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28 21:02:17
Name Julia
Subject [질문] 기혼이신데 집 구매에 관심없는 분 계신가요?
친구가 결혼 이제 3년차인데 자기는 집 안 사고 계속 전세로 살거라고 경기도 쪽 신도시 새 아파트에 전세대출 풀로 받아서 넓은 집에 살더군요. 전세값이 외곽이라 싸긴 하더라구요. 아이 계획 없고 50평 가까운 집에 수입차 엔트리 타고요. 소득은 둘이 합쳐서 한 월600정도 된다하는데 집 구매를 포기하니까 대출 이자 내고도 여유있게 살더라구요. 우리가 늙으면 어차피 집 남아돌텐데 굳이 중심가 아니면 지금 아둥바둥 집 살 필요있냐고 하는데 설득력있는거 같기도 하고(?) 혹시 이 친구처럼 여유가 되는데도 집 구매에 관심없는 분 계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28 21:05
수정 아이콘
와이프 친구가 그렇더라구요. 나이도 있고 대를 이을 필요도 없다고 그냥 아이 없이 살거라고 그렇게 살더라구요..
18/05/28 21:20
수정 아이콘
확실히 아이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겠네요. 감사합니다.
박현준
18/05/28 21: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구매에 관심 없다기 보단 포기했습니다. 전세한번 살아보는게 꿈이에요. 살고 싶은집은 10억이 넘어서... 달에 400씩 모아도 20년을 모아도 못사요. 물론 한달에 400 모을수도 없지만.. 물론 그렇다고 돈 모으느라 살기 싫은 좁은집에서 살긴 싫어서 월세 많이 내며 살고싶은 살만한 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18/05/28 21:53
수정 아이콘
집 사고 말고는 본인 마음인데.. 그냥 본인의 자산만을 기준으로 생각한다면
집을 안사는 건 그냥 안사는게 아니라..
집값이 떨어져야만 이득인 거에요. 유지되도 주거비를 내는만큼 손해니까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8/05/28 21:54
수정 아이콘
대출 이자보다 집값이 더 올라서 사는게 결국이득인 경우가 많죠. 전세로 여유롭게 산다? 최종적으로 보면 집 사면 더 여유롭게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어도 지금까지는요.. 앞으로는 어찌될지 모르겠지만
회색사과
18/05/28 22:01
수정 아이콘
뭐 충분히 가능한 얘기죠...
근데 집이 오를 것이다 생각하고 집 사뒀는데 집값 내리면 그냥 가난하게 집한칸가지고 노후를 맞지만

집값이 내릴 것이다 생각하고 집 안 샀는데 집값 오르면 당장 살곳이 없다.

라는 공포가 크지 않을까 합니다.
18/05/28 22:09
수정 아이콘
저희도 전세로 살다가 최근에는 집을 구매했습니다.

처음에는 전세가 맘이 편해도 이사의 압박이나 전세값 상승의 스트레스를 고려하면 결국 집을 사게 됩니다.
위에 말씀하신 것처럼 집을 사는 게 훨씬 더 경제적으로 이득인 경우가 더 많기도 하고요.

게다가 아이도 없으면 사실 집을 사나 안 사나 말씀하신 정도의 생활을 영위하는 데는 문제가 없을 것 같네요.
이혜리
18/05/28 23:09
수정 아이콘
미래에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거라서.
그리고 내 의지로 예측하지 못하는 이사가 발생하는게 정말 피곤해요.
와이프가 전세 살았었는데, 2년 살고 집 주인이 집 빼라고 해서 이사, 그리고 또 이사 해서 이사 스트레스가 정말 어마어마.
한 번 이사 할 때 마다 가구 박살 나는 건 당연하고 이사 비용 또한 만만한게 아닌데다가
집 보러 다녀야하는 시간 스트레스도 엄청나거든요.

집 사보니까 진짜 너어어어어어어무 좋습니다.
매달 원리금에 신용대출 상환하는 금액이 좀 크기는 한데, 그래도 진짜 너어어어어어어어어어무 좋아요.
Blooming
18/05/28 23:32
수정 아이콘
글쓴님 친구분과 같은 생각으로 전세 살던 주변 사람들 결국 이사 다니는게 귀찮다고 다들 집 샀어요..
18/05/28 23:41
수정 아이콘
역시 제가 이상한게 아니었군요 크크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사악군
18/05/29 00:29
수정 아이콘
아파트를 대출내서 살까 전세할까 하다 전세했다가
딱 2년뒤 전세금이 2년전 집 매매가랑 맞먹게 되서 후회해서 나오고.. 이후 몇번 이사다니다가 이사다니는거 비용도 비용이고 움직이는거 자체가 너무 신경쓸게 많아서 결국 집 사는 쪽으로 선회했습니다. 이사다닐 때 집 알아보고 흥정하고 짐싸고 정리하고 이런게 너무 스트레스가 크더라고요.
강미나
18/05/29 06:23
수정 아이콘
아예 지방아파트면 모르겠는데 경기도쪽 신도시면 전세 사는 건 너무 손해인데요. 요즘처럼 금리 낮은 시기에....
하우두유두
18/05/29 09:05
수정 아이콘
제친구는 국민임대로 들어가서 30년 사는거 한번 해보니까 집사는거에 관심없어지더라구요.
18/05/29 09:21
수정 아이콘
전 기혼은 아니지만 10년 정도 살면서 이사 대여섯번 다녀보니 점점 집 구매에 대한 생각이 커져서 결국 구입했습니다.

