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08 04:00:45
Name 홍철
Subject [일반] 국민의힘의 현재 상태를 보면 대한민국에서 내각제는 절대 하면 안되겠네요. (수정됨)
국민의힘의 이번 대선후보 관련 논란의 원인은... 국민의힘이라는 정당 자체가 정상적인 정당이 아니라는 사실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국민의힘의 원내 지도부급 의원들이 일본식 내각제 열화판인 한국식 내각제를 체화하고 있는 문제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의 정치문화와 보수진영의 수준을 볼 때 한국에서 대각제는 절대 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번 국민의힘 상황은 지지자들만 미칠 상황이고 구경꾼들은 즐겁지만 대한민국에 내각제가 도입된다면 대한민국 정치 자체가 현재 국민의힘 수준으로 퇴행할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민주당은 국민의힘보다는 의원들 상태가 좀 낫지만 그래도 비주류 박광온이 원내대표로 당선되거나 우원식이 추미애에게 국회의장 선거에서 승리하는 등 민주당 지지자들 입장에서도 당원들의 여론이 무시당하는 사태가 반복되고 있죠.

이번 탄핵 정국 초기에는 제왕적 대통령제가 문제라는 의견도 상당했지만 현재 국민의힘 상태를 보면 그래도 대통령제가 내각제보다는 낫다는 여론이 바뀌지 않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ruithne
25/05/08 06:14
수정 아이콘
해산돼야 할 유사정당 나부랭이가 머저리짓 하는건데 이게 내각제랑 관련있나요?
Mattia Binotto
25/05/08 06:34
수정 아이콘
내각제 이야기는 김한길이나 이낙연 쪽에서만 잠깐 나오고 묻힌 거 아니었어요?
Quantumwk
25/05/08 06:38
수정 아이콘
내각제로 하면 지금같은 쓰레기짓들 못하게 장치를 걸어놔야 죠. 근데 이번 아사리판이 내각제 되었을 때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프리퀄은 맞습니다. 장치 걸어봐야 한계가 있으니깐요.
허락해주세요
25/05/08 07:27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는 의원들 수준이 높아서 내각제 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원래 민주주의는 참된 사람들이 모여서 하는게 아니고 저 아사리판 자체가 민주주의의 모습이에요.

그렇게 드잡이질 하는 것 자체가 민주주의의 본질인데, 그걸 받아들이지 못하는 국민들의 인식이 내각제를 못하는 가장 큰 이유지 의원들의 수준이 어쩌구는 다른 나라도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 원래 민주주의는 그렇게 깔끔한 제도가 아닙니다.
한화우승조국통일
25/05/08 08:56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이번 선거를 열게 된 원흉인 대통령제도 절대 하면 안 되는 거 아닌가요
마술의 결백증명
25/05/08 09:06
수정 아이콘
이미 대통령제로도의 내란이라는 최저점을 찍어봐서 어느 쪽이 더 낫다고 말할거리가 없긴합니다 흑흑
헨나이
25/05/08 09:09
수정 아이콘
내각제라는 체제는 국왕이라는 중재자를 전제로 했을 때 제대로 굴러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종 중재자가 없을 때 내각제는 그저 끝없는 평행선을 그릴테고 나라를 찢어놓을 겁니다
아니면 독일처럼 대통령이라는 사상누각을 만들어서 쓰던가요

우리나라에서 국왕이 다시 들어설 일은 없으니
내각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아프락사스
25/05/08 09:52
수정 아이콘
내각제에서 국왕이 중재자하는 나라가 어디있습니까?
헨나이
+ 25/05/08 12:15
수정 아이콘
중재자라는 말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중재자라는 뜻이 아니라 최후의 안전핀이라는 뜻입니다
의원내각제에서는 국가원수와 행정부 수반이 분리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의원내각제를 해야 한다면, 결국 국가원수가 따로 필요합니다

영국이 이 경우죠 형식상 국왕이 다수당 대표에게 정부의 구성을 요청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다수당이 없는 경어서 연정이 불가피한 경우 협상을 촉구하기도 하죠 의회가 제대로 굴러가지 않을 경우 의회해산을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형식상입니다 실제는 아닙니다 국왕이 의회해산을 선언하면 큰일이 나죠 당연히 내각을 구성하는 것도 국왕이 개입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냥 총리가 구성하면 받아들입니다 국왕이 없는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대통령이 이 역할을 맡습니다
하지만 최소한의 기준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처럼 상식이 무너지고 법적으로 명확한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선을 넘는 일이 반복되는 상황이라면 꼭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됩니다

만일 우리나라가 의원내각제를 한다면 국가원수를 따로 만들어야 하는데
굳이? 또 한 명의 지도자가 필요할까요? 
아프락사스
+ 25/05/08 19:49
수정 아이콘
의회근대화 이후로 영국왕은 의회를 해산한적 없습니다. 영국왕이 중재역할을 시도하면 폐위되겠죠.

