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02 23:40:14
Name nexon
Subject [질문] 1억원이 있다면 어떻게 운용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예컨대 똑같이 1억원을 갖고 있는 두 사람이 있는데

한 명은 한달에 1-2% 정도의 수익만 목표로 주식을 하고

다른 한 명은 부동산 구입 후 월세를 받는 임대인이 된다면

수익율, 안정감 등등에서 어느 쪽이 더 좋은 선택을 한 것일지요...?;


생각해보면 주식으로 한달에 1-2%만 생각한다면 1년에 12-24%의 고수익이지만 폭락의 가능성이 없지는 않고

건물주로서 월세를 받더라도 세금문제나 공실의 위험성 등으로 불안감이 없지는 않을 텐데

막 수십억씩 있는 게 아니라면 어느 쪽이 더 나은 재테크일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02 23:42
수정 아이콘
주식고자와 상가보는 눈 고자끼리 비교라면
당연 후자죠

주식은 돈이 사라질 수도 있는데
상가는 그 가치라도 남아있으니...

둘다 초고수라면 당연히 주식이죠
오늘 종목 잘 뽑으면 내일 3천만원 버니까요
18/05/04 00:51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이밤이저물기전에
18/05/03 00: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식은 하시는데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일반인한테는 인덱스 펀드로 장기간 (10년 이상) 묵혀두는게 제일 현실적이겠지요. 제일 노력이 적게 들고 장기간이라는 전제 하에 수익률도 훌륭한 편이니까요.
한두해 죽을 쑤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코스트 에버리징을 하면 + 수익률이 될 확률이 크죠.
물론 블랙스완급 악재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건 함정이 되겠지요.
지금 들어가는건 리스크가 크다고 봅니다. 들어가면 좋을 타이밍은 떡락이 되서 한번 정리가 되고 난 후가 좋겠죠.
저라면 현금으로 가지고 있다가 바겐세일 할때 사들입니다.
내가 1 억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당장 그걸 가지고 뭘 해야 돈을 버는게 아니고... 적절한 타이밍에 맞는 행동을 해야 돈을 버는 거니까요.

반면에 하루종일 컴터 앞에 앉아서 단타를 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그거야 시간이 많고
또 갬블러 기질이 충만한 사람들이 하는 것이고...
대개 수업료를 치르게 되는데 그게 원금이 크건 적건 80% 이상은 까먹는게 일반적이라...
18/05/04 01:0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회색사과
18/05/03 00:13
수정 아이콘
근래에 현금화 해야할 확률이 얼마냐 있냐도 살펴보십셔. 언제 쓸지 모른다 면 예적금 > 펀드 > 주식 > 부동산 같은 순서가 될거고... (현금화 용이성이요) 남는돈이고 묵혀도 되면 고민 안해도 되겠죠
18/05/04 01:0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 감사합니다...
초지동
18/05/03 00:19
수정 아이콘
주식 하면서 3번 망했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 망한금액 이상 주식으로 벌긴 했는대
저라면 그냥 1억 부동산 사겠습니다.
근대 1억가지고 임대료 잘나오는 부동산이 있을까 싶내요..
18/05/04 01:0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__)
sen vastaan
18/05/03 00:30
수정 아이콘
1억이면 원룸 한 채 정도 되나요;
키무도도
18/05/03 00:42
수정 아이콘
오피스텔정도는 충분할겁니다.
18/05/03 10:13
수정 아이콘
어디가야 1억으로 오피스텔을 살수있죠
1억으로 전세도 아예 없던데
하루사리
18/05/03 12:02
수정 아이콘
부평 같은데는 있더라고요. 아는 형이 1억1천에 사서 월세 받아먹고 있습니다. 흐흐
키무도도
18/05/03 12:05
수정 아이콘
네이버도 가시면 됩니다.
네이버에 치시면 서울로도 꽤나 많이 나와요. 수도권으로 넘아가면 수익형 오피스텔 꽤 나오는 편입니다.
동네형
18/05/03 00:40
수정 아이콘
주식은 한달에 몇퍼센트씩 정기적으로 수익을 내려고 하는게 아닙니다
18/05/04 01:10
수정 아이콘
아;; 그러면 주식은 어떤 목적으로 하는 게 맞을까요...?;
동네형
18/05/04 02:59
수정 아이콘
투잡뜀다고 생각하세요.
회사다니면서 자동차회사를 한다. 통신사를 한다. 반도체 회사를 한다. 제약사를 한다.
18/05/05 11:2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__)
18/05/03 00:42
수정 아이콘
주식은 한달에 1~2% 수익이 나는게아니고 반토막이 나도 안이상하죠.
생각보다 주식으로 돈 버는사람 별로 없습니다.
18/05/04 01:10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던져진
18/05/03 01: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식은 장기 투자 기준으로 수익률을 잡아야지

전업 트레이더가 아닌데 한 달에 1-2% 먹겠다는건 매우 비현실적인 목표입니다.

가장 확실한 투자법은 자산 버블 터진 후 S&P 500 인덱스 펀드에 묻어두는 겁니다.

