 지금 야권 강세가 맞죠 다들 평가도 괜찮은 의원들이고 심지어 현수막정치도 야권이 더 잘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219 [질문] 태블릿 PC 구매 질문 드립니다 [1] 삭제됨1465 16/03/06 1465
79218 [질문] 헤어진지 1주일.. 너무 힘드네요... [6] 밀크카라멜5903 16/03/06 5903
79217 [질문] [LOL] 금일 IEM 중계질문 [4] 키토1998 16/03/06 1998
79216 [질문] fps 패드로 잘 하시는 분들, 비결이 있나요? [6] 불같은 강속구7037 16/03/06 7037
79215 [질문] 프로듀스 처음으로 투표해 볼려는데 연습생 추천 좀 해주세요. [17] 간디가1847 16/03/06 1847
79214 [질문] fps게임 멀미 극복하신분 계신가요 [8] 교리교리2351 16/03/06 2351
79213 [질문] 이거 차인 거 맞죠? [22] RedSkai3883 16/03/06 3883
79211 [질문] 평소에도 선거게시판에 들어갈 수는 있나요? [4] 미남주인1162 16/03/06 1162
79210 [질문] 명상에 관한 좋은 책 있을까요? 물범1181 16/03/06 1181
79209 [질문] 주차해놨는데 뒷범퍼를 박었네요 [3] 어른이유2091 16/03/06 2091
79208 [질문] 어디서 운동하는게 좋을까요? [10] 메모네이드1852 16/03/06 1852
79207 [질문] 엑셀 함수관련 질문입니다 [2] 장가갈수있을까?1629 16/03/06 1629
79206 [질문] 고양시 정 (일산서구) 여기 야권 강세지역인가요? [7] 웅진프리1699 16/03/06 1699
79205 [질문] 고급 MP3 플레이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제품평가 부탁드립니다.) [3] 페르펙티오2463 16/03/06 2463
79204 [질문] 아재의 기준은? [12] 레인이2073 16/03/06 2073
79203 [질문] 서른 전후이신 분들 일년에 옷값으로 얼마 정도 쓰시나요? [11] airmoo4087 16/03/06 4087
79202 [질문] 재무상담(?), 소득공제, 연금등에 질문드립니다. [8] endeavorhun1518 16/03/06 1518
79201 [질문] 레이저 프린터 추천부탁드립니다 [2] 금빛구름1651 16/03/06 1651
79200 [질문] 임원면접 준비중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순수한사랑1627 16/03/06 1627
79199 [질문] (게이밍)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라떼3811 16/03/06 3811
79198 [질문] 가족과 함께 볼 영화 추천 해주세요. [3] 파랑파랑1281 16/03/06 1281
79197 [질문] [LOL] 탑 캐릭터 흉포 vs 책략 [1] CtheB1977 16/03/06 1977
79196 [질문] 무한도전을 보고.. 저도 상담..? 고민나눔..? 이 하고 싶어졌습니다. [12] MagicMan2646 16/03/06 26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