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006/11/17 18:05:27 |
Name |
信主NISSI |
Subject |
스토브시즌 폐지 건의 및 프로리그 개인리그 대회진행방식에 관하여 |
3년정도 전에 선수들의 많은 경기수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으로 시작된 것이 스토브시즌입니다. 당시 양방송사에서는 개인리그, 하부리그, 팀리그를 진행했으며 프리미어리그라는 개인대회도 진행됐었습니다.
통보방식에만 불만이 있을 뿐 T1의 결정에는 별 반대가 없습니다만, 이제 '선택과 집중'을 결정한 팀이 있는 만큼 더이상의 스토브시즌은 배부른 몇몇을 위한 사치일 뿐이라고 생각됩니다.
스토브시즌을 폐지하는 대신 시즌과 시즌사이의 공백기를 이용해서 휴식을 취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11개팀이 2회씩 격돌하면 팀당 20경기씩 110경기를 치루게 됩니다. 주 7회 경기가 있으니 15주정도면 됩니다. 즉 프로리그의 진행은 5개월 정도면 된다는 말이죠.
1개월 정도 '개인대회'를 진행하면 반년정도의 텀이 완성됩니다. 그러면서도 프로리그 주7회경기나 연2회의 개인대회를 진행할 수 있죠. 아니 2:2대전같은 것도 연2회 진행 할 수 있을 겁니다.
"선수들이 휴식할 시간이 없다" 당연합니다. 선수들은 자신들이 '선택'해서 쉬면됩니다. 프로리그를 위해서 그 텀에 있는 개인대회를 나가지 않아도 되고, 하나만 나가도 됩니다. 개인대회에서 우승을 위해서 결승전 직후 프로리그 초반에 한주정도 쉬어도 됩니다. 팀대팀의 대결이 있다고해서, 개인대회가 하나 있다고 해서, 그팀의 전원이 경기를 갖고, 전 프로게이머가 모두 개인대회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지않습니까.
결국 대회와 대회사이의 텀을 최대한으로 줄여 그것을 활용하자는 것입니다. 이것의 최대단점은 '쉼'이 없기 때문에 '집중'도 적어서 화제를 모으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프로리그와 개인대회가 각각 진행되기 때문에 '집중' 만큼은 최대로 끌어 모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프로리그 우승팀의 주력선수들, 최하위팀이지만 자타공인의 에이스등등 프로리그에서 활약한 선수 개개인의 성적을 보다보면 "저 선수 개인대회를 하면 성적이 얼마나 나올까?"라는 것으로 개인대회를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또 반대로 개인대회에서 어느팀의 선수들이 상위권에 위치하게되면 그 선수들이 모인 팀의 성적에 대해 기대를 하게되죠.
'개인대회에 소속선수가 많이 출전하게 되어 프로리그 초반 운행이 어렵다'란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그건 일반적인 프로대회를 갖고 있는 구기 스포츠의 경우 '국가대표차출'처럼 자주 있는 일이며 그걸 감안하는 건 강팀에게 당연히 주어지는 패널티라고 생각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에는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한 사람은 안왔으면 좋겠습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 안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