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5 15:45:12
Name 트위스터
Subject [질문] 가등기와 상속 문제 아시는 분 계실까요?
저희 어머니와 아버지는 초혼 후 재혼하신 경우인데요.

1. 초혼
어머니 : 초혼 시 3남매
아버지 : 초혼 시 2남매

2. 초혼 이혼 후 재혼
이혼 후 재혼하여 저를 낳으심
(불륜은 아니에요. 첫 이혼 후 근 10년 뒤에 만나심..)

3. 이혼
이혼 당시 공동 재산이었던 아파트를 아버지가 어머니한테 조건부로 주셨는데요. 현 명의는 어머님 명의로 하되 20년 후 저에게 소유권을 넘긴다는 내용으로, 20년 기한 가등기 예약을 제 이름으로 해 주셨습니다.

이제 어머니가 나이가 많이 드셔서 상속, 증여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가등기 완료 시점은 10년 후지만 아마 그 전에 물려받을 것 같아요.

제가 궁금한 건 이 경우에도 이부남매 분들이 상속분을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1) 증여 시점으로부터 10년 내 증여해주신 분이 사망하실 경우
상속분으로 인정된다고 하는데, 이것 또한 그 케이스에 해당하는지.
(어머니 쪽 이부남매들)

2) 상속으로 받을 경우에도 이부남매들이 상속분을 주장할 수 있는지요?

이부남매들과는 전혀 왕래가 없어 애매하네요.
어머니와 왕래가 있으신 분은 한 분 정도 계시고... 나머지는 연락을 다 끊으셨구요.
나중에 상속 시 가등기가 있으면 바로 본등기 처리가 가능한 건지,
나머지 이부남매들을 하나하나 찾아다니면서 유류분 상속 포기를 받아야 제가 받을 수 있는건지
어머니께서 알아오라 하시는데 아는 지식이 없어서 머리가 아프네요. ㅠㅠ
변호사 찾아갈 예정인데 그 전에 대충이라도 알아보고 가야 할 것같아 문의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25 16:12
수정 아이콘
3번에 나오는 '어머니'는 아버님의 전 부인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어머니가 두 분 나오니 헷갈리네요.
트위스터
18/07/25 16:17
수정 아이콘
어머니는 저희 어머니입니다. ^^

아버님의 전 부인, 어머니의 전 남편은 모두 돌아가셨습니다!
18/07/25 16: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이혼 당시 공동재산'이었던 이라고 표기하셔서 제가 혼선을 겪었습니다.

정리하자면,

가. A(글쓴이의 아버지)는 B(글쓴이의 어머니)에게 아파트를 증여하는 대신, 20년 후 A와 B의 아들 C(글쓴이)에게 다시 증여하기로 하였다.
나. B에게는 A와 결혼하기 이전 제3자와의 사이에서 낳은 남매가 3명(D,E,F) 있었다.

인 것인가요?

우선 이 경우, C,D,E,F가 B의 공동상속인이 됩니다. A와 B간에 체결된 계약 내용은 전형적인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 보이는데, 어떤 계약서를 작성하셨는지는 모르겠으나 계약상 20년 이후에 소유권이전등기를 하기로 하였다면, B가 사망한다고 바로 C가 본등기를 구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달리 상속재산분할협의가 없는 한 우선 공동상속인 C,D,E의 공유로 귀속된 후, 계약 체결 이후 20년이 경과한 후 C가 D,E,F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그 후에도 문제인데.. 공동상속인 사이에 이루어진 증여는 증여시점과 관계없이 모두 유류분에 산입되므로, D,E,F는 C에게 증여된 부동산에 대하여 유류분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류분반환청구권을 포기하는 약정은 효력이 없으므로, 유류분을 포기했다는 확인서 등을 받는다고 하여도 큰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모든게 공동상속인들이 유류분반환청구를 한다는 전제하에 하는 얘기이긴 한데, 만약 청구한다면 쉽게 방어할 방법이 떠오르지는 않네요. 어머니 돌아가시기 1년 전에 아버님께 증여를 한다면 어머님 쪽 상속인들은 유류분반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겠지만, 이 경우 아버님 쪽의 공동상속인들이 유류분반환청구를 할 수 있어서..
트위스터
18/07/25 17:17
수정 아이콘
그러면 실질적으로 가등기는 효력이 없는 것인가요? 어머니의 전 남편 자식(이부남매들)의 경우, 1명을 제외하고는 어머니와 연락을 끊은 상태입니다.

