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03 08:10:26
Name 세로토닌
Subject [질문] 동네 탁구교실 다녀보신분 있나요?
지난주 회사사람들이랑 카페갔다가 카페에 탁구대가 있길래 탁구를 그냥 해보게 되었습니다.
평소 운동을 워낙 못해서 취미가 없는데 탁구는 달랐습니다.
본능적으로 탁구공을 주고받는데 놀라겠더라고요..
가볍고 재밌게 즐길 수 있을 것 같은데 탁교교실 등록해보신분 계신가요?? 시간이나 비용, 혼자가도 괜찮은지 이것저것 물어보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치키타
18/05/03 08:22
수정 아이콘
동네 탁구장에 다니는데요. 일단 다니면 가볍고 재밌게 즐기진 못하고 본격적으로 즐겨야합니다;;
일단 구장 분위기가 중요하구요. 초보자들을 잘 끌어줄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합니다.
비용은 좀 드는 편입니다. 의류, 신발, 라켓(블레이드+러버)하면 상당하죠. 탁구장을 처음가게 되면 레슨+구장비를 다 내야할텐데 상당히 비싼 편입니다.
혼자가도 되구요. 지인이 있으면 더 좋긴한데 혼자가도 다른 회원들과 붙여주거나 하는데, 처음가면 수준차이가 커서 혼자 레슨과 기계를 쳐야하는 시간이 꽤 필요로 합니다.
완성형폭풍저그
18/05/03 08:35
수정 아이콘
동네마다 다른데 제가 가본 곳은 한달에 20~25만원 정도였어요.
처음 갈 때는 그냥 집에 뒹구는 반바지에 면티 입고 가셔도 되고요. 라켓도 탁구장에 다 있어요.
몇달 해보고 계속 할 것 같으면 그 때 사시면 되요.
솔로13년차
18/05/03 08:51
수정 아이콘
한달 다녔었는데, 저는 도무지 다닐 분위기가 아니더라고요.
일단 동호회의 아지트 느낌이 강하고, 외부사람들은 보통 '자기들끼리 치려고' 여럿이서 오는 사람들입니다.
전 레슨을 받았는데, 결국 레슨받고 끝이었어요.
그곳의 다른 사람들과 하기에는 수준차이가 너무 나는데다, 다른 사람들이 제게 관심이 없어서. 나이차도 좀 났고요. 대부분 저보다 20살쯤 많은 아저씨들이라.
일단 제가 다녔던 그 곳의 경우 두사람이 같이 시작하지 않고서야 초보자는 아주머니들만 다닐만한 곳이었습니다. 아주머니들은 초보자여도 친절하게 아저씨들이 상대해줬거든요.
18/05/03 09:00
수정 아이콘
도구 쓰는 운동들은 가볍게가 안됩니다. 일단 기초 비용(라켓+레슨비 등)이 쎄고 친목(아는 사람과만 게임하려는)이 심해서 여가시간과 비용을 1년 이상은 때려 박아야 제대로된 취미생활이 가능합니다.
18/05/03 09:05
수정 아이콘
무조건 아는 사람 한 명 같이 데려가야합니다.초보는 같이 안 쳐주려고 해요. 그냥 레슨때만 코치가 잠깐와서 처주고 끝

혼자 가면 죙일 머신하고만 칠 수도 있음...
18/05/03 09:32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표요..

혼자 머신하고만 치다가 다른 사람들 눈치보여서 그냥 관뒀습니다..
18/05/03 12:34
수정 아이콘
저도 한 표요.
제가 사는 동네만 그런지 모르겠는데 친목이 많이 심합니다.
가면 애초에 '몇 시간 치다 가겠지' 라고 보이는 사람은 손님으로 받지도 않는;
나의규칙
18/05/03 09: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코치에게 레슨 받고, 머신 공만 치더라도 자기 실력 느는 것에 뿌듯함 많이 느끼시는 타입이 아니시라면 지인과 함께 가셔야만 합니다. 모든 도구 쓰는 구기가 그렇듯이 탁구도 실력 차가 많이 나면 게임이 성립되지 않고, 초보를 상대해주는 고수는 그야말로 "서비스"해주는 겁니다. 서비스해주는 개념이다 보니, 탁구장 코치가 애써 붙여주지 않으면 고수들은 하수 특히 라켓 거의 처음 잡는 초보는 상대해주지도 않아요. 혼자 가시면 탁구 칠 기회 자체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다만 저는 처음 배울 때는 코치에게 레슨 받고 머신 공 치는 것만으로도 재미있었습니다. 다양한 스윙폼 배우면서 다양한 상황, 다양한 구질에 적용하는 과정 자체가 재미있더군요. 예전에는 제대로 못 받던 공을 받게 되고, 수비만 애써 하던 공을 역공하게 되는 .. 그런 발전되는 과정이 혼자 칠 때도 꽤나 재미있었습니다.