날짜 맞추고 잔금 치르고 하는 이사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스트레스, 가구 구매와 이사 비용 등 소소하게라도 지출하는 비용들 그런 거 생각하면.. 요즘은 전세나 구매나 큰 차이가 아닌 경우도 많구요.

구매하고 나서는 엄청 만족스러워요. 내 집이니까 더 애착이 가기도 하고..
18/05/29 09:33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부터 16살까지 거의 2년마다 전세로 옮겨가면서 생활했는데요, 그 이후에 매매한 집에 들어가서 십년 넘게 지내니 너무 편하더라고요.
18/05/29 09:53
수정 아이콘
대출 풀로 땡겨서 이자 내면서 사는게 더 아둥바둥 같아 보이는데요.
중요한건 니가 살만한집은 남아돌지 않을거라는 겁니다.

수도권 집값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거라는 관점을 가진 사람의 의견이었습니다.
ComeAgain
18/05/29 10:34
수정 아이콘
이게 전세가 한 10년, 20년 안정적으로 가면 괜찮은데 그게 아니라서,
저도 결국은 사야지.. 그 생각하고 있습니다..
시시포스
18/05/29 14:07
수정 아이콘
2012년 정도 고민 많이하다가 향후 20년은 서울에 있을 것 같아서....무리하게 집 샀습니다.
집값 떨어지면 안고 죽어야지 했는데..2.5 배 올랐습니다 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610 [질문] 아버님 공인인증서 발급 질문입니다. [2] 유아린1898 18/05/29 1898
120608 [질문] 필름메이커스 외에 영상 관련 구인/구직하는 채널이 있을까요? [3] 소린이2266 18/05/29 2266
120607 [질문] 스쿼트가 재미가 없습니다.(전력질주의 효과?) [21] 덮어쓰기9061 18/05/29 9061
120606 [질문] 주식 내부자 거래 질문 [6] 3287 18/05/29 3287
120605 [질문] 제 인바디를 보시고 다이어트법 좀 알려주세요. [17] 기사조련가4127 18/05/29 4127
120604 [질문] 선물용 기타 스트랩 추천 부탁드려요. [5] 테네브리움2824 18/05/29 2824
120603 [질문] 디자인? 관련 질문입니다. [5] 신승훈2198 18/05/29 2198
120602 [질문] 일때문에 특장차를 여러대 가지고 있는데요 [2] 짱짱걸제시카2653 18/05/29 2653
120601 [질문] 고양이 입양이 하고 싶어요 [39] 블루시안5559 18/05/29 5559
120600 [질문] 보통 힙합콘서트는 복장이 대부분 힙합스트릿패션 느낌인가요? [8] LG우승3577 18/05/29 3577
120598 [질문] 전기자전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풍각쟁이1938 18/05/29 1938
120597 [질문] 보조배터리 사용이 휴대폰 메인보드에 안 좋은가요? [4] 멜론하몬살라미3182 18/05/29 3182
120596 [질문] 배그용 컴퓨터 견적입니다. [3] up3397 18/05/29 3397
120595 [질문] 오트리빈 대신할 코스프레이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5] 삭제됨2370 18/05/29 2370
120594 [질문] 네이버에서 블로그광고 덜 나오게 검색하는 팁있으세요? [6] 밥잘먹는남자2150 18/05/29 2150
120593 [질문] 만화책을 전자책으로 사신 분들은 만족하시나요? [13] 개미핥기11675 18/05/29 11675
120592 [질문] 서울 낮에 크로스핏 체험할 수 있는 곳 있을까요? [8] Robbie2468 18/05/29 2468
120591 [질문] 윈도우 설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2] 난 널 원해2003 18/05/29 2003
120590 [질문] 철은 왜 좋은 재료인가요? [18] Lovely Rachel4690 18/05/29 4690
120589 [질문] 만성 설사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5] 2324 18/05/29 2324
120588 [질문] 넷북 용량 관련 질문 드려요 !! [1] Unknown Verses1932 18/05/28 1932
120587 [질문] 일산 라페 웨돔 부근에 식사도 할겸 술 마시기 괜찮은곳 있나요? [2] 레너블2442 18/05/28 2442
120585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좀 부탁드려요 [4] 담달3459 18/05/28 34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