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03 06:39:25
Name 악비
Subject [질문] [주식]주알못입니다. 주식 상한가 종목을 사는 사람들의 심리 질문입니다.
최근 대북주가 핫하죠.
제 짧은 생각으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글을 올립니다.
어떤 종목이 있습니다.
어제11시쯤에 30%상한을 찍었고, 다시 내려와서 24~27%와리가리를 1시간정도 하더군요.
그러다 1시쯤인가 29%상황에서 어느 누가 한번에 몇만주를 사서 상한30%를 갔습니다.
근데 그 직후 상한이 풀리고 다시 25~28%와리가리를 합니다.그러다 장마감 30분쯤전에 내려가서 결국 15%로 종가가 됐습니다. 그 몇만주를 산 사람은 -14%가 된거죠.
그정도 금액을 굴릴정도라면 주식을 잘 아는 사람일텐데요.
질문을 구성해보면요.

1. 9시 장 시작하자마자 쭉 올라서 상한가를 찍는 종목.
이건 다음날에도 무조건 오른다고 생각하니 살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점차 점차 오르다가 장 마감 몇시간전에 상한가를 찍는 종목.
이것도 여차저차 따져봤더니 다음날에도 오른다고 생각하니 살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이것인데요.
3. 11시경에 상한가30%상승을 찍었습니다. 그런데 12시쯤에는 내려와서 25%를 찍었습니다.
25%~27% 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 그러다 1시쯤에 29%,30% 되는 가격에 사는 사람들의 심리가 궁금하네요.
29%,30%에 산다는것은 다음날 오를거라는 확신에 사는거일텐데요.

질문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1.상한30%를 찍고 다시 하락해서 25%~30%를 와리가리하는 종목이 있다.
2. 다음날 오를것이 확실한 종목이라면 상한30%를 찍고 그상태로 장마감까지 가는것일텐데.
3. 그 25%~30%와리가리하는 주식을  왜 29%,30%에서 장 마감이 한참남은 1시에 살까.
4. 1시면 장마감시간도 많이 남았겠다 눈치 보다가 25%나26%쯤에 사는게 나을텐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03 06: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식은 굳이 비싸게 사야하는 쪽이 있다...그렇게 이해해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산 물량보다 기존에 물량이 많아서 가격을 올리고 싶을 때 그럴 수 있죠. 마치 강남아파트를 우리가 살땐 조금이라도 싸게 사고싶어하지만 100채 가진 사람은 추가 1채 더살때 호가를 올려서 사려하는 심리랑 비슷합니다. 그렇게 해놓으면 자기가 기존에 가진 100채도 덩달아 시가가 고평가되거든요. 또는 더 쉬운 방법으로 아는 사람에게 일부러 비싼 가격으로 넘겨주지요.

이를 주식에서 자전거래라고 합니다.
18/05/03 10:29
수정 아이콘
코인에서 말하는 세력이군요 크크
18/05/03 10:51
수정 아이콘
코인판의 거의 모든게 아마 주식에서 갖고온 개념일겁니다. 요근래 코인으로 투자를 처음 접해보다보니 마치 모든게 코인판용어인데 주식에도 쓰네? 이렇게 반대로 생각하시는 경우를 제법 보네요.
18/05/03 12:28
수정 아이콘
아 그런방식이 있군요.
18/05/03 07:37
수정 아이콘
전제가 잘못 되었습니다
''
그러다 1시쯤인가 29%상황에서 어느 누가 한번에 몇만주를 사서 상한30%를 갔습니다.
근데 그 직후 상한이 풀리고 다시 25~28%와리가리를 합니다.그러다 장마감 30분쯤전에 내려가서 결국 15%로 종가가 됐습니다. 그 몇만주를 산 사람은 -14%가 된거죠. ''

그 사람의 평단을 무슨수로 알고 -14%라는 계산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18/05/03 12:27
수정 아이콘
그사람 평단이야 모르지만, 29%상태에서 산 주식 1만주만 보는거죠.
오후 1시에 29%종목을 1만주 산다. 이것은 그날은 어차피 먹을거 없고 다음날 오를거를 생각하고 샀다는건데,
위에 적었듯이 종가는 15%로 마감했고, 오늘은 보합상태입니다.

평단이야 눈에 보이는 기분차가 있는거지 29%에서 산 1만주를 생각해보면 -14%죠.
LG의심장박용택
18/05/03 07:45
수정 아이콘
빠지지 않을거라고 생각하고, 내일도 오를 것 같으니 사는것이지요
결과를 놓고 복기해보면, 세상에 실수할 사람이 없겠죠
양현종
18/05/03 07:59
수정 아이콘
[다음날 오를것이 확실한 종목이라면 상한30%를 찍고 그상태로 장마감까지 가는것일텐데.]

다음날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몰라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8/05/03 08:15
수정 아이콘
다른분들보다 첫번째 댓글쓴 분의 말이 가장 정확합니다.
회색사과
18/05/03 08:16
수정 아이콘
상한 이라는 말 자체가... 어퍼 리밋이니까요... “더 오를 수 있는데 오늘은 막혀있다” 고 해석할 수도 있는거죠..