왕이 중재하는 경우가 어딨습니까?
헨나이
+ 25/05/08 19:56
수정 아이콘
"물론 형식상입니다 실제는 아닙니다 국왕이 의회해산을 선언하면 큰일이 나죠 당연히 내각을 구성하는 것도 국왕이 개입하는 일은 없습니다. "

멀쩡히 그런 거 없다고 써놨구만 뭘 쓸데없이 사람 중언부언하게 만들어요
저게 몇 줄이나 된다고
아프락사스
+ 25/05/08 20:12
수정 아이콘
그럼 사용할 수 없는 권력으로 왕이 무슨 중재를 한단말입니까? 영국인들이나 영국의회가 왕을 중재자라고 생각합니까? 그런거 없는데 그게 어떻게 중재가됩니까?
Anpester
25/05/08 09:11
수정 아이콘
우리 정치가 이렇게 된 것은 보수정당도 아닌 정당을 보수정당이라며 뽑는 자칭 보수주의자들(??? : 어차피 국민들은 1년만 지나면 다 잊고 찍어준다)과 맹목적인 정치혐오(정치경험이 없는 신인들로 갈아엎어야 한다)에 기반한 양비론과 기계적 중립(그 놈이 그 놈이다)을 펼치는 대다수의 유권자들에게 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해요.
시린비
25/05/08 09:12
수정 아이콘
뭐 내각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은 공감가는 바입니다. 결국 저 사람들이 할 것이기 때문에..
쵸젠뇽밍
25/05/08 09:22
수정 아이콘
차라리 내각제라면 현시점 저 사람들에게 어떠한 권력도 없겠죠. 다만 우리나라에는 내각제가 어울리지 않는다고 봅니다.
지르콘
25/05/08 10:08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관점입니다만
 권력에서 밀려나서 가망이 안보이는 측에서 내각제 소리가 많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내각제 외치는 부류들에게 동의 하기 힘든 면이 있습니다
25/05/08 10:3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내각제 반대하시는 분들은 국회의원들의 행태가 자신들의 원하는 바대로 안 되니 내각제를 반대하시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반대로 대통령제의 대통령이 컨트롤 안되는 부분은 어떻게 납득하고 계신지 이해가 어렵긴합니다. 윤석렬씨가 계엄만 안 했다면 선거제로 뽑히고도 권한행사의 범위가 현격하게 차이나는 부분도 바람직한 모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코로나시즌
25/05/08 10:5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대통령이 3연임 4연임 가능한 곳이면 그 예시가 맞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5년 단임제라 권력을 누리는 기간이 짧죠....

반면 내각제 국가 일본을 보면 만 50년넘게 지역 토호 다이묘 귀족으로 군림하는 정치인이 있고. 그게 당당한 내각의 일부 <-이런게 실현된 왕도낙토같은 권력자의 이상향같은 내각제입니다. 대를 잇고 3대를 이어 그 권력을 후계가 물려받는 기괴한 습속까지 있고요. 대를 잇는 권력이 나라를 좌지우지한다? 권력의 습성이 비슷하다하지만 정말 이렇게 대놓고 반민주국가와 비슷할줄은 몰랐죠
+ 25/05/08 15:05
수정 아이콘
그럼 단임제로 가도 문제 없다는 의견이시겠군요. 누리는 기간이 짧음에도 그 권한이 크다고 지적하고 싶습니다. 그걸 견제할 제도적 장치 또한 거대양당에서 만들 가능성은 적고요. 그리고 권력의 기간의 문제로만 보면 내각제가 훨씬 유동적으로 움직일 여지도 충분히 있습니다. 정치적 경제적 파고가 없어야 내각제에서도 장기 집권이 가능한 것이지 내각제를 한다고 해서 장기집권이 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민주주의적 국가행태는 대통령제의 일인에 집중된 권력의 모습보단 권력의 습성인 집중되려는 것을 더욱 쪼개는 의원내각제에 더 맞지않나 싶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 25/05/08 15:24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바와 달리 한국은 다선의원 비중이 낮고(166/254가 초재선) 교체가 빠른게 특징이라서.....

