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06 11:24:43
Name 카페알파
Subject [질문] 노트북 구입 조언 부탁드립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전에 컴퓨터 조립 관련해서 몇 번 문의 글을 올렸었는데, 갑자기 노트북도 같이 구매해야 되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근데, 제가 거의 노트북은 거의 쓰질 않아서, 잘 모르겠더군요. 하여튼 다나와 등등에서 원하는 조건을 찾아 검색해 보았습니다. 아, 용도는 다소의 사무적 일처리와 다소의 게임(요건 제 사욕입니당~)을 위한 것입니다.

제가 찾았던 조건은 ─

일단 화면 크기는 15인치대, 메모리는 8GB, SDD 500 GB 나 512 GB (혹은 SSD 256 GB + HDD 1TB), 그래픽 카드는 Geforce GTX 1050, 1050 Ti, !060 중 하나, 비디오 메모리는  4GB 이상, OS 는 윈도우즈 10 혹은 미설치...... 대충 요렇게 잡았습니다. 무게는 3kg 이하로 하였구요. 가끔 들고 다니기도 할 거라 조금 무겁게 잡은 것같기도 한데, 그래픽 카드를 쓰기 위해선 어느 정도는 포기해야 할 듯 싶었습니다. 아, 가격대는 윈도우 10 설치 버전은 최저가 130만 이하, 미설치 버전은 110만 이하로 잡았습니다.

해서 후보로 잡은 것은

1. ASUS TUF FX504GD-Falcon
- 알아본 제품 중에 가장 무난한 것 같더군요. 가성비도 좋은 편인 것 같고 ASUS 노트북들이 전반적으로 평가가 좋은 것 같고 A/S 도 뭐, 삼성이나 LG 만큼 편리하진 않지만 나름 괜찮은 것 같고...... 하여튼 제가 생각한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2. ASUS TUF FX504GD-Spirit
- 위의 것과 비슷한데, 다만 저장 장치가 SSD 256 GB + HDD 1TB 로 다릅니다. 원래 위의 것보다 먼저 고려했던 모델인데, HDD 가 여기저기 들고 다니는 노트북 특성상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해서 일단 우선 순위를 내렸습니다.

3. DELL G3 15 3579 D107KR
- 가성비가 위 ASUS 노트북들에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오히려 그래픽 카드가 GTX 1050 Ti 로 강점이 있네요. 조금 더 비싸긴 한데, 뭐, 그래픽 카드를 생각해 보면 그렇게 더 비싸다고 할 수도 없을 것 같구요. 다만 어디에 나온 대로 AS가 '아주 죽여주는 서비스' 와 '아주 죽여 버리고 싶은 서비스' 가 공존하는 것 같아 그게 좀 걸립니다. 인터넷 찾아보면 AS 에 관해 이런저런 말들도 많은 것 같고요. 더구나 저는 지방 중소 도시에 살아서...... 이 부분은 겪어 보시거나 잘 알고 계시는 분의 상세한 설명을 들어봤으면 좋겠네요. AS 쪽만 괜찮으면 제가 생각한 것 중 최선의 선택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4. DELL 인스피론 15 7577 D801KR
- 위의 DELL G3 와 스토리지 빼면 사양은 비슷해 보입니다. 스토리지는 SSD 256 GB + HDD 1TB 네요. 그래픽 카드는 역시 GTX 1050 Ti 고요. 이 버전은 윈도우 10 이 호함되어 있지 않지만, 가격이 그만큼 더 싸네요. 다만, 이 제품군의 게이밍용으로 간 것이 G 군이라서(위의 G3 포함), 떨이 판매하는 것 아닌가 하는 느낌이 약간 있긴 합니다. 이전 세대라는 느낌도 좀 들긴 하구요.

5. HP 오멘 15-ce067TX-R
- 가격, 가격대 성능비, 성능 다 무난한 것 같고, 서비스도 나쁘지 않은 것 같은데(제가 사는 곳에도 서비스 센터가 있습니다.), 디자인이 좀 지나치게 강해 '나 게임용 노트북이요' 하는 것 같아 그게 좀 걸리네요.