하지만 보통 별 이유 없이 안 합니다.
18/05/04 01:1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__) 한 달에 1-2%도 주식으로 벌기는 어려운 것인지요...?;
파랑파랑
18/05/03 01:39
수정 아이콘
AMZN BRK.B GOF VOO BOTZ 정도 분할매수합니다.
18/05/05 11: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pppppppppp
18/05/03 02:03
수정 아이콘
이더리움에 천만원만 투자 고고
18/05/04 01:12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은 무서워서요...; @@;
NoGainNoPain
18/05/03 02:05
수정 아이콘
1억 부동산이 있기는 있지만 그만큼 주거환경이 열악할 겁니다. 싼건 다 이유가 있는 법입니다.
주거환경이 열악하다면 사람들이 잘 안들어올 거고 들어와도 빨리 나가려고 할 겁니다.
그만큼 다른 값나가는 부동산보다 공실위험이 커진다는 겁니다. 그리고 공실은 임대부동산 수익에 상당히 안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18/05/03 02:55
수정 아이콘
주식이죠. 잡주 or 단타 이런것만 안하고 소심하게 하면 됩니다.
Grateful Days~
18/05/03 07:57
수정 아이콘
서울에서 저평가된 역세권 3억원대 아파트 전세끼고 매매.
헤헤헤헤
18/05/03 22:24
수정 아이콘
저평가된 역세권 아파트라는게 있을까요 . 가격은 거짓말을 하지 않습니다. 싼건 다 이유가 있어요
18/05/03 09:58
수정 아이콘
이건 주식이죠.
부동산에서 순수 1억이면 괜찮은 투자처가 없습니다.
18/05/04 01:11
수정 아이콘
@@ 그렇군요...;;
18/05/03 11:05
수정 아이콘
한달에 '꾸준히' 1~2% 수익 내면 1년이면 누적으로 복리로 계산하니 20% 가까이 됩니다.
이 정도면 유망 펀드매니저로 모셔갈 수준이네요.
세종머앟괴꺼솟
18/05/03 11:23
수정 아이콘
한달에 1-2%는 '만'이 아닌거 같은데요..
괄하이드
18/05/03 11:53
수정 아이콘
한달 사이에 1~2프로 수익내는건 쉬운데... 그걸 '꾸준히' '장기적으로' 하는게 진짜 어렵죠 크크크
10달간 꾸준히 1프로씩 수익 냈어도, 11달째 한번 잘못 물리면 제로 되니까요.
elesevier
18/05/03 12:39
수정 아이콘
이더리움 1억사서 5년간 신경끄고 있겠습니다.
18/05/04 01:10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은 너무 무섭다고 해서요...;
유늘보
18/05/03 20:18
수정 아이콘
많은 자산군에 최대한 분배하여 투자
헤헤헤헤
18/05/03 22:21
수정 아이콘
1억가지고 한달에 1-2%라면 1년에 30%인데 그게 가능하다면 당연히 주식해야죠
그리고 그게 가능하다면 사람들이 5% 받자고 은행 적금 넣지는 않겠죠.
18/05/04 00:36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동네형
18/05/04 03:00
수정 아이콘
은행 이자 2%에요. 손실없이 은행의 녈두배를 먹겠다는건데 그게 쉬눌리 있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9485 [질문] 스마트폰 해지시 위약금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2] 오버액션토끼2093 18/05/03 2093
119484 [질문] 다이어트 후 쌍수 다이어트 전 쌍수 차이가 있을까요? [3] 종종종그그미9388 18/05/03 9388
119483 [질문] 지금 직장 퇴사 후 일본에 단기 혹은 장기 체류 예정인데 질문 부탁드립니다. [1] johann2260 18/05/03 2260
119482 [질문] 구글 스프레드시트 관련 질문입니다 [3] 쭌쭌아빠1860 18/05/03 1860
119481 [질문] 자동차 abs 및 옵션 질문입니다 [7] 불굴의의지3058 18/05/03 3058
119480 [질문] 교통사고 발생시 진료기록 열람 동의 철회 가능한가요??? [4] 삭제됨2924 18/05/03 2924
119479 [질문] 동네 탁구교실 다녀보신분 있나요? [20] 세로토닌7332 18/05/03 7332
119478 [질문] [주식]주알못입니다. 주식 상한가 종목을 사는 사람들의 심리 질문입니다. [16] 악비4599 18/05/03 4599
119477 [질문] (스포)클레어의 카메라 영화 내용질문입니다 [2] 공부맨2120 18/05/03 2120
119476 [질문] 데이트 장소 추천 부탁합니다. [6] 모여라 맛동산3136 18/05/03 3136
119475 [질문] 미국 뉴저지 (뉴욕 인근 지역) 사시는 분 계시면 질문 하나만 드릴께요. [25] OrBef6327 18/05/03 6327
119474 [질문] 1억원이 있다면 어떻게 운용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시는지요...? [40] nexon6688 18/05/02 6688
119473 [질문] 자동차 기어봉 led 교체에 관하여 [1] 정나사랑해♡2563 18/05/02 2563
119472 [질문] 스포주의) 토르 라그나로크 질문있습니다! [3] 모어모어3085 18/05/02 3085
119471 [질문] 어벤져스 인피니티워 아이맥스 차이크나요? [19] 제드5232 18/05/02 5232
119470 [질문] 자동차 구매관련 질문사항입니다 [6] 시오냥2589 18/05/02 2589
119469 [질문] 축구도 농구처럼 경기 시간 관리를 철저히 하면 어떨까요? [12] 긴 하루의 끝에서3464 18/05/02 3464
119468 [질문] 상견례 복장 질문드립니다. [6] 윤이나5430 18/05/02 5430
119467 [질문] 노트북액정 공식vs사설 [2] 다크템플러2223 18/05/02 2223
119466 [질문] 어버이날 준비하셨나요? [5] cs2589 18/05/02 2589
119465 [질문] 커튼 사이즈 질문입니다. [5] 잔 향1889 18/05/02 1889
119463 [질문] 울산 삼산 IMAX 좌석 어디가 좋은가요? [7] 혜정6896 18/05/02 6896
119462 [질문] 근로계약서 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사진은 추후 삭제예정) [14] 난나무가될꺼야4318 18/05/02 43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