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2/26 18:07:57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질문] 회사 지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누구라도 지각을 할수 밖에 없는 천재지변과 같은 사유를 제외하고..



부하직원이 한번씩 지각을 한다고 하면.. ( 5~20분 정도..)

어느정도 횟수까지는,

그럴수도 있다고 이해가 될꺼 같으세요?




1. 일년에 5-6번? ( 아니면 그 이상? )


2. 일년에 3-4번 ?


3. 일년에 1-2번?


4. 한번도 이해 못함


5. 기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26 18:08
수정 아이콘
평소 회사생활을 어떻게 하는 직원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2번까진 이해해 볼려고 할 것 같습니다
shadowtaki
16/02/26 18:10
수정 아이콘
회사가 5시 55분부터 퇴근 준비해서 6시 땡하고 나가도 상관없는 회사면 4번
그게 아니면 근무 총량만 맞추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곧미남
16/02/26 18:21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에 공감가네요..
16/02/26 18:14
수정 아이콘
5분 정도면 일년에 5~6번 이해 할 거 같습니다. 20분 지각이면 일년에 1~2번 이해 할 거 같네요.
16/02/26 18:17
수정 아이콘
지각해놓고 칼퇴하면 뭐라고하겠지만 본인이 알아서 늦게온날 늦게 퇴근하면 뭐라 안합니다. 그렇게 안한다면 분기별 3번째쯤 한마디할거 같네요.
박현준
16/02/26 18:18
수정 아이콘
전 하루가 멀다하고 지각하는데 야근, 주말 출근이 너무 잦아서 전혀 죄책감이 없어요.
비둘기야 먹자
16/02/26 18:26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전 보통 11시 쯤 회사 옵니다. 지각이라고 하기도 애매한 범주로 들어와있어요 이미
16/02/26 20:11
수정 아이콘
그게 구성원들 사이에서 일상화되어 있는 거면 전혀 문제 없지요.
다만, 연장근무가 얼마나 잦든 간에 정시 출근을 지향하는 회사라면, 본인이야 죄책감이 없겠지만 평가에는 안 좋을 거에요. 연장근무는 알아서 조절(=축소)하면서 항상 정시출근하는 구성원보다는요.
박현준
16/02/26 20:28
수정 아이콘
알아서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라서요... 물론 야근매일 하고 휴일 꼬박 꼬박 나오면서 정시 출근 까지 해주면야 더 좋은 평가를 받겠죠. 아 월급도 안 받으면 더 좋은 평가를 받겠네요.
16/02/26 20:55
수정 아이콘
야근 두시간 더 + 5분 지각보다,
야근 한시간 더 + 정시출근이
보통은 더 평가받기에 좋다는 의미이니 오해 없길 바랄게요.
물론 공장이든지 설계든지, 전원이 동일하게 정확히 두 시간 추가 야근하는 구조라면 얘기가 다르지요.
박현준
16/02/26 23:09
수정 아이콘
probe님은 일반적인 얘길 하신건데, 마치 저희 회사에서 그렇게 판단한다고 생각 할 수있다고 생각하니 순간 울컥했네요. 업무 특성상 저만 야근 하는 케이스가 많긴 한데
사실 지각으로 안좋게 평가하지도 않고 평가 할 사람도 없어요. 그리고 야근은 보통 6시간 기본 아닌가요... 2시간은 야근이라 하기엔 너무 짧네요. 9시 전 퇴근이면 칼퇴 수준이라...
말머리
16/02/27 00:01
수정 아이콘
6시간 야근이 기본이라.......... 몸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곧미남
16/02/26 18:20
수정 아이콘
1번 정도는 뭐..
스프레차투라
16/02/26 18:21
수정 아이콘
저는 4에 가깝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16/02/26 18:24
수정 아이콘
근무유형에 따라서 다릅니다.
야근이나 잔업, 주말/휴일출근을 자주하는 경우라면 몇분 지각한 것을 문제삼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정시출-퇴근에 근로계약상 근무시간을 회사에서도 지켜주는 경우라면 근무평가상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방민아
16/02/26 18:31
수정 아이콘
전 뭐 매일 지각해도 별로 신경 안 쓸듯합니다.
클레오파트라
16/02/26 18:34
수정 아이콘
근무유형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중등교사인데 교사가 지각하면 당장 조회와 1교시 수업이 펑크가 나서 엄격한것 같구요. 학원에서 일할때는 학교보다는 지각에서 자유롭더군요.
아로하
16/02/26 18:37
수정 아이콘
필요할 떄만 맞춰서 오면 5~20분 정도는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사실 제가 그렇게 지각합니다..)
엔타이어
16/02/26 18:45
수정 아이콘
퇴근 시간에 대해서 4번!
16/02/26 18:53
수정 아이콘
2번까지야 뭐...아침에 계속 늦는건 솔직히 보기 좋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이어트
16/02/26 18:56
수정 아이콘
한달에 한번 정도는 이해가능....
칠리콩까르네
16/02/26 18:57
수정 아이콘
사내 업무 유형에 따라 달리 평가 해야합니다. 믈론 팀워크 및 업무에 조금이라도 차질이 생기면 안되는 거구요.