탁구장 가셔서 코치님에게 레슨 한번 받아보시고, 분위기 살펴보세요~ 탁구 재미있습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18/05/03 12: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레슨 경험 있다고 하시니 궁금한 점 몇 가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탁구 실력 얘기할 때 보통 부수를 기준으로 잡던데 동네 탁구장에서 잘 친다는 분들은 평균적으로 대략 몇 부 정도 되시나요?

2. 익히 알려진 기술들 자유자재로 전부 구사할 수 있는 정도의 실력이면 혹은 그럴 정도로 레슨 한 싸이클 다 돌고 나면 일반적으로 몇 부 정도 가능한 실력이라고 할 수 있나요?

3. 레슨이나 동호회 경험 같은 거 없이 오로지 취미로만 탁구 치는 일반인들 사이에서 잘한다고 하는 사람들 실력이면 보통 몇 부 정도쯤이라고 보면 될까요?

4. 아마추어 기준에서도 장비빨이 심한가요? 완성품으로 나오는 보급형 탁구채로 치는 것과 일일이 블레이드랑 러버 선별한 전문형 탁구채로 치는 것과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나의규칙
18/05/03 12:29
수정 아이콘
저는 동호회 활동에는 관심이 없어서, 대회 같은 곳에 나가지 않아서 "부" 관련해서는 정확하게 아는 것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치키타
18/05/03 13:08
수정 아이콘
1. 지역마다 부수 체계가 다르긴 한데, 제가 사는 인천은 남자 6부까지 있습니다. 1부로 갈 수록 잘치구요. 일반인은 6부랑 쳐도 상대로 안됩니다.
상위 부수는 보기 조차 힘들구요. 5부만 되도 다 잘들 칩니다.
2. 6부죠. 레슨 때 기술 쓴다고 실전에서 쓸 수 있을거라 생각하기 힘듭니다. 레슨 뿐만이 아니라 게임 구력도 쌓여야합니다.
3. 6부 하레벨.
4. 엄청 차이 납니다.보급형 탁구채론 탁구 치기 힘들다고 보면 됩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18/05/03 13:55
수정 아이콘
4번에서 차이가 난다고 하는 게 정확히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나는 건가요? 공의 속도? 회전량?