3대는 커녕 3선 이상이 89명 뿐이죠.
군령술사
25/05/08 10:49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의 형태도 경로의존성이 크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직선제 쟁취가 민주주의 투쟁의 큰 성과였기 때문에 내각제로 가는 건 불가능하거나 아주 먼 미래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25/05/08 10:54
수정 아이콘
계엄 때리는거 보곤 대통령제에 대한 회의는 안 드시나요?
예전에 의사가족이라고 밝힌거 기억나는데 님 가족 진짜 죽을뻔함
짭뇨띠
25/05/08 10:54
수정 아이콘
대통령 못해먹는 2,3인자들이 내각제 앵무새가되던데
의도가 뻔하지 않습니까
국힙원탑뉴진스
25/05/08 11:03
수정 아이콘
저는 원래 4년 중임제 지지했는데 생각이 좀 달라졌어요. 한 번이면 족한듯 합니다.
카바라스
+ 25/05/08 20:52
수정 아이콘
장단점이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2170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3] jjohny=쿠마 25/04/04 1888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6220
6641 [일반] (경남지역 여론조사) 이재명 41.4% vs 김문수 39.8%, 이재명 41.8% vs 한덕수 43.4% [10] a-ha2222 25/05/08 2222
6640 [일반] 이재명 상대원 연설 전문.jpg [23] This-Plus3169 25/05/08 3169
6639 [일반] 1981년 사형수 김대중 [19] Croove1801 25/05/08 1801
6638 [일반] 선게 불판 카테고리 관련 안내 공지(불판창 도입 등) [2] jjohny=쿠마463 25/05/08 463
6634 [일반] 김문수 한덕수 2차 회동 생중계 [74] 감모여재8335 25/05/08 8335
6633 [일반] 너무나 재밌는 상상~ 누군가에는 개꿀쨈 [35] 크림샴푸4241 25/05/08 4241
6632 [일반] 김문수는 서울시장 선거에서 김종인에게 배운 걸 잘 써먹네요 [26] 잉명4774 25/05/08 4774
6631 [일반] 김문수 "일주일 각자 선거운동 후 단일화하자…지도부 손 떼라" [134] Nerion11528 25/05/08 11528
6630 [일반] 국민의힘의 현재 상태를 보면 대한민국에서 내각제는 절대 하면 안되겠네요. [25] 홍철4558 25/05/08 4558
6629 [일반] 국힘 지도부, 8일 토론회 뒤 여론조사…‘김-한 단일화’ 강행 [54] 어강됴리6292 25/05/07 6292
6628 [일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회동 결렬 + 내일 다시 회동 [128] 짱구9013 25/05/07 9013
6627 [일반] 김상욱 의원 내일 탈당선언 및 대선출마 고려 [34] a-ha4657 25/05/07 4657
6626 [일반] 한덕수 "단일화 이뤄지지 않으면 대선 본후보 등록 않겠다" [83] Davi4ever7979 25/05/07 7979
6625 [일반] 김문수 지지 측, ‘국힘 전당대회 개최 중단’ 가처분 신청 [13] Rorschach3477 25/05/07 3477
6624 [일반] 이렇게 되면 김문수 후보는 더 사퇴하기 어렵게 된 거 아닌가요? [3] a-ha2446 25/05/07 2446
6623 [일반]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하라" 현직 부장판사 공개 요구 [17] 철판닭갈비3473 25/05/07 3473
6622 [일반] 홍준표 “한덕수, 무상열차 노린 윤석열 아바타…왜 김문수만 비난하나” [63] Nerion5870 25/05/07 5870
6621 [일반] 서울 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공판 6월 18일로 연기 [192] 빼사스10931 25/05/07 10931
6620 [일반] 민주당이 이렇게 나가면 역풍 [49] Rio7142 25/05/07 7142
6619 [일반] 민주당, 허위사실 공표죄 개정 강행… 법 발효 땐 이재명 ‘면소’ [93] 퍼그5909 25/05/07 59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