정말 그러한지는 모르지만요.
18/05/03 08:22
수정 아이콘
결과론이죠
1시에 상치고 와리가리 안하고 문닫을수도 있으니까요
마리오30년
18/05/03 08: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저런 걸 상따라고 하는데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입니다. 잘못 물리면 상한가 유지하다 풀려서 순식간에 거의 보합이나 마이나스까지 가는경우도 있고, 잘하면 담날부터 또 몇연상 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일단 주식이 그날 상한가를 갔다는 건 작전세력이 들러붙었다는 이야기이고, 거기 편승해서 좀 더 먹겠다고 상한가 근처에라도 프리미엄 주고 들어가는 겁니다.

그런데 정말 상한가가 강하면 아예 살 기회도 안주는 경우도 있고, 25~26프로까지 다시 내려오리라는 보장이 없죠. 28~29프로에서 그냥 다시 상치고 문닫으면 새 되는거니 조바심에 그자리에서 사는 사람도 나오는 거구요. 또는 기존 저가에 물량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개미 달라붙게 하려고 고가 근처에서 일부러 조금씩 더 사는 경우도 있구요. 15~20프로 대까지 올려놓고 조금만 더 바람 넣으면 개미들이 알아서 들러붙어서 상한가 만들어질때가 있는데 그때 폭탄 던지기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웨인루구니
18/05/03 09:14
수정 아이콘
상따 많이 합니다.
모리건 앤슬랜드
18/05/03 10:40
수정 아이콘
세력들 드라이빙 실력은 세력바이 세력이라서 일괄적으로 딱 잘라서 말씀드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괄하이드
18/05/03 11:50
수정 아이콘
보통 그날 상한가 친 종목은 다음날 떨어지더라도 그다음날 장 열릴때 몇프로쯤 더 올랐다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 몇 프로 먹으려고 상한가치는거 샀다가 다음날 아침에 바로 파는 사람들 꽤 있습니다.
18/05/03 12:29
수정 아이콘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9485 [질문] 스마트폰 해지시 위약금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2] 오버액션토끼2093 18/05/03 2093
119484 [질문] 다이어트 후 쌍수 다이어트 전 쌍수 차이가 있을까요? [3] 종종종그그미9388 18/05/03 9388
119483 [질문] 지금 직장 퇴사 후 일본에 단기 혹은 장기 체류 예정인데 질문 부탁드립니다. [1] johann2260 18/05/03 2260
119482 [질문] 구글 스프레드시트 관련 질문입니다 [3] 쭌쭌아빠1860 18/05/03 1860
119481 [질문] 자동차 abs 및 옵션 질문입니다 [7] 불굴의의지3058 18/05/03 3058
119480 [질문] 교통사고 발생시 진료기록 열람 동의 철회 가능한가요??? [4] 삭제됨2924 18/05/03 2924
119479 [질문] 동네 탁구교실 다녀보신분 있나요? [20] 세로토닌7332 18/05/03 7332
119478 [질문] [주식]주알못입니다. 주식 상한가 종목을 사는 사람들의 심리 질문입니다. [16] 악비4600 18/05/03 4600
119477 [질문] (스포)클레어의 카메라 영화 내용질문입니다 [2] 공부맨2120 18/05/03 2120
119476 [질문] 데이트 장소 추천 부탁합니다. [6] 모여라 맛동산3136 18/05/03 3136
119475 [질문] 미국 뉴저지 (뉴욕 인근 지역) 사시는 분 계시면 질문 하나만 드릴께요. [25] OrBef6327 18/05/03 6327
119474 [질문] 1억원이 있다면 어떻게 운용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시는지요...? [40] nexon6688 18/05/02 6688
119473 [질문] 자동차 기어봉 led 교체에 관하여 [1] 정나사랑해♡2563 18/05/02 2563
119472 [질문] 스포주의) 토르 라그나로크 질문있습니다! [3] 모어모어3085 18/05/02 3085
119471 [질문] 어벤져스 인피니티워 아이맥스 차이크나요? [19] 제드5232 18/05/02 5232
119470 [질문] 자동차 구매관련 질문사항입니다 [6] 시오냥2589 18/05/02 2589
119469 [질문] 축구도 농구처럼 경기 시간 관리를 철저히 하면 어떨까요? [12] 긴 하루의 끝에서3464 18/05/02 3464
119468 [질문] 상견례 복장 질문드립니다. [6] 윤이나5430 18/05/02 5430
119467 [질문] 노트북액정 공식vs사설 [2] 다크템플러2223 18/05/02 2223
119466 [질문] 어버이날 준비하셨나요? [5] cs2590 18/05/02 2590
119465 [질문] 커튼 사이즈 질문입니다. [5] 잔 향1889 18/05/02 1889
119463 [질문] 울산 삼산 IMAX 좌석 어디가 좋은가요? [7] 혜정6897 18/05/02 6897
119462 [질문] 근로계약서 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사진은 추후 삭제예정) [14] 난나무가될꺼야4319 18/05/02 43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