6. ASUS TUF FX504GM-EN003
- 이건 GTX 1060 이 달렸으며 커피레이크 CPU 를 장착한 물건이긴 한데, 결정적으로 SSD 가 없이 HDD 만 1TB 있는 물건입니다. 여기저기 들고 다니는 노트북 특성 상 손상될 가능성이 좀 있는 저장 매체라 망설여지긴 하네요. 하긴 약 14년 전에 산 도시바 노트북도 HDD(당시엔 SSD 가 없었고 모두 HDD 였습니다.)에 별 문제가 없었던 걸 보면 말이 그렇지 HDD 라는 것이 쉽게 고장나는 물건이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SDD와 HDD 를 동시에 썼으면서 GTX 1060 을 사용한 물건이 없는 건 아닌데, 다 예산 초과라서...... 아, 그리고 GTX 1060 이 전기를 먹는 정도를 생각하면 1050 이나 G1050 Ti 에서 합의를 봐야 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7. 삼성전자 Odyssey NT800G5M-X59S
- 위의 조건도 어느 정도 만족시키고, 삼성 것인데도 비교적 저렴한 편이며, 결정적으로 '예뻐서' 일단 관심군에는 넣었습니다만, 어디서 보니 노트북, 특히 게이밍 노트북은 삼성 거 사는 거 아니라더군요. 발열이 아주 죽여 준다는.......(근데, 일부 사용기에는 발열 괜찮다고 된 것고 있어서 어느 게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 삼성 것인 만큼 서비스는 여기 나온 다른 제품보다는 좋을 것이라는 건 장점이겠고, 무엇보다도 "예쁩니다.'


일단 위의 노트북 중에서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순서는 무작위가 아니라 구입 가능성이 높은 순이구요. 일단 DELL 이 AS 만 괜찮으면 우선순위에 놓고 싶긴 한데(어쨌든 비디오 카드 사양이 제일 위니까요.), 일단 AS 가 걸리고, 또 화면이 좀 뿌옇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뭐, 이보다 좀 더 금액을 지불할 수 있으면 제가 원하는 사양을 좀 더 마음껏 고를 수 있겠지만, 일단 지금 데스크탑 컴퓨터와 동시에 노트북을 구매해야 되는 상황이라 예산이 아주 넉넉하진 않아서요. 앞서 말씀드린 대로 윈도우 미탑재 제품이면 110만 이하, 윈도우 10 탑재 제품이면 130만 이하에서 고르려고 합니다.

그럼, 조언이나 혹시 다른 제품 추천할 것이 있으시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P.S. - 아, 참. 그리고 노트북 구입시 다나와에서 '최저가' 로 표시된 곳에서 사도 별 문제는 없을까요? 가격 차이가 좀 나는 경우도 있던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06 1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의 경우엔 아는 쇼핑몰이 아닌 이상 오픈마켓 위주로 삽니다. 여태 크게 문제 생긴적은 없었네요.
가격차이가 꽤 나는 경우엔 아마 현금몰일 가능성이 높을 겁니다.

일단 노트북으로써 구매하는 이상 무게를 좀 보는게 좋죠.
제품들 보니 대체로 게이밍 노트북들인데 다들 한무게할거 같네요.
들고 다닐일이 좀 있으면 성능이고 모고 떠나서 무게가 최우선 입니다.
AS는 뭐 삼성 엘지 빼고는 나머지는 정말 케바케가 정말 심합니다.
레노버나 한성 같은 악평 듣는곳도 개인에 따라서 괜찮았는데 하시는 분도 많고요.

글구 OS 있는 버젼과 없는 버젼의 차이가 대략 10정도 차이 일텐데
왠만하면 있는거 사세요.
따로 사서 구매하는거도 좋은 방법이지만
OS가 있으면 복구솔루션이 장착 되어있는데 윈도우 재설치는 간단하게 할수 있어도
재설치 할때의 편의성이 넘사벽의 차이죠.
나스이즈라잌
18/08/06 12:09
수정 아이콘
윗분말대로 차로 이동하시는거 아니면 가벼운거 추천합니다..