레슨 경험 없는 일반인과 6부는 똑같이 보급형 탁구채로 쳐도 상대가 안 될 정도로 실력 격차가 심한가요?
치키타
18/05/03 14:09
수정 아이콘
반발력과 회전량이 차이가 납니다. 원래 잘 나가야할 공이 죽죠.
6부도 천차만별입니다. 요즘 배운 6부들은 왠만한 기술들 다 씁니다. 완성도가 떨어질 뿐이죠.
LoL로 치면 상대 챔피온은 스킬 다 찍고 왔는데 나는 평타만 치는 격입니다. 서브부터 받지 못할 가능성 크고요. 몇 점 내지도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18/05/03 14:16
수정 아이콘
탁구채 차이가 심하다길래 6부가 일반인보다 기술이 좋아도 둘 다 보급형으로 칠 경우에는 아무래도 기술이 잘 안 먹힐 테니 그래도 좀 낫지 않을까 했는데 애초에 실력 차이가 꽤 큰가 보군요.
치키타
18/05/03 14:21
수정 아이콘
일반인 비일반인 차이가 큰 스포츠입니다...공이 가벼워서 오히려 더 다루기 까다로운 면이 있습니다.
18/05/03 11:35
수정 아이콘
친구하고 같이 쳐야죠 아니면 같이칠 사람과 친구먹든가
같이칠 사람 구하는게 레슨이나 도구따위의 것들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같이칠 사람만 있다면 장소 구하는건 어렵지 않아요
소오르트
18/05/03 11:50
수정 아이콘
그냥 하루라도 가서 탁구채 비치된걸로 기계랑 한번 쳐보시고 결정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욕심쟁이
18/05/03 14:45
수정 아이콘
진입 장벽이 큰 스포츠이고, 장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라켓+러버 비용 괜찮은거 사려면 10만원 이상은 돼야합니다.
저는 중고로 사서 쓰고 있고, 학교에서 치고 있어서 비용은 크게 들지 않았고,
혼자 동네 탁구장에 가게되면 레슨받고, 거기 있는 사람 중에 수준 맞춰서 플레이 하는데
초보가 없으면 주로 기계로 연습하게 될 것 같습니다.
18/05/03 15:44
수정 아이콘
초보랑 잘 쳐주는 분이 있거나,
같이 칠만한 비슷한 실력은 동년배가 많으면 할만합니다만,
대체로 쓸쓸할 가능성이 큽니다
레슨 15분 받고나면 멍하게 앉아있다던지..
하루에 두시간 정도는 쳐야 운동도 되고 본전 뽑는 느낌이거든요
그렇지만 일단 배워놓으시고, 기본기만 익히시면 평생하실 수 있는 좋은 운동입니다
회사사람이랑 같이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세로토닌
18/05/06 00:53
수정 아이콘
모두들 감사합니다~~ 댓글속에 답이 있네요. 무리하지 않는 수준에서 사내 동호회나 온라인 동호회 한번 찾아봐야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9523 [질문] 자전거 구매 질문입니다. 길갈1874 18/05/04 1874
119522 [질문] 결혼 1주년 기념 아내에게 어떤걸 해주셨나요?? [8] 초키초킥2947 18/05/04 2947
119521 [질문] dropbox 고수님들 봐주세요! [2] 로랑보두앵1876 18/05/04 1876
119520 [질문] 편의점 4~5개 묶음 10,000원 수입맥주 추천해주세요. [29] 야릇한아이5753 18/05/03 5753
119519 [질문] 횐님들 얼음 얼려먹을때 생수 쓰세요 수돗물 쓰세요? [23] Cand12476 18/05/03 12476
119518 [질문] 셍텍쥐베리의 명언(당신이 배를..)의 출처를 아시는분? [4] 멍멍머멈엉멍2281 18/05/03 2281
119517 [질문] 무릎에서 나는 소리문제.... [20] 현직백수3907 18/05/03 3907
119515 [질문] C드라이브에서 윈도우 제품키 확인하는 방법 [4] 이청준4104 18/05/03 4104
119514 [질문] 면접 학원 다녀보신분 계신가요? [6] 삭제됨2195 18/05/03 2195
119513 [질문] 채혈이 익숙하지 않은 병원도 있나요? [25] Maria Joaquina3506 18/05/03 3506
119512 [질문] 위빠 입장에서 사마의는 영웅인가요 역적인가요? [14] 지니쏠3383 18/05/03 3383
119511 [질문] (스포주의?) 어벤져스 시리즈 관련 질문 드립니다 [11] 넌 언제나3304 18/05/03 3304
119510 [질문] 안녕하세요! 컴퓨터 모니터 관련 질문입니다 [4] 컴백홈1년차2063 18/05/03 2063
119509 [질문] 어벤저스3 보기 전에 봐야하는 영화?? [5] 포도2489 18/05/03 2489
119508 [질문] 블루레이 디스크 리핑방법 질문드립니다 [3] Ryu3523 18/05/03 3523
119507 [질문] 블랙 팬서 소장용 vod 쿠폰 나눔 합니다. [2] neogeese2632 18/05/03 2632
119506 [질문] 넷플릭스 영화 들은 왜이렇게 최악일까요? [12] 보라도리5556 18/05/03 5556
119505 [질문] 아이언맨 피규어 어떤걸 사야 하나요? [8] John Snow2451 18/05/03 2451
119504 [질문] 스타 리마스터 컴퓨터 난이도 조절 못하나요?? [6] 대빵큰오리24934 18/05/03 24934
119503 [질문] 부산 갈 때 SRT vs KTX 뭐가 좋을까요? [11] 에바 그린3877 18/05/03 3877
119502 [질문] 초등학교 운동회 할때요 [5] 동싱수싱2215 18/05/03 2215
119501 [질문] 엑셀 weekday 함수 질문드립니다. [3] 송파사랑2519 18/05/03 2519
119500 [질문] 경상도 사투리 내나 가 뭔뜻이죠? [48] LeNTE16458 18/05/03 164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