16/02/26 19:14
수정 아이콘
칼퇴 보장이면 지각 한달에 한번
어깨넓은남자
16/02/26 19:27
수정 아이콘
자신에게 적용한다면 저는 4번..친구 약속도 늦는거 싫어합니다.
부하직원이라면..2번!
전 직장 상사는 하루에 5~10분은 정말 하루도 안빠지고 매일 늦는걸 보고
매일 같은 시간만큼 늦는거면 그만큼만 빨리나오면 될텐데..하고 이해를 못했었습니다.
후천적파오후
16/02/26 19:28
수정 아이콘
1이요. 두달에 한번꼴인데 5~20분 정도면.. 뭐 한소리는 하겠지만 이해가능 범주라 생각합니다..
물론 그이상은 naver..
맹꽁이
16/02/26 19:31
수정 아이콘
스스로 4번. 다른 사람에게도 4번.
16/02/26 19:34
수정 아이콘
저희는 1분이라도 늦으면 자동 반일휴가입니다. 이게 맞다고 생각해요.
16/02/26 20:07
수정 아이콘
1분이라도 연장근무할 때마다
자동 반일치 일급 지급되는거라면
저도 이 의견에 찬성.
16/02/26 19:38
수정 아이콘
3번이요
파란아게하
16/02/26 20:00
수정 아이콘
1년에한번은 봐줌
동네형
16/02/26 22:10
수정 아이콘
퇴근시긴 맞춰주는거 아니면야 근무시간 총량이맞다고 봅니다.
김수빈
16/02/26 23:10
수정 아이콘
4번이요. 약속 늦는것 싫어해서요
메모네이드
16/02/26 23:31
수정 아이콘
진짜 천재지변아니고서 매번 지각없이 출근하는게 가능한가요? 저는 자유로운 회사 다녀서 그랬는지 회사에 주 4일씩 지각하는 분들도 굉장히 많이 봤거든요. (이런 분들이 지각 안하는 건 그냥 퇴근을 안하신거)
다들 직장생활 하느라 고생이 많으시네요..
Lich_King
16/02/27 00:18
수정 아이콘
음 본인이 아니고 '상사' 입장에서 본다면 지각 하는것은 천재지변이나 이런건 어쩔수 없겠지만 보통 '정신상태'가 문제라고 보여지는 경우가 많아서 시간 유무 및 횟수에 따라서 좋아할 사람이 없을것 같네요. 그만큼 회사가 우선순위에서 밀린다는 거거든요. 그리고 경험상 지각하면 그사람은 시작부터 하루동일 어수선하고 준비가 덜되어서 진행될 확률이 높죠.
yangjyess
16/02/27 06:45
수정 아이콘
지각은 그 사람 정신상태 (2)
사이버포뮬러
16/02/27 07:07
수정 아이콘
4.
돈 받고 하는 일이잖아요.
16/02/27 21:18
수정 아이콘
전혀 상관 없어요.
저런다고 저에게 지장 주지도 않고 일 하는데도 별 무리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8770 [질문] [하스스톤] 상성 관련 질문입니다. [23] 지나가는회원12055 16/02/27 2055
78769 [질문] 천재를 다룬 영화가 있을까요? [26] 핸드레이크5958 16/02/27 5958
78768 [질문] 다리 꿀렁꿀렁 [3] 여유를갖자1975 16/02/26 1975
78767 [질문] 고전 오락실 슈팅 게임 제목 찾아요~ [2] 몰아치는간지폭풍1827 16/02/26 1827
78766 [질문] 엑셀 질문이에요~ [2] Petrus1411 16/02/26 1411
78765 [질문] [히어로즈] 히어로즈 고수분들 질문 좀.. [6] 베컴1716 16/02/26 1716
78764 [질문] 돈까스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34] 현실적인3200 16/02/26 3200
78763 [질문] 본적이랑 원적은 부모님에게서 이어 받는 건가요? [2] 감정과잉4304 16/02/26 4304
78762 [질문] 고성능 노트북 구매 도움 부탁드립니다. [8] 긴 하루의 끝에서2648 16/02/26 2648
78761 [질문] 핸드폰 구입좀 도와주세요..ㅠㅠ [8] 대장햄토리2166 16/02/26 2166
78760 [질문] 휴게시간 챙겨주는 곳 있나요? [13] Facebook2419 16/02/26 2419
78759 [질문] 강원도 여행(강원랜드, 강릉) 먹을거 추천 [10] 쌍갈매기2694 16/02/26 2694
78758 [질문] 타블렛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어느새주말1800 16/02/26 1800
78756 [질문] 달필가 피지알 글들을 찾습니다. [1] History1577 16/02/26 1577
78755 [질문] 주말 기념으로 쓸때 없는 질문을.... 만약 일본이 2차 대전에서 미국이랑 싸우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17] 유라2699 16/02/26 2699
78754 [질문] ios 동영상 플레이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코우사카 호노카1821 16/02/26 1821
78753 [질문] 월요일 아침을 즐겁게 맞이하는 자신만의 노하우 있으신가요? [20] 냠냠이2038 16/02/26 2038
78752 [질문] 회사 지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7] 마르키아르10377 16/02/26 10377
78751 [질문] 외환딜러랑 트레이더가 같은 일을 한다고 보는건가요? [5] 콩콩지2689 16/02/26 2689
78750 [질문] KT 핸드폰 보험.. 좀 이상하네요 [3] Owen2748 16/02/26 2748
78749 [질문] 컴퓨터 전원 꺼진상태에서 usb전력 사용 [15] HeavenlySeal9697 16/02/26 9697
78748 [질문] 좌파 = 사회주의자. 동의어입니까? [36] 삭제됨3288 16/02/26 3288
78747 [질문] 보통 첫출근 복장(남자)이 어떻게 되나요? [17] 아이뽕9872 16/02/26 98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