현재 그나마 가벼운거로 타협해서 1.9킬로 짜리 쓰는데 어댑터 마우스 합치면... 여름에는 진짜 못할짓이더군요 크크
수정비
18/08/06 12:25
수정 아이콘
asus 제품의 경우 부품 추가 장착이 그리 어려운 부분은 아니라서,
6번 제품에 하드를 떼어내고 규격에 맞는 ssd를 교체 장착 하시는 방법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화잇밀크러버
18/08/06 13:28
수정 아이콘
DELL 인스피론 15 7577 D801KR 쓰는 중인데 델 자체는 좋다고 봅니다. 그래도 이왕이면 G3사세요.
AS는 택배가 안되는게 너무 큽니다... 이 전 노트북도 델이여서 제 잘못으로 수리받았었는데 왔다갔다하기 힘들었네요.
서비스 자체는 괜찮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193 [삭제예정] 누나 및 여자친구 생일선물 질문드립니다. [16] 루체른9148 18/08/06 9148
123192 [질문] 다키스트던전, 다키스톤 뭐 부터 할까요? [11] 말하는푸들3256 18/08/06 3256
123191 [질문] 메갈 워마드 남혐 이런거 진짜 큰이슈인가요? 현실에서도 관심사나 대화소재가 되나요? [53] Secundo3935 18/08/06 3935
123190 [질문] 7월27일부터 어제까지 LCK 추천경기 부탁드립니다~~ [5] Maiev Shadowsong1458 18/08/06 1458
123189 [질문] 조조전 온라인하는 조린이 입니다. [11] 비상하는로그2914 18/08/06 2914
123188 [질문] 3M 스카치 매직테이프 질문입니다. [2] 무가당1564 18/08/06 1564
123187 [질문] 해외 송금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2] SlaSh.1511 18/08/06 1511
123186 [질문] 노트북 구입 조언 부탁드립니다. [4] 카페알파3817 18/08/06 3817
123185 [질문] 그래픽카드 쿨러오일 도포질문 Tyler Durden2173 18/08/06 2173
123184 [질문] 서울 아파트 시세 실화인가요.. [84] 해먹5599 18/08/06 5599
123183 [질문] 인생 상담 좀 부탁드립니다.(공무원 시험 관련) [91] 밴더8354 18/08/06 8354
123182 [질문] 다음주 발리 여행 예정인데 취소각인가요? [7] 속보2846 18/08/06 2846
123181 [질문] 하이볼, 진토닉 안주 뭐가 좋을까요? [5] 톰슨가젤연탄구이12829 18/08/06 12829
123180 [질문] cpu 점유율이 높아질때 팬소리가 위잉~하고 크게 나는데요. [18] Ahri6459 18/08/06 6459
123179 [질문] SQL 쿼리문 질문입니다! (LOL을 예시로..) [4] 츄지Heart1448 18/08/06 1448
123178 [질문] 저탄고지 - 필라델피아 크림치즈 괜찮나요? [8] 분당선12153 18/08/06 12153
123177 [질문] [LOL] 상대 스킬 빠진거 채팅창으로 브리핑하는 법 [5] Rebirth9019 18/08/06 9019
123176 [질문] 미네아폴리스 미네소타 인터넷 뭐가 좋은가요? [1] 아마데1672 18/08/06 1672
123175 [질문] 각자의 멘탈 힐링 방법 좀 공유해주세요~ [16] VrynsProgidy3137 18/08/06 3137
123174 [질문] 컨트롤 연습맵 어디서 구하면 되나요? F.Nietzsche1885 18/08/05 1885
123173 [질문] 진지하게 페미니즘 때문에 이민을 준비하시는 분도 있나요? [131] 한이연8219 18/08/05 8219
123172 [질문] 모니터 높이 조절 방법이 궁금합니다. [6] 플플토5245 18/08/05 5245
123171 [질문] 이달의소녀 팬덤층 관련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 1022876 18/08/05 28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