아마 유류분 청구소송을 하시지는 않을 것 같은데.. 상속으로 받을 경우 제가 일일히 찾아다니면서 상속포기를 요청드리는 게 죄송하고 민망해서; 최대한 이런 일은 안 만들고 싶은데요.

증여를 차라리 미리 받으면 상속포기 요청을 안 드릴 수 있을까요?;; 나중에 유류분 소송을 하시겠다면 그건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ㅠㅠ
18/07/26 02:10
수정 아이콘
가등기는 상속과 유류분에 있어서는 특별한 의미가 없습니다. 증여를 미리 받으면 재산이 글쓴이님 명의가 되서 어머니가 돌아가셔도 이부남매들에게 상속이 되지 않으므로, 상속포기 요청을 드릴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이 경우 증여세는 납부하셔야겠죠.

사실 유류분반환소송을 하려면 일단 어머니께 재산이 있고 그게 글쓴이께 증여됐다는 건 알아야 할텐데, 연락이 안 닿은지 오래됐다면 그걸 알기도 어렵겠네요.
트위스터
18/07/26 10:58
수정 아이콘
아하 네, 자세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트위스터
18/07/25 17:18
수정 아이콘
더불어 복잡한 내용인데 읽어주시고 정말 장문의 정성어린 답변까지 정말 감사드립니다! 복 받으실 거예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767 [질문] 타이 마사지 받고 왔는데요. [10] 파란무테3855 18/07/25 3855
122766 [질문] IT 프로그래머님들께 질문 [21] NCS2770 18/07/25 2770
122765 [질문] 아우디a3 할인에 관해 아시는분 있나요? [15] 정력왕3653 18/07/25 3653
122764 [질문] 중고거래 잘잘못 여부 판단 부탁드립니다. [16] 마담리프3244 18/07/25 3244
122763 [질문] 달의 지형에서 높이를 측정할 때 기준점은 어디인가요? [5] 쌍둥이아빠1893 18/07/25 1893
122762 [질문] 가등기와 상속 문제 아시는 분 계실까요? [7] 트위스터2661 18/07/25 2661
122761 [질문] 코엑스 데이트 코스 어떻게 잡아야하나요?? [8] 미라클신화10354 18/07/25 10354
122760 [질문] 턱걸이 정체기 극복 [6] 치느5443 18/07/25 5443
122758 [질문] 아마존 반품이나 교환 해보신분 ㅠ.ㅠ... [2] 현직백수2005 18/07/25 2005
122757 [질문] PS4 프로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6] Practice3902 18/07/25 3902
122756 [질문] 롤드컵에 SKT, KT, 그리핀이 다 나가려면 어떻게 되야 하죠? [14] Dunn2966 18/07/25 2966
122755 [질문] Windows 7 질문입니다 [2] 김치찌개1468 18/07/25 1468
122754 [질문] 1인군단 별명 데프트? 마타? [14] Arca3278 18/07/25 3278
122753 [질문] 고전 오락실 게임 질문 드립니다. [3] Slip Away 1746 18/07/25 1746
122752 [질문] 한국에 오랫만에 온 미국유학생한테 구경시켜줄 곳이 있을까요? [14] 바보탱이2918 18/07/25 2918
122751 [질문] 혼자 앉을 수 있는 아기는 점퍼루 오래 태워도 되나요? [8] 비싼치킨2394 18/07/25 2394
122750 [질문] 호텔 추천 부탁드려요 [5] 품의서작성중2194 18/07/25 2194
122749 [질문] 트렁크 공간 확보관련 [7] 탄야2009 18/07/25 2009
122747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카페알파3145 18/07/25 3145
122746 [질문] 응답하라 시리즈중 최고는 무엇인가요? [28] 돈키호테2594 18/07/25 2594
122745 [질문] 남자분들 여름에 반팔 안에 뭐 입으시나요? [53] 밀크카라멜31598 18/07/25 31598
122744 [질문] 노회찬 의원의 사망으로, 원내교섭단체는 어떻게 되나요? [2] 파란무테2588 18/07/25 2588
122743 [질문] 몽골 울란바트로 방문 예정입니다 [11] 지니팅커벨여행1935 18/07/25 19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