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4 14:48
아 K버젼은 오버클럭?을 해야 뽕을 뽑는다던데 제가 게임 등 외에는 문외한인 컴맹인지라 그런거 만질 줄을 몰라요 크크 그래서 안 골랐습니다.
18/07/14 15:45
용도는 게임이겠...죠?
ssd는 지금고른게 m.2가 아니면 m.2 삼성 850 evo 추천합니다. 파워는 시소닉 or 델타 제품추천합니다. 케이스가 cox a5 이건가요? 후기를 보니 쿨링성능이 별로라는데 비싼부품 쓰시는데 케이스도 비싼거 가시죠 L530 추천합니다 고객에 미친회사인 3rsys껍니다. (다른의미로 qc도 미쳤지만...)
18/07/15 13:28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bs5060&logNo=22125862571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파워는 이거 참고했습니다. 위에 오타가났는데 m.2 삼성 860 evo 입니다. 예산에 여유가 있으시면 삼성 970 evo m.2 NVMe 로 가시구요
18/07/14 16:38
(수정됨) 어느정도 이상의 고급 견적이고 앞으로 업을 하면 했지 뒤로는 안갈듯 하신데... 파원와 SSD는 조금더 넉넉하게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파워 750 정도 SSD는 nvme던 아니던 512급으로... (파워는 600정도가 지금은 괜찮아도 후에1080이나 조금더 위로 가게되면 살짝 아쉬울수도 있어서... 보통 1070급 가시는 월급쟁이 분들은 늦던 빠르던 1080급 까지 가는것 같더군요.)
18/07/14 18:48
(수정됨)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보느듣 8700을 가실꺼면 Z보드가 의미가 없으니 MSI 제품을 하실꺼라면 박격포,박주카 제품을 추천합니다.(MSI는 AS가 없다고 보시고 저렴한거 사시는게 좋습니다) 그래픽카드는 점수놀이가 목적이 아니라면 1070TI 나 1070의 체감상 성능차이가 많이 나지 않습니다. 그런고로 1070을 추천하면 요즘 특가 할인을 많이 하고 있으니 찬스를 노려서 1080을 노려 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MSI는 AS가 없다고 생각하시고 싼맛에 구매 하시는걸로... 요즘 할인 찬스가 많습니다. 드래곤볼을 추천합니다. SSD는 닥치고 삼성.. 윗분이 NVME를 추천 하셨는데.. 인코딩이나 그런걸 하지 않는다면... 추천하지 않겠습니다. 지금 860EVO,PRO,960EVO,PRO,970PRO를 모두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시 큰 체감의 차이는 없습니다. M.2계열을 필요치 않다면 SSD 2.5 의 860EVO가 무난하니 그대로 진행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M.2에 생각이 있으시다면 발열판을 꼭 구매 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하드는 1,2테라는 지금 거이 불량율이 많이 낮아져서 안정권이니 WD 제품도 좋아 보입니다. 파워는 지금 사양에.. 조금 낮을수도 있다고 느껴지는것이 추후 그래픽카드의 업그레이드를 전혀 고려 하지 않으신것도 있어 보입니다... 지금 시소닉 제품이 가격을 많이 내려서 판매 하고 있습니다. 시소닉/FSP 두회사 제품을 추천 드립니다.(델타 파워는 멀티 레일 방식을 고수하고 있어 추천 하지 않겠습니다.) 용량이 없어 추가합니다. 용량은 750W 제품을 추천합니다. 케이스는 통풍이 되지 않는 전면 아크릴 케이스이네요..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겠습니다. 저도 이쁨에 전면 아크릴 케이스를 구매 하였지만 발열문제로 고생하였고 8700 제품군을 구매 하실꺼라면.... 추천하지 않겠습니다. 추후 업그레이드 까지 고려 하신다면 통풍이 잘되는 제품을 찾으시는것이 좋을것으로 보이며 아니면 시스템 쿨러(성능좋은)로 도배하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전면 아크릴 케이스의 경우 시스템 쿨러로 도배해도 발열이 문제 있는 녀석은 문제가 있습니다.) 저렴한 녀석중에 전문 매쉬 제품은 앱코 아수라 정도가 괜찮지만 앱코의 경우 호불호가 있으며 개인적 추천은 실버스톤 프리메라를 추천하지만... 못생겼습니다...가격도 비싼편.... 아직도 아마존 국내 무료배송기간인지 모르겠으나 직구 찬스를 노려보시는게 어떻실지 쿨러를 공냉쿨러를 사용하시는것으로 보이니 CPU 쿨러도 사이키 무겐5,딥쿨 넵트윈을 추천하겠습니다. 갬맥보다는 안정적일것으로 생각됩니다. 어떤 용도로 구매 하시려는건지 혹은 어떤컨셉으로 조립을 하시려는 건지 없어서 좀더 자세히 제품 추천을 못해드리겠네요 ^^
18/07/15 10:53
아하 1080은 고해상도? 용이라길래 어차피 그쪽으로는 욕심이 없어서 빼놨는데 지금은 더 좋은 대안일 수도 있겠군요. 참고하겠습니다!
그럼 케이스와 파워를 한번 변경해보겠습니다! 자세한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용도는 거의 게임용에 엑셀하고 SPSS를 업무용도로 쓸 건데 뭐 주로 게임할 겁니다 집 컴퓨터니까 크크크크
18/07/14 18:48
윗댓글님의 말에 좀더 추가하면,
견적을 짤때 저는 항상 파워랑 SSD는 조금 더 넉넉하게 (여유가 된다면 말이죠) 가져가는게 거시적으로 보았을때 매우 이득이라고 봐요 지금 당장은 문제 없지만 나중에 업그레이드를 할때 (그리고 사람의 마음은 간사해서 나중엔 또 업그레이드를 바라죠) 다른 부품만 바꾸면되니까요. 반면에 파워를 현재 스펙에 딱 맞게 가져가면 파워도 새로사야하죠
18/07/14 18:52
(수정됨) 개인적으로는 사용되는 CPU,그래픽카드 사용량을 계산해서 전체 사용량에 30%정도 남기는걸 추천 합니다....
이유는 파워는 죽을때 친구와 함께 죽기때문에 좋고 용량이 큰걸 추천합니다. SSD는 여유가 된다는 조건이 걸리긴 하지만 컨트롤러와 공정을 꼭확인하시고 구매 하시고 그냥 모를때는 삼성을 구매하시는게 좋습니다. 노바님 말씀처럼 넉넉하